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말라야 도서관 - 세계 오지에 3천 개의 도서관, 백만 권의 희망을 전한 한 사나이 이야기
존 우드 지음, 이명혜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히말라야를 다녀온 적이 있다. 길안내를 하던 포터겸 가이드와 함께 산을 오르면서 많은 얘기를 할 수 있었다. 요리사였던 그가 산을 오르게 된 데에는 돈을 벌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극명하게 다가왔기 때문이란다. 딸과 아들을 좋은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국제 학교에 보내고 싶은데 그러려면 돈이 많이 필요하다고 했었다. 가난한 나라일 수록 공부를 해야 성공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한국이 전후 50년도 안돼 세계 무역국 10위 안에 든 것은 부모님들의 굉장한 교육열이 이유였음을 부인할 수가 없다. 또한 세계 여러나라의 많은 도움이 있었음도 간과할 수는 없다. 빌 게이츠와 함께 일할 수 있는 마이크로소프트라는 좋은 직장을 박차고 나와 세계의 가난한 어린이들에게 책을 보내고 학교와 도서관을 지어주는 일을 하는 존 우드가 아이들의 꿈을 키워주고 있다는 것은 네팔과 베트남 그리고 캄보디아라는 나라에 희망을 주는 일과도 같다. 그 나눔의 현장을 생생히 보여주는 것이 <히말라야 도서관>이다.

 

신발도 못 신고 다니고 식사도 하루 두 번도 잘 못하는 아이들에게 책은 사치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다. 살아가는 방법을 배워야 하고 더구나 형제들이 여럿이라면 모두 학교를 다닐 수 없는 형편이 된다. 교육을 책임져야 할 나라는 막대한 예산을 감당하지 못해 시골 구석구석까지 학교를 세울 수 없고 부모들마저 무지하다 보니 새싹들이 피어나기도 전에 그 싹을 잘리게 되는 것이다. 세계 오지의 3천개의 도서관, 백만 권의 희망을 전하는 ROOM TO READ의 선두에 서서 진두지휘를 하는 존 우드는 네팔 트랙킹에 참가해 책이 없어 공부를 하지못하는 아이들이 자유롭게 책을 읽을 수 있는 행복을 선사한다. 누군가 말한 지구촌 오지 책선물 산타가 정말 딱 걸맞는 이름이 아닌가. 250$이면 일년동안 공부를 할 수 있다는 아이들의 눈망울에서 사랑을 볼 수 있다. 열악한 환경이지만 순수하고 열정적인 학구열은 너무나 많은 것이 주어졌기에 그 소중함을 모르는 우리들에게 반성의 기회를 제공한다. 그것을 알기에 수 많은 사람들이 기부를 하고 또 자원봉사를 하기 위해 오지로 오지로 가는 것이다.

 

서해안에 기름사고가 난 후에 정말 수 많은 사람들이 봉사를 하러 칼바람을 맞으며 태안으로 향했다. 바다는 모두의 것이기에 도움이 필요하다는 손길을 거절하지 않았던 것이다. 내 주변의 아들 딸 그리고 조카들을 돌아본다면 하루 1$로 생활을 하고 5-6살 고사리 손으로 일을 하는 가난한 나라들의 코흘리게 아이들의 모습에 가슴이 아파온다. IMF때 나라를 걱정하며 집안의 금을 내 놓고 특별한 일에 십시일반 주머니 돈을 내는 우리들은 따뜻한 피가 흐르는 한국인이다. 이제  해외여행을 하는데 1조원이란 큰돈을 쓰는데만 그 시선을 두지 말고 세계로 돌려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