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 신화, 재밌고도 멋진 이야기
H. A. 거버 지음, 김혜연 옮김 / 책읽는귀족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들에게 신화 하면 제일 먼저 생각나는 게 그리스 로마신화다. 아주 오래 전(선사시대) 지중해 크레타 섬을 중심으로 한 여러 민족이 섞여서 만들어진 이야기가 그리스 신화이고, 그 신화에 그리스 문화와 신앙이 접목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그리스 신화로 발전하게 되었다. 영웅들의 이야기들을 모아서 그들을 영웅화 시키고, 그 영웅화된 이야기에 당시의 시인들이 영혼을 불어넣어 줌으로써 하나의 서사 형식의 이야기로 탄생된 것이 그리스 로마 신화가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방대한 양과 여러 명의 신들이 등장하고, 어떤 면에 있어서는 난해하게 느낄 수도 있는 것이 신화지만 읽으면 읽을수록 오묘한 재미에 빠져드는 것 또한 신화라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기 전과 후의 느낌을 뭐라고 설명해야 할지 모르겠으나 처음엔 생소하게 읽기 시작했다가 나중에 가서는 익숙하고 친숙한 느낌을 받았다고 해야 하나, 아무튼 내게 첫맛은 썼지만 끝맛은 달콤했던 책이《북유럽 신화, 재밌고도 멋진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그리스 로마 신화의 이야기들을 당시의 시인들이 전승시키고 유지시켰던 것처럼 북유럽 신화 또한 시인들의 전유물이자 시인들이 부르는 노래였다. 북유럽 스칸디나비아 지방에는 고대 아이슬란드어로 기록된 에다(Edda)라 일컬어지는 운문과 산문 2종의 옛 문서가 있었는데, 이 운문과 산문은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시인들의 노래들을 모아 기록한 것으로, 우리나라로 치자면 구전가요와 비슷했다. 그리고 이 에다(Edda)는 옛날부터 내려오는 에다(옛 에다)와 아이슬란드 시인인 스노리 스툴루손이 산문으로 쓴 에다(신 에다)가 있었는데 북유럽 신화는 이 두 에다를 통해 후대에 전해졌고,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살았던 게르만 민족을 통해 유럽 전역에 퍼져 나가게 되었다. 그리고  많은 시간이 흐른 오늘날 북유럽 신화는 북유럽 그들의 삶과 문화를 대표하는 에다의 상징으로 남아 있다.


더욱이 신화는 그 자체가 근본적으로 인간 정신의 원형을 간직하고 있는 이야기다. 꿈의 분석에서 프로이트보다 한 수 위라고 평가되는 스위스의 정신의학자이며 심리학자인 칼 구스타프 융도 인간의 심층 심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집단무의식의 하나인 신화에서 그 원형을 찾아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말한 적이 있다. 신화는 이처럼 인간 정신에 숨어 있는 고유의 이미지를 상징화한 이야기며, 아무리 인류의 역사가 흘러도  인간에게 남아 있는 무의식의 연결 고리로 가능하다.(본문 7쪽 中)

이 책에서 가장 매력적인 부분이라고 한다면 제일 마지막 부분에 있는 그리스 신화와 북유럽 신화의 신들을 비교한 부분이다. 환경은 다르지만 혼돈의 시대에서 탄생했고, 북유럽 신화의 중심이 되는 오딘, 빌리, 베 3형제와 그리스 신화의 중심인 제우스, 포세이돈, 하데스 형제와 정확히 대응된다는 점에서 다른 듯하면서도 같고, 같은 듯하면서도 다른 이 두 신화가 한 뿌리에서 나왔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퍼즐 조각의 퍼즐을 맞추듯 제우스와 오딘, 노른과 모이라이, 프리가와 헤라, 프레이르와 아폴론, 프레이야와 아프로디테 등 운명이나 계절, 음악, 전쟁, 사랑과 미에 있어서 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신들과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신들의 행동이나 특징에 있어서 유사점이 상당히 많다는 것은 이 두 신화가 한 뿌리에서 나왔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본다.

프로이트 정신분석연구소장인 이창재 박사의 <신화와 정신분석​>이라는 책에서는 다음과 같은 말을 한다. “신화를 이해한다는 것은 단순히 민족의 옛이야기에 관심을 기울이는 차원이 아니라, 우리가 사는 세상과 전혀 다른 체계에 접속하여 인생의 본질과 목적, 현실의 곤경과 불안에 대처하는 방법들을 거시적으로 음미하는 작업”(신화와 정신분석, 8쪽 인용)이라고 말이다. 많은 신들이 등장하는 북유럽 신화 역시 마찬가지다.  우리와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북유럽에서 탄생된 신화이기에 북유럽 국가(노르웨이, 아이슬란드)의 생활이나 문화를 이해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고, 그들의 재밌는 이야기에 시간가는 줄 몰랐다. 하지만 북유럽의 역사적 지식이 부족했기에 이 책에 나오는 북유럽 신화의 전체를 이해하는 데는 많은 부족함을 느꼈다. 그래서 하는 말인데 이 책을 읽고자 하는 분이 계시다면 그리스 신화를 먼저 읽었으면 한다. 그래서 북유럽 신화와 그리스 신화를 비교하면서 읽어나간다면 이 책이 주는 재미는 배가 될 거라 생각한다. 수많은 신들이 나오고, 우리들의 이야기가 아닌 서양, 그것도 북유럽의 문화와 역사적 기원이 담겨 있는 이야기들이라 약간은 낯설고 지루하기도 하겠지만, 스펙터클함과 판타스틱을 무장한 북유럽 신화 이야기를 접하는 순간 그 지루함은 재미로 바뀌게 될 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