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 오스카 와일드 펭귄클래식 7
오스카 와일드 지음, 김진석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녕하십니까.

강북 펭클 독서모임의 지기 삽하나입니다.
오늘은 드디어 우리 강북 모임의 1차 독서토론이 있었던 날입니다.
이 역사적인 날에 저는 저기요님의 문자까지 씹어가며 지각을 하고 말았습죠... ㅠ- ㅠ 
자기 소개없이 저 혼자 심각하게 앞서갔던 어설펐던 진행도 무척 죄송스럽습니다 ㅋㅋㅋ
(다음에 또 이러면 콱! 옆구리를 꼬집어주세요 ㅋㅋㅋ)

 

리를 빛내주신 참가자분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저기요님 2. 지민맘님 3. mkdocu님 4. 레디언님 5. 유니님 6. 삽하나(저임ㅋㅋ)

 

임의 선정 도서는 오스카 와일드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저를 포함한 몇몇 분들이 도리언 그레이가 작가 명인 줄 자꾸만 착각하게 된다는 ㅠ) 




토론의 물꼬는 '지민맘'님이 터 주셨습니다. 예술지상주의의 대표적인 표상으로 알려진 오스카 와일드에게 왠지 거부감을 가졌던 적이 있었지만, 오늘의 선정도서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로 인해 완전히 기존의 편견을 무너뜨리게 되었다고 하셨죠. 사실 거부감까지는 아니더라도 저를 포함한 몇몇 분들이 '오스카 와일드'하면 행복한 왕자 같은 동화적 상상만을 늘어놓을 법한 그런 인물로 치부했던 부분이 어느 정도 있기도 했다고 각자 의견을 비춰주셨습니다.

 

1. 본문만큼이나 빛나는 서문

오스카 와일드가 화려한 겉모습만큼이나 속까지도 얼마나 멋드러진 인물인지는 유려한 문장들로 채워진 서문 속에 있었습니다. (p.41-42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름다운 사물에서 아름다운 의미를 찾아내는 사람은 교양이 있다. 이들에게는 희망이 있다.'_ p.41:8

지민맘님께서는 이 문장을 두고 과거에는 지독한 예술지상주의에 의한 우월감이라고 보았을지도 모르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이들만이 가진 특권일 수도 있겠다고 하셨습니다. 맞습니다. 어쩌면 당시대 그만의 고집스런 미적 추구가 오랜 시간이 흐른 현대에 이르러서도 많은 이들에게 공감을 유발하고, 또 이것이 펭귄 클래식 리스트에 올라 그의 이름과 작품, 그리고 그것이 가지는 위치를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로 만들게 됐는지도 모를 일입니다. ㅇㅅ ㅇ

 

'모든 예술은 표피적이면서 상징적이다. 표피 아래를 탐구하는 사람은 위험을 무릅써야 한다.'_p.42:13

도리언의 무모한 삶을 지켜보면서 우리 강북 독서모임 가족들이 생각했던 것은 분명 이 소설은 자전적인 성향이 다분하다는 점입니다. 와일드 실제 삶의 비극적인 말년은 분명 도리언의 그것과 맞닿아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 점에서 서문에 적힌 이 문장은 와일드가 의도했든, 하지 않았든간에 정말 그는 '위험을 무릅'썼던 무모한 인물이었음에 틀림없습니다. 또 그것이 그의 손을 거쳐 여러 작품들로 탈바꿈되어 지금까지 두루두루 읽히는 클래식 반열에 올라 있음을 우리는 확인할 수 있습니다.

 

2.초상화의 의미는 무엇인가.

우리는 초상화가 가지고 있는 메시지에 대해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이에 대해 저기요님께서는 한 가지 의문점을 던져주시며 이야기를 진행시켜주셨습니다.

 

'초상화 작품을 출품하지 않는 행위는 와일드의 강한 유미주의 사상과 모순되는 점이 아닌가.'

 

이 때 저는 개인적인 의견을 덧붙여보았습니다. 국내 한 여성 작가의 말에 의하면 자신의 글을 남에게 보여주는 것이 부끄럽고 두려운 일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대학교 재학 시 시 작품을 출품하거나 이에 대해 수업 시간에 토론을 할 때도 발가벗은 느낌이 따로 없는 매우 수치스러운 경험이었습니다. 하지만 작가, 시인, 화가 등의 예술가란 개인의 작품을 통해 나 자신을 드러내야만하는, 그런 숙명일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러한 점에서 비추어 보았을 때 작품 속 주인공이 출품을 꺼리는 이유가 여기에 있지 않을까요.  

 

3. 오스카 와일드, 이름만큼이나 와일드한 그의 삶.

mkdocu님께서는 지금은 절판된 오스카 와일드의 '옥중기'라는 책을 소개시켜주셨습니다. (도서관에서 찾아볼 수도 있다고 하시니 참고하세요.) 여기에 덧붙여 mkdocu님께서 말씀하신 다음의 개인적 비평은 단연 돋보였습니다.

 

'영국의 브론테 자매들은 바깥활동 보단 주로 저택 내에서만 머물렀기 때문에 그 속에서 오가는 사람들을 보며 상상력을 키워야만 했다. 때문에 이들의 이야기 시선이 횡적일 수 밖에 없다. 반면에 오스카 와일드는 남성이라서 그런지 더욱 자유분방하고 활동적인 일생을 살았기에 이야기 시선이 브론테 자매와는 반대로 두루두루 넓게 퍼져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정말 와일드는 와일드한 삶의 대명사라 불릴만하죠. 모범적인 아버지상으로 살아오던 그가 갑자기 안락한 삶에서 벗어나 발버둥치고 결국엔 옥살이 후 파리에서 빈궁한 나날을 겨우겨우 연명하다 생을 마감하는 비극적 결말에 대해 심각하게 빠져들던 우리 강북 모임 멤버들. 그러나 곧 여성의 압도적인 비율의 우세함을 내세우기 시작했습니다. 오스카 와일드의 얼굴을 요모조모 뜯어보고 '게이'에 대한 찬양론(?)을 각자 펼치며 담소를 이어나간 것이죠. 개인적으론 책만큼이나 재밌고 유익(?)했던 시간이기도 했습니다만.

 

4. 기타 

얄밉지만 신랄한 어휘감각의 소유자, 해리.

경험자만 이해할 수 있다는 책 속에 담긴 결혼관에 대한 날카로운 시선.

정말 '결혼은 해도 후회 안해도 후회인것인가'에 대해 못다한 아쉬운 말들.

끝끝내 드러나지 않은 채 아쉬움을 남긴 협박 문서 내용.

저기요님이 추천하신 조지오웰의 why i write(영문판으로만 존재합니다.)와 행복의 조건. 등등.

 

+ 제가 아직 독서 모임 지기로서는 많이 모자르고 집중력도 없어 이 날 거론한 모든 사항을 세세히 집어내지 못하였습니다. 저기요님께서 많이 도와주셔서 정말 감사할 따름입니다. 만일 위 사항에 있어서 잘못된 부분이 있거나 빼먹은 부분이 있다면 바로 지적해주세요. 수정하겠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