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독 중등 국어 독해 0 준비편 (2024년용) - 수능 국어 독해의 자신감을 깨우는 단계별 훈련서 깨독 중등 국어 (2024년)
김상미 외 지음 / 미래엔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초를 다지며 수능국어 공부를 시작하려는 아이들에게 추천하는 교재 <깨독 중등국어 독해 0 준비편> 입니다. 다른과목들에 비해 국어라는 과목을 좋아하고 책도 많이 읽어서 그런가 공부하는 속도가 조금은 빠른편인데요 :) 독해 원리부터 익혀 기초를 다지는 훈련을 해보기 위해 <깨독 중등국어 독해 0 준비편> 학습계획을 세워보았어요.


 

독해원리 익히기 : 7가지 독해원리를 단계별로 학습하여 스스로 독해하는 방법을 익혀요.

독해력 깨우기 : "내용 이해하기 > 주제 파악하기 > 확인 문제" 의 단계에 따라 독해실력을 길러요.

독해력 다지기 : 독해에 도움되는 어휘력과 배경지식을 쌓아요.

7가지 독해원리로 깨우자 독해력!

본격적인 학습을 시작하기 전에 혹은 학습 중간, 학습을 완료 후에 총 3회에 걸쳐 모바일 진단평가로 자신의 독해 실력을 진단해볼 수 있어요. 수능 국어 예상등급과 학습처방을 통해 스스로 실력을 점검해 볼수도 있지요.

교재에 QR코드를 찍으면 가능하답니다 >_<

<깨독 중등국어 독해 0 준비편>은 독해원리 7가지 설명을 시작으로 영역별 실전훈련을 시작하는데요~ 인문, 사회, 과학기술, 독서, 예술로 훈련이 진행됩니다.

학습계획은 5주완성 혹은 3주완성으로 스스로 목표를 정해볼 수 있는데요~ 저희집 1호는 저랑 같이 의논했어요. 6주과정으로 도전해보겠다고 합니다. 초등독해문제집만 보다 중등문제집 보니 글씨가 많이 작아졌데요^^;; 지문당 문단은 5~6개정도로 많이 길지는 않아요. 아마도 준비편 교재라 그런것 같기도 하고, 혹여 다음단계 교재를 보게되면 이부분도 확인해보려구요 >_<


 


 

독해를 잘한다는 것은 글의 의미를 잘 이해한다는 뜻이죠. 이를 위해 가장 먼저 할일은 글이 어떤 이야깃거리로 쓰였는지 파악해야하지요. 즉~! 중심화제는 글에서 자주 반복되는 단어를 통해 알 수 있어요. 중심 화제를 찾았으면 각 문단의 중심문장을 찾아보고 중심문장을 통해 문단의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글의 중심내용=주제를 파악할 수 있어요.

지문 속 어휘들을 보니 초등국어의 어휘보다 훨씬 어려워진 것을 볼 수 있어요. 그렇다고 아주 어려운 것은 아니지만 생경한 어휘들은 꽤 있더라구요. 어휘공부는 초등이나 중등이나 꾸준히 해야하는 것이 맞는것 같아요. 그래도 비문학 지문들 꾸준히 읽다보면 어느새 배경지식이 차곡차곡 쌓일 것 같아 기대도 됩니다 ^^

#깨독 #중등국어 #중학국어 #중등독해 #중등어휘 #중등국어문제집 #깨우자독해력 #미래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민쩌미 백쩜만쩜 수수께끼 어린이 사전 시리즈 3
서울문화사 편집부 지음 / 서울문화사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이 좋아하는 <민쩌미 백쩜만쩜 수수께끼>

영상으로 만나는 민쩌미도 좋지만, 책으로 만나니 시도때도 없이 읽고 또 읽고, 손에서 놓질 않네요^^

민쩌미 백쩜만쩜 수수께끼는,

하나. 난이도별 수수께끼로 재미가 쏙!

둘. 재미있는 만화로 흥미와 사고력이 쑥쑥!

셋. 수수께끼 관련 상식으로 지식 레벨업!

넷. 실전 수수께끼로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이 업!

초등 수수께끼가 수준별로 250개나 있다니, 아이들이랑 즐겁게 보기 좋은 도서에요. 딱이죠 딱!

아이들이랑 저녁식사 후 또는 잠자기 전 수수께끼 대결을 하는데요~

물고기가 싫어하는 물은? 사과가 웃으면? 나무는 나무인데 거꾸로 서있는 나무는? 어떤가요? 정답을 생각하셨나요? 맞추셨나요? 잠을 자야만 갈 수 있는 나라는? 숨은그림찾기도 하면서 수수께끼 정답도 생각해야하고 아래 짧은 상식글도 있는데 읽어보면 저도 몰랐던 상식, 정보들이 담겨있어서 넘 유익하더라구요.

