촐라체
박범신 지음 / 푸른숲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산? 인터넷에 작가가 연재를 시작했을 때  한두번 정도 블로그를 방문했었다.

산? 그렇게 몇페이지 읽어가다 기억에서 멀어져 갔다.

촐라체? 무슨 이름이 그래? 재미있는 이름이군 이란 생각외엔 별 느낌이 없었다.

 

그리고 어제 책을 잡았다... 숨도 쉬지 못할 만큼 단숨에 읽어 내려 갔다.

포카라의 호수 그리고 마시던 커피 한잔, 히말라야의 하얀 만년설과 3200m 푼힐 전망대에서 바라봤던 일출까지 박상민과 하영교가 겪는 모든 사건사고 속에 내 추억이 겹쳐져 있었기 때문이다.

내려올 산을 왜 올라가? 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던 내게  4박 5일간의 짧은 트렉킹을 할  생각을 했던 것은 사실 허영이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여행중에 들린 네팔 카트만두에서 네팔에 왔으니 산을 올라야 한다는 얘길 들었고 그렇게 만나고 모여진 사람들은 산을 올랐다. 하지만 산을 오르는 동안 숨이 가빠지는 것을 느끼면서 나는 나 자신을 돌아보게 되었고 건방지게도 산과 대화할 수 있었던 무언가가 있다고 생각했다.

 

촐라체 어딜까 찾아본다.

에베레스트 서남쪽에 있는 6440m의 산이다. 산악인 박정헌과 최강식이 2005년 조난을 당하고 사고로 손가락 발가락을 잃은 곳이다. 그들의 조난이 모티브가 되었다 한다. 생사의 갈림길에서 자신을 돌아보는 모습에 촛점을 맞추고 있다. 미움도 욕망도 사랑도 모두 한 마음에서 나오는 것임을 그들의 사투와 더불어 느낄수 있다.  삶은 정상을 밞는데 중요성을 둘 것이 아니라 산을 올라가는 내려오는 과정처럼 굴곡있고 힘에 겨워도 이겨낼 수 있는 동지와 친구와 믿음이 있다면 살아갈 가치가 있는 것임을 알게 해 준다.

 

그러나, 어떤 불길이 그 때 내 안에서 솟구치고 일어선다.

포악스럽고 준열한 욕망이다. 나는 읍, 비명을 삼킨다. 빅뱅으로 터져 생살을 찢고 나오는 그 욕망은, 반역의 섬광을 띠고 있다. 스쳐 지나고 싶지 않다고, 짐승같은 내부의 불길이 외치는 소리를 나는 듣는다. 사랑조차 스쳐 지나는 것에 불과하다는 사실에...... 굴복하고 싶지 않다. 스쳐 지나는 것은 비겁한 짓이다. 지옥으로 함께 갈 망정, 붙잡아서 머물 수 있을 때까지, 상처를 나누어 곪아 썩어 문드러질 때까지, 함께, 있겠다는 비명이 터져 나온다. p 142

 

인생은 산을 오르는 것과 같지 않을까. 크레바스에 빠지는 순간도 있을 것이고 로프 하나에 서로의 목숨을 맡겨야 하는 순간도,  비박을 해야 하는 아찔한 순간도 있을 것이다. 절망의 순간에  삶의 기적을 보는 듯한 두 형제의 살고픈 욕망은 너무나 나약해진 현대인들에게 울리는 경종이 아닐런지.

나 혼자 살아 있는게 아니다. 우리.....가 살아있다.  왜 이 말이 이렇게 와닿는 건지.  난 나 혼자 살고 있는 것이 아니다. 나의 촐라체를 향해 우리의 촐라체를 향해 한발한발 내 딛는 그 순간 서로에게 의지되는 로프가 되어 함께 라는 단어를 외칠수 있으리라는 생각을 해 본다. 형제라는 두 주인공의 이름으로  펼쳐진 페이지페이지마다에는 그들의 마음이 담겨있다. 역시 박범신이라는 생각을 하게 한다.  오랜만에 신나는 책읽기가 된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