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사고 쎈 중등 수학 1-2 (2023년용) ㅣ 중등 쎈수학 (2023년)
홍범준.신사고수학콘텐츠연구회 지음 / 좋은책신사고 / 202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d/d/ddeboet/IMG_SSEN.jpg)
유형 교재를 쎈으로 선택했습니다!라고 할 때 왜요?라고 질문하는 분은 없을 거예요. 그 정도로 쎈은 유형 교재의 정답이라고 할 수 있겠죠.
중학교 입학하고 1학기가 어느덧 3개월이 지나가요~ 1학기 시작 전에 쎈으로 전체 복습을 했더니 확실히 1학기 수학 큰 어려움 없이 진행되더라고요. 2학기는 여름방학에 준비할까 했는데 중학생의 여름방학은 2주가 채 안 되는 10일이더라고요.
미리미리 준비합시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d/d/ddeboet/IMG_20220525_210425.jpg)
중학교 수학의 2학기는 도형 파트죠~ 특히 2학년 2학기 도형은 중학 수학에서 제일 까다로워 하는 부분이기도 하고요. 그래서 저는 1학년 2학기 만큼은 척하면 턱하게 나올 수 있는 수준으로 학습 시킬 예정이에요.
쎈 시리즈의 교재 선택_처음은 쎈으로!
쎈 교재는 여러 교재가 있으니 아이의 상황과 여건을 고려해서 선택해서 시작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d/d/ddeboet/IMG_20220531_085055.jpg)
제가 소개할 책은 쎈 시리즈 중에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쎈을 하려고 해요.
전혀 예습이 되어 있지 않는 상태라면 SSI 지수가 낮은 걸로 선택해 주고, 개념 교재 예습이 끝난 후라면 쎈으로 진행해 보는 것을 추천드려요.
쎈의 진행 상태를 보고 다음 교재를 선택하면 좋을 것 같네요.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d/d/ddeboet/temp/IMG_20220531_090743.jpg)
쎈 교재를 풀면서 전혀 부족함을 느끼지 못한 경우라면 일품 교재 추천드리고요!
쎈 교재를 기준 삼아 다음 교재 선택이 수월해지는 것 같아 좀 더 확실히 뜯어보시라고 리뷰 합니다!
쎈 구성 _ A, B, C 단계
쎈의 구성은 A, B, C 구성입니다. 초등, 중등, 고등까지 있는 쎈 시리즈는 고등수학에 가면 꽃을 피우지요~ 그냥 아이들 사이의 수학 기준이 되더라고요.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
A 단계: 기본 다잡기
실전 개념 학습과 기본 문제 적용 연습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d/d/ddeboet/IMG_20220531_085440.jpg)
처음은 A 단계로 시작합니다. 개념 설명 충분히 읽어 주고 확인 문제 풀어 주면서 개념이 확실히 잡혔는지 확인해 해보고 부족하다면 개념 교재로 돌아가는 용기를 내야 합니다.
유형 문제를 풀기 전에 기본 문제들을 여러 번 점검해 보면서 혹시라도 놓치는 부분이 없는지 점검이 필요해요.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d/d/ddeboet/IMG_20220531_085116.jpg)
왼쪽은 개념 정리 오른쪽은 기본 문제입니다.
교과서 개념과 실전에 꼭 필요한 내용인데 아이들은 문제 풀기에 급급해서 이 좋은 내용을 스킵 하는 경우가 참 많아요. 꼼꼼히 개념 복습하기에 매우 잘되어 있습니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d/d/ddeboet/temp/IMG_20220531_085147.jpg)
참고할 내용 예를 들어준 내용까지 그리고 꼭 기억해야 할 부분은 노란색 하이라이트도 되어 있네요.
쎈 노트를 통해서 마무리 정리를 해주는 것도 놓치지 않았으면 하는 부분이었습니다.
오른쪽은 기본문제입니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d/d/ddeboet/temp/IMG_20220531_085414.jpg)
01-1 점, 선, 면처럼 개념이 바로 적용될 수 있도록 문제가 1:1 맞춤 제공되고 있어요.
O, X를 답하는 문제 혹은 직관적으로 개념만 알면 쓸 수 있는 문제들입니다. 예를 들면의 연장선이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아요.
A 단계를 얼마큼 꼼꼼히 잘 학습하느냐에 따라 B 단계에서 그만큼 실수하지 않고, 정확한 내용을 알고 답을 쓸 수 있는 것 같아요. 특히 유형이 잘 안 풀린다 싶을 때는 해당하는 개념을 정확히 이해했는지를 우선순위에 놓고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더라고요.
B 단계 : 유형 뽀개기
입체적 유형화와 충분한 문제로 유형 정복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d/d/ddeboet/IMG_20220531_085449.jpg)
쎈 중학 수학 1-2 교재의 문제는 총 1266문항입니다. 70% 이상이 B 단계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유형은 총 164개로 유형으로 수학 잡는 교재 맞죠?
