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시대 - 역사상 가장 혁신적인 지혜와 만나다
김용규 지음 / 살림 / 2014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시대에 생각에 대한 생각을 하는 사람이 있을까? 많은 사람들이 바쁘게 살아가는 요즈음 생각한다는 걸 잊어먹고 사는 건 아닌지 생각해보게 된다. 너무나 생각지도 못한 일이 많이 일어나는 지금이기에, 하루가 멀다하고 생각없는 일들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기에, 생각이 어디로 숨어버린 느낌이다. 이런 상황에서 생각에 대한 생각을 하는 남자, 아니 철학자가 있다. 생각에 대한 역사적 프레임을 머릿속에서 생각하는 남자, 학습을 통해 체득했던 지식의 시대는 가고,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합리적인 판단과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내는 사고 능력을 통해 생각의 시대를 외치는 한국의 ‘움베르토 에코’ 김용규 인문학자가 ‘생각’이라는 화두로 우리에게 돌아온 것이다.

인간이 무지했던 시절 타이탄족의 프로메테우스가 제우스의 아궁이에서 불을 훔쳐 건네면서 인간에게 불의 사용을 가르쳐주었다는데서 지식의 기원은 시작한다. 프르메테우스가 불이라는 도구와 함께 인간에게 “사고능력과 지적능력”을 함께 넣어준 것인지는 우리가 생각과 지식을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데 동물이 생존하기 위해 생물학적 방법인 진화를 선택했다면 인간은 문화적인 방법으로 지식을 택했다는 사실이고, 그 선택이 생각의 존재여부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가 됐다고 이 책에서는 보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탄생된 지식이 ‘언어’라는 문자를 통해 ‘폭발-융합-폭발’이라는 단계를 거치면서 발달해왔다고 말하면서 그 단계적 시기를 찰스 밴 도렌C.V.Doren의 『지식의 역사』와 칼 야스퍼스K.Jaspers의 『역사의 기원과 목표』등 유명한 철학자의 책들을 통해 밝히고 있다.

생각할 수 있는 도구들이 그리스에서 탄생되고, 프로테메우스가 인간에게 가르켜준 불의 사용으로 인해 지식이 탄생되고, 생각의 기원이 시작되었다면 생각 이전의 생각은 어떠했을까? 범주화(세상 만물을 유사성을 통해 이 묶음, 저 묶음으로 구분하여 우리의 정신 활동과 언어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원초적이고 근본적인 분류작업) 를 통해 외적으로 세계를 만들고, 내적으로 정신을 만들었다는 내용이 선뜻 이해가 잘 가진 않지만 중요한 것은 범주화를 하기 위해서는 학습이 중요하고, 이 학습을 통해 언어, 문장, 문법, 은유, 논리적 추론 등과 같은 사고를 하게 되고, 이를 통해 우리의 뇌에서 만들어진 ‘개념적 혼성’이라는 작업을 통해 생각이 탄생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런 주장을 바탕으로 책의 뒤에 가서는 범주화를 기본으로 그 ‘개념적 혼성’이 ‘생각’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고대에 일어난 사건들을 통해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다.

생각의 도구라는 차원에서 보면 인간의 모든 이야기는 같다. 2,500년 전의 이야기와 현재의 이야기, 미개인의 이야기와 문명인의 이야기, 어린아이들의 이야기와 어른들의 이야기, 신참자의 이야기와 전문가들의 이야기, 신화에서 수학까지, 잡담에서 이데올로기까지, 언어에서 과학까지, 한마디로 인류가 탄생시킨 모든 문명이 은유, 원리, 문장, 수, 수사에 의해 만들어졌다. 그리고 앞으로도 그럴 수밖에 없다. 이 책에서 이야기하려고 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462쪽, 이 책의 맺음말 中)

많은 사람들이 인문학의 위기를 이야기하면서도 인문학은 외면한 채 유명 작가의 소설에 열광하는 아이러니함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인간이 동물과 다른 점은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고, 이 생각을 통해 인간은 나날이 진일보되는 삶을 살고 있음이 분명하다. 이런 삶 속에서 역사상 가장 혁신적인 지혜인 ‘생각’을 통해 인문학적인 사고를 기르지 않는다면 동물과 다를 것이 없다는 비약 아닌 비약을 해보면서, 다시 돌아온 김용규 인문학자의 《생각의 시대》를 통해 우리 모두가 ‘생각’을 공부하고, ‘생각’하는 삶을 살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