아이들과 함께 읽어보면 넘넘 좋을 도서이자 수수께끼 대결, 아이들 문해력에도 도움이 될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전! 문해력 완전 정복 - 아이돌 작사가×입시 논술 강사의 단짠단짠 워크북 생각하는 10대
안영주.임영수 지음 / 북트리거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을 읽다가 조금만 길어지거나 문단이 많아지면 이게 무슨소리야~ 할때가 종종 있어요. 앞문단 읽고 이어 읽다가도 아 뭐였지? 할때도 있었구요. 특히 국어, 사회 공부할때 더욱 심해지는 것 같아요. 공부할때마다 낯선어휘 혹은 어려운 표현때문에 진도에 속도가 안붙고 뱅뱅돌며 제자리인듯한 느낌이 들때 답답하고 더 공부가 하기 싫어지죠. 문해력이란게 좋을땐 글을 분석하기가 쉽고 학교수업이든 공부든 원활히 진도에 맞춰 따라갈 수 있는데, 그 반대인 경우 말만들어도 머리가 지끈거린다거나 알듯말듯 답답해지는 상황이 생기죠.

문해력은 쉽게 말해 단어와 문장을 해석하는 능력이에요. 이미 일상생활과 학업 속에서 수많은 단어와 문장의 세계 속에 살아가고 있는데요~ 우리가 평소 관심을 기울이지 않아서 멀게만 느껴졌던 문해력이 재미있어지고 쉽고 즐겁게 공부할 수 있는데 그 방법을 몰라서 시작조차 못해봤을뿐. 이 책을 통해 단어와 문장해석을 거쳐 다양한 글들을 이해하고 분석하면서 문해력 공부의 시작부터 끝까지 긴 여정을 함께 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이 책은 총 5부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먼저 1부에서는 고유어, 한자어, 관용구, 동음이의어, 다의어 등으로 다양한 어휘의 세계로, 2부에서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잘못 쓰고 있는 언어습관에 대해, 3부는 교과서, 소설, 시 등 다양한 글들을 읽고 고유의 맛을 즐겨보는 방법을 배워보고 4부에서는 자연스럽게 말 센스를 기를 수 있는 쉽게 재밌는 방법들을 보물찾기 하듯 찾아볼꺼에요. 기대되지 않으시나요?

엄마 아빠가 먼저 읽어보고 예시로 나오는 내용들을 아이들과 함께 보면 더욱 좋을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마이펫 멍냥연구소 스페셜 - 달콤살벌 냐옹툰 비마이펫 멍냥연구소
비마이펫 원작, 박지영 만화 / 서울문화사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구인들아 대세는 고양이야!

비마이펫 달콤살벌 냐옹툰

고양이의 행동, 습성을 알고 올바르게 이해하여 집사가 되는 방법을 재미난 만화로 알려줘요^^

강아지와 고양이 지식정보를 담은 [비마이펫 멍냥연구소]에서 이번엔 고양이만을 위한 상식을 담은 냐옹툰을 출간했네요^^

이 책은 오리지널 웹툰인 <고동툰>의 고양이툰 53편의 이야기를 담은 책으로 예비집사부터 고양이와 오랜시간을 함께한 집사들이 공감할 수 있는 일상이야기과 고양이만을 위한 상식이 가득가득 담겨있어요. 또 가장 좋았던건 "알쓸냥잡" 이란 페이지가 있는데 여기서 [비마이펫 멍냥연구소]을 즐겨읽는 어린이들이 궁금해했던 고양이의 행동이나 음식, 돌보기 등등 관련한 정보글들이 담겨있어서 집사들이 참고하면 정말 좋을 것 같은 주옥같은 글들이라 넘 좋더라구요.

어른들도 아이들도, 누구나~ 재미나게 볼 수 있는 [비마이펫 멍냥연구소] 냐옹툰 기대되지 않으시나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학 입문을 위한 최소한의 서양 철학사 : 인물편 - 요즘 세대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서양 대표 철학자 32인
신성권 지음 / 하늘아래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크라테스부터 쇼펜하우어와 니체, 현대 철학자까지

철학 공부의 첫걸음을 위한 신개념 서양 철학 입문서

철학하면 떠오르는 생각이 있으신가요? 철학이란 무엇인가 마냥 어렵고 고리타분한 내용이 가득담긴 학문이라 생각했던 때가 잠시 있었어요. 철학이란 단어만 들어도 뭔가 그냥 어렵고 답답했던 그런 때였는데 나이가 들고 시간이 흐르니 철학에 대한 생각이 바뀌더라구요. 거창하거나 뭔가 위대하지 않아도 우리 일상생활 속에 철학이 있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할때 즈음부터 철학 관련한 책들을 종종 읽었던 것 같아요. 읽으면서도 사실... 어렵고 그랬지만 그래도 거부감은 들지 않더라구요.

인간은 자연현상을 향해 항상 의문을 품는 존재였고, 각 시대마다 무엇이 인간으로서 올바른 길인가에 대해 사유하고 알고자 하는 갈망이 컸던 존재였어요. 절망에 빠질때면 그 절망을 극복하고자 수많은 가능성을 생각해내는 존재이기도 했구요. 철학이란건 인간과 인간을 둘러싼 세계에 대한 근본 원리와 삶의 본질 따위를 사유하는 것이며 언제나 우리의 현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요. 이렇게 생각해보신적 있으신가요? 인간과 인간을 둘러싼 세상을 해석하는 하나의 어떤 세계관을 구축하는 것! 직접적인 지식이나 해답을 찾아 정의를 내리기보다는, 질문을 던지고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는 것? 에 더 가까울 것 같아요. 인물 하나하나 만나다보면 어느샌가 철학에 성큼 한발짝 다가가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같은 기대감이 커집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