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권으로 읽는 세종대왕실록 한 권으로 읽는 실록 시리즈 4
박영규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번째 읽는 세종대왕(1418년~1450년)에 관한 책이다.

드라마의 힘인가 세종대왕의 시대가 많은 관심이 집중되기 시작하는 것은.

 

예전에는 단지 세종대왕을 조선 최고의 임금으로 조선의 기틀을 세우고 과학 음악같은 학문의 정립, 대마도 정벌과 한글창제라는 위대한 업적만으로 평가했었는데 요즘은 왕 세종이 아닌 인간 이도로서 많은 부분이 조명되고 있는 거 같다.

500년 조선왕조의 임금 중 만원권 지폐에 인쇄되어 있고 어린 아이들조차도 제일 존경하는 한국인으로 꼽는 세종의 화려한 업적 뒤에 감추어진 노력과 고뇌가 새삼 그를 더 우러러볼 수 밖에 없게 하고 있다.

 

셋째 아들로서 역모가 아니고서는 절대 임금이 될 수 없었던 그가 양녕의 술과 여자를 좋아했던 모습과는 달리 신중하고  학문에서는 뛰어난 자질을 보였던 것은 태종에게 칼을 들지 않는 임금으로 그를 염두에 두게 만들었는지도 모르겠다. 피 한방울 흘리지 않고 세자의 자리를 양위받고 위약한 모습을 탈피 왕권의 위엄을 세웠갔던 것을 보면 왕은 하늘이 내신다는 말을 이해하겠다. 

성군이라 불리울 만큼 백성을 생각하는 마음이 특별했고 모든 일에 있어 중립을 지키고 바른 정치를 하고자 했으며 대신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였지만 옳다고 생각하는 일에 대해서는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고 관철해 갔던 임금이 세종이다. 사람을 다루는 법을 알고 적재적소에 등용할 줄 알았으며  상과 벌의 강약을 조절할 줄 알았기에 황희, 김종서, 변개량, 맹사성과 같은 인재들과 함께 황금시대를 이끌어 갈 수가 있었다.조선의 CEO로서 가졌던 추진력 또한  현대의 정치가들이나 경영자들조차도 세종대왕을 벤치마킹하려는 이유가 아닐까.

 

2부의 <세종실록>은 1418년 8월부터 1450년 2월까지 31년 6개월의 기록을 묶은 책이다. 조선왕조실록이야 많이 들어 보았지만 세종시대의 주요사건을 기록해 놓은 것을 보니 임금으로서의 세종의 생활이 더욱 자세히 보인다. 그저 하나하나의 에피소드들을 읽는 것 보다 시간의 흐름과 등장하는 인물들을 따라 역사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받는다. 3부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을 보니 왜 세종시대에 나라가 여러면에서 발전할 수 밖에 없었는지 알 수 있겠다. 인재를 바라보는 눈이 있다는 것 그것만큼 CEO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 아무리 잘난 사람도 주변의 도움 없이는 성공을 할 수가 없다. 내가 가장 닮고 싶어 하는 부분중에 하나이다. 세종 스스로의 능력도 중요했지만 함께 하는 인재들에게서 최대의 성과를 만들어냈다는 것 이것이 세종의 가장 큰장점이 아니었을까? 한권으로 세종대왕실록을 읽어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