유형 중에서도 집중 공략이 필요한 유형들이 있어요. 내신 출제율이 70% 이상인 유형들이라고 합니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d/d/ddeboet/temp/IMG_20220531_085518.jpg)
체계적인 단계별 학습을 할 수 있는 쎈같은 경우는 B 단계에서 다시 난이도에 따른 수준별 문제들이 보입니다.
대표 문제, 상, 중, 하 그리고 서술형 문제까지 문항별로 표시가 되어 있어서 문제의 난이도를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d/d/ddeboet/temp/IMG_20220531_085541.jpg)
처음엔 난이도가 표기되어 있어서 아이가 상 문제를 풀 때 잠깐 풀어보고 안 풀리면 어려워서 그래~ 하고 패스해 버리는 경우가 있어서 어떤 방향으로 끌어줘야 하는 고민이 들었는데
요즘은 상 문제를 잘 풀고 나면 스스로 뿌듯해하는 모습을 보이더라고요.
또 문제를 채점하고 난 후에 복습용으로 혹은 시험 직전에 시간이 부족할 때는 난이도 있는 문제들만 골라서 풀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 같아요.
C 단계 : 만점 도전하기
융합적 사고력 문제로 최고 수준 완성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d/d/ddeboet/temp/IMG_20220531_085556.jpg)
C 단계는 보통 문제를 풀 때 하나의 개념만 가져다 쓰지는 않도록 되어 있습니다. 사고력이 요구되는 고난도 문제라고 보면 되겠네요.
문제에 보면 문제에 해당되는 유형이 링크되어 있어서 특히 틀린 문제들을 다시 한번 풀어 보고 풀리지 않을 때는 앞의 유형의 문제들을 모두 다시 풀어 보는 것도 하나의 공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d/d/ddeboet/IMG_20220531_085601.jpg)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d/d/ddeboet/temp/IMG_20220531_085614.jpg)
틀린 문제 중심으로 유형을 다시 살펴보면 좋은 거 같아요.
유형 4를 찾아가 보니 역시나 한 번 틀렸던 문제들이 많았던 유형이었습니다.
이때 확실히 알 수 있지요. 아이가 이 유형을 어려워하고 있구나 합니다.
복습할 때 이 유형을 집중해서 복습할 수도 있고, 또 심화 교재를 풀 때 이 유형 풀이 과정을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네요.
C 단계의 정답률이 70% 이상이라면 일품 교재 진행하면서 이 난이도로 연습을 더 진행하면 좋고, 그 이하라면 B 단계를 더 연습해 보는 게 좋을 것 같다는 결론이 나오지요!
하나의 시리즈로 공부하면 그래서 좋은 거 같아요~ ^^
정답 및 풀이 : 정답 빛 풀이 · 채움 & 빠른 정답 찾기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d/d/ddeboet/IMG_20220531_085831.jpg)
정답 및 풀이 책이 있고, 빠른 정답 찾기가 있습니다.
빠른 정답 찾기로 우선 채점을 해보고, 틀린 문제나 혹은 찍어서(?) 맞춘 문제들은 다시 풀어보고,
결국 못 푼 문제와 찍어서 맞춘 문제들은 풀이 과정을 반드시 익히는 학습을 해야 합니다.
특히 수학 같은 경우는 다시 풀어 볼 수 있도록 빠른 정답이 꼭 필요한 거 같아요.
정답 책 같은 경우는 자세한 풀이는 기본으로 되어 있고, SSEN 특강이 있어서 문제풀이 팁을 얻을 수 있습니다. 특강 같은 경우는 왜 이렇게 되는 건지 개념을 이해하면서 기억해 두면 문제 풀이 시간을 확실히 줄일 수 있겠더라고요.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d/d/ddeboet/IMG_20220531_085720.jpg)
또 서술형 답안 같은 경우는 서술형 문제의 채점 기준과 모범 답안을 알 수 있어요.
아직 학교 시험을 보지 않는 중1 아이들 같은 경우는 확실히 서술형이 채점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아는 게 중요하더라고요. 서술형 답안 작성은 이제 시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니까요.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d/d/ddeboet/temp/IMG_20220531_085745.jpg)
풀 수는 있는데 답안을 어떻게 작성하는지 잘 몰라서 틀리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더라고요.
서술형 모범 답안으로 확실히 알았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 다른 풀이 방법이 제시되 문제들이 많이 보입니다.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방법을 보고 본인과 맞는 방법을 알아두는 것도 좋겠네요.
특히 C 단계 같은 경우는 단계별로 해결 과정이 서술되어 있어서 힌트를 조금씩 얻어 가면서 풀어보는 방법도 좋고, 해결 과정 차례차례 알아 두는 것도 앞으로 심화문제집을 풀어 갈 때 큰 보탬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학 수학의 근육이 꾸준히 연습한 근육으로 짜여 있어야 고등 수학의 벽에서 부딪히더라도 금방 툭툭 털고 다시 부딪힐 수 있는 힘이 생기는 거 같아요.
저희도 선행으로 이미 학습한 학년이지만 새로운 마음으로 차근차근 밟아 가보려고 합니다.
그런 교재로 안성맞춤인 쎈으로 함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