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자의 뇌 - 저절로 돈을 쌓는 상위 1퍼센트 부자들의 뇌 사용법
모기 겐이치로 지음, 오시연 옮김, 양은우 감수 / 21세기북스 / 2025년 5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자본주의를 살아가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각자가 가지는 가치관에 따라 삶에 있어 가장 중요한 덕목이 다 다르겠지만, 아마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하고, 풍족하지는 않더라도 어느 정도 밑바탕이 되어야 하는 것이 바로 '돈'이지 않을까요? 저는 늘 생각해 봐요. 어떻게 하면 조금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을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한정적인 자본을 조금 더 효율적으로 굴려볼 수 있을까 하고요. 그렇게 부자들의 삶과 사고관이 담긴 책들을 많이 찾아보기도 하면서요.
부자들의 뇌와 가난한 사람들의 뇌에는 구조적으로도 차이가 있다는 문구가 제 시선을 이끌어서 선택하게 된 도서를 소개하려 합니다.
사람의 뇌와 마음의 관계를 연구하는 뇌과학과 인지과학의 결합이라 더욱더 궁금증이 증폭되었었는데요.
우리의 '뇌'외 '돈'에는 매우 밀첩한 관계가 있다고 해요. 그래서 부자들과 가난한 사람들 사이에서는 사고 방식과 행동 패턴에도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고 하는데요.
부자와 성공한 사람에게서 공통적으로 발견된 것은 '부자 뇌' 그리고 돈이 모이지 않는 '가난한 뇌'의 구조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인데요.
간략히 말하면, '부자 뇌'에는 '돈이 돈을 낳는다'의 사고방식이라면, '가난한 뇌'에는 돈을 모으거나 벌어들이는 것에 중점이 되기보다 어떻게 쓸지, 그리고 월급이 들어오면 충동구매 등을 통해 소비를 하면서 쾌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고 전해집니다. 하지만 이때의 만족감은 금방 사라지지만요.
뇌의 구조를 분석할 뿐만 아니라, 뇌과학의 관점에서 인간 본성에 내재된 뇌와 돈의 관계를 탐구하면서 어떻게 소비를 해야 부를 축적할 수 있으며, 가난한 뇌를 벗어날 수 있을지에 대해 분석합니다.
저는 사실 나름대로 경제관념이 수립이 되어있다고 생각했는데, 저 또한 '부자 뇌'보다는 '가난한 뇌'에 가깝게 지내온 것 같아요. 물론 돈에 대해 늘 고민하지만, 돈을 벌어들일 수 있는 더 많은 방법을 고민하기보다, 한정적인 소득에서 어떻게 하면 소비를 줄여서 저축을 늘릴 수 있을까에 조금 더 취중 되어 있었거든요.
'부'를 부르는 말버릇 그리고 무의식적으로 하는 사소한 행동들 속에서도 우리의 뇌는 돈과 관련된 버릇들을 만들어낸다고 하니까, 매사 말과 행동에 조금 더 신중을 가하면서 돈을 끌어당길 수 있는 사고를 위해 다시 한번 읽어보면서 스스로에게도 활용해 보아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