기꺼이 길을 잃어라 - 시각장애인 마이크 메이의 빛을 향한 모험과 도전
로버트 커슨 지음, 김희진 옮김 / 열음사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장애를 가지고 세상을 산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정상인으로서 상상만으로는 그 마음을 이해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손가락 발가락에 상처를 입으면 일상생활이 불편해지고 운동하다 접지른 다리에 깁스를 하고 몇 달만 고생하면 된다는데도 마음이 울적해 지는 것을 보면 참 인간은 얼마나 이기적이고 자기 편의주의적인가 하는 반성이 든다. 눈을 감고 집안을 움직여 본다. 매일 보는 곳인데도 여기저기 부딪치며 자꾸만 넘어진다. 평생을 못보고 산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들을 수 있으나 만질 수 있으나 보이지 않는다는 것은 내겐 두려움이었다.

 

마이크 메이 . 그는 시각 장애인이다. 그는 자전거를 타고 말을 탈 줄 안다.

안전지도대원이었다. 전자공학 국제학을 공부했다. CIA 직원이었다. 은행원이었고 연극배우였으며 발명가였다.

활강 스키 세계 기록 보유자이기도 하다.

 

무언가를 할 수 없다는 것은 누가 정하는가. 사회의 시선이 무섭고 부모님의 반대가 마음이 아프고 자신이 없고 그 모두 이유가 될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결정은 본인이 선택했다는 것이다. 3살에 집에서 한순간의 폭팔사고로 시력을 잃고 앞이 보이지 않는 채로 살아온 약 40여년의 긴 시간동안 마이크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했다. 보이지 않는 다는 것은 장애물이 되지 못했다. 결혼도 했고 아이도 있다. 사업도 하고 자신의 삶에 만족스럽다. 이 모두는 그가 남들과 다름과 다르게 키우지 않으려는 어머니의 교육관과 쓰러짐에 굴하지 않고 자신을 믿는 마이크의 신념 덕분이었다.

 

수술을 했다. 눈을 떳다. 세계에서 20번째 눈을 뜬 사람이 되었다.

그런데......    너무 오랫동안 정지됐던 시신경을 반응이 없다.

우리들은 그저 보기만 하면 되는 것이 그에게는 다시 학습을 통해야만 볼수 있는 대상이 된다.

 

안과의인 굿맨 박사와 함께 줄기세포이식으로 세상을 다시 볼 기회가 왔다. 안경을 써본 사람이라면 다 안다. 시력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세상이 흐릿하게 보이는 그 답답함을 말이다. 하지만 이미 보이지 않아도 살수 있는 삶에 익숙해져 버린 마이크에게 수술은 도전이다. 어쩌면 얻는 것 보다 잃는 것이 더 많아 질지도 모르는 결정을 해야만 한다. 50%의 확률과 언제든 시력을 다시 잃을 수도 있고 암을 유발할 수도 있다는 위험을 감수해야만 하는 수술이다.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마이크는 빛을 향한 자신의 여행을 결정하게 된다.  모험하라. 호기심에 답하라. 기꺼이 넘어지고 길을 잃어라. 길은 항상 있다.  일생의 나침판이었던 생각들이 그를 두려움에 맞서게 한다. 수술을 한 후에 찾아온 좌절을 아직도 사물을 구별할 수 없다는 힘겨움을 주지만 굴하지 않고 정지된 시신경을 넘어 설 수 있는, 아기가 세상에 태어나 눈을 뜨며 모든 것을 배워하는 순간으로 돌아간다.

 

하지만 그는 여전히 도전 중이다. 그에게 세상은 여전히 아무도 가본 적 없는 숲 속 길이지만

그 길은 더없이 소중하고 가치 있는 길이다.(표지中)

 

조그만 일에도 흔들린다. 어른들 말씀이 건강한 몸 하나면 못할 일이 없다 하신다. 나는 건강한 몸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도 가지지 못한 많은 것에 욕심을 내고 가지려는 노력은 생각만큼 하지 않는다. 세상의 모든 일은 나와의 싸움에서 시작된다. 행복한 생활도 사람을 보는 따뜻한 마음도 부정적인 생각도 실패할 것 같은 불안한 마음도 모두 인간의 마음에서 태어나는 것이다. 시련은 누구에게나 있다. 하지만 극복하는 사람은 그닥 많지 않다. 포기를 모르고 자신의 인생에 도전장을 낸 마이크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다.  자꾸만 주저앉고 싶은 내게 용기를 주고 싶다. 내 조건이 더 낫다는 의미가 아니다. 그의 건강한 정신을 본받고 싶은 것이다. 더불어 주변의 장애우들을 편견없는 시선으로 함께 하는 세상을 만들어 가는 첫걸음은 나에게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