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조적 책읽기, 다독술이 답이다
마쓰오카 세이고 지음, 김경균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독서의 神’ 마쓰오카 세이고가 전해주는 지적이면서도 매력적인 독서법
한동안 책읽기를 잘못해서 심한 홍역을 앓은 적이 있다.
책을 좋아해서 책을 자주 구입하는 편인데 책을 볼때면 집중해서 읽지를 않고 SKIP(건너뛰다)을 하고, 뒤의 내용을 먼저 지레짐작해서 내용을 유추해버리며, 책읽기에 속도를 붙여서 한 번 완독하는데 기준을 두고 다 읽고 나면 나홀로 완독했다는 성취감에 빠져 다른 책을 또 이런방식으로 취한다는 점이다. 물론 이런 방식이 통하는 책도 있지만 거의 대부분은 이런 방식이 통하질 않으며, 잘못했다간 알맹이는 버리고 껍데기만 취하는 현상이 올수도 있다. 이런 잘못된 독서습관 때문에 한동안 슬럼프에 빠져 책읽는 걸 엄두도 못내다가 ‘독서의 神’ 마쓰오카 세이고를 만나고부터 나의 잘못된 독서습관은 달라지기 시작했다.
6만 권 이상의 책을 소유하고, 2000년부터 지금까지 하루에 한 편씩 독서 체힘기를 인터넷에 올리는 ‘독서의 神’ 마쓰오카 세이고의 책읽기는 한편으론 독특하면서도 우리가 책을 읽으면서 쉽게 간과할 수 있는 점들을 몸으로 직접 실천하는 분으로 느껴졌다. 책은 반드시 두 번 읽으며, 난독(亂讀, 책의 내용이나 수준 따위를 가리지 아니하고 아무 책이나 닥치는 대로 마구 읽음)과 계독(系讀, 계보를 쫓아가는 독서 → 마르크스주의와 관계된 책을 읽는 것)을 통해 독서의 본질을 파악하고, 여러가지 독서법(차례 독서법, 표시 독서법, 매핑 독서법, 독해력 단련법)을 통해 독서의 최종목표인 다독을 즐기시는 분이셨다.
그럼 많은 책을 읽기 위해선 어떤 준비가 필요한 것일까?
마쓰오카 세이고씨는 매일 일상생활에서 하는 다른 행동들처럼 책읽기를 그냥 가볍게 받아들이라고 말한다. 그렇게 받아들이면 책읽기는 어떤 특별한 행동이 아니라 옷을 매일 반복해서 입고 벗는 것처럼 일상적인 하나의 행위가 되는 것이고, 그렇게 편하게 대하다 보면 책읽기에 여러가지 방법을 접목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감독(感讀), 탐독(耽讀), 석독(惜讀), 애독(愛讀), 감독(敢讀), 범독(氾讀), 식독(食讀),녹독(錄讀), 미독(味讀), 잡독(雜讀), 협독(挾讀), 난독(亂讀), 음독(吟讀), 공독(攻讀), 계독(系讀), 인독(引讀), 광독(廣讀), 정독(精讀), 한독(閑讀), 만독(滿讀), 산독(散讀), 조독(粗讀), 근독(筋讀), 숙독(熟讀), 역독(逆讀), 잡독(雜讀) 등 때와 장소에 따른 다양한 느낌의 독서 방법들을 접목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독서는 ‘독’ 이기도 하다”
책은 바이러스이기도 하고 ‘극약’이기도 합니다.
모든 책을 대중요법처럼 읽으려고 하는 것은 적절치 못합니다. 그런 독서는 불가능합니다.
독서란 원래 위험 요소를 동반합니다. 그것이 독서입니다.
따라서 책을 읽으면서 그 책이 자신을 응원해 줄 것이라고 기대하지 않은 게 좋습니다.
때로는 배신도 하고, 뒤통수를 때리기도 합니다. 부담을 지우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것이 독서입니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독서가 재미있는 것입니다. (본문 192쪽 中)
예전에 비해 지하철이나 버스 등 공공장소에서 책읽는 사람들을 자주 발견하곤 한다. 책에 푹 빠져서 책을 읽는 사람들을 만나게 되면 사랑스럽기도 하고, 저 분은 어떤 방식으로 무슨 책을 읽고 있을까? 라는 궁금증도 드는 게 사실이다. 책이 홍수처럼 출판되는 요즈음 좋은 책을 고르는 것도 중요하지만 고른 책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도 중요하단 걸 여러분들은 명심하길 바라면서...
여러분은 창조적 책읽기를 위해 어떤 방식으로 책을 읽고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