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처럼
가네시로 카즈키 지음, 김난주 옮김 / 북폴리오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영화 다섯 편이 우리에게 들려주는 희망과 감동의 메시지

 

감명깊게 본 영화 한 편이 한 사람의 인생을 송두리째 바꾸기도 하고, 힘들었던 아픔이나 기억을 희망과 행복이라는 단어로 승화시키기도 한다. 나 또한 그랬다. 어렸을 때 본 영화들이 아직도 내 기억속에 남아서 내가 힘들고 괴로울 때 다시 한번 그 영화들을 볼 때면 언제 힘들고 괴로웠냐는 듯 웃고 있는 내 자신을 발견하게 되고, 그 웃고 있는 내 자신이 너무나도 신기해서 깜짝 놀랄 때가 한 두번이 아니다. 지금은 극장가에 상업적인 영화가 대세를 이루고 있어서 안타까운 점도 있지만 그에 못지않게 명작에 가까운 영화들도 많이 나오기 때문에 흐뭇한 기분으로 영화를 즐기는 요즈음이다.

여기 좋은 영화가 우리에게 주었던 용기와 커다란 행복감을 기억하며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긴 책이 있다.

두 친구(나와 용일)의 우정이 영화로 귀결되어지는 <태양은 가득히>부터, 남편의 죽음으로 괴로워하는 한 여자가 영화를 통해 새로운 사랑을 찾는다는 <정무문>, 두 소녀(아카기와 이시오카)의 일탈을 통해 서로간의 사랑과 우정을 확인하게 되는 <프랭키와 자니>,  한 소년(유)의 성장통과 아줌마의 복수를 그린 <페일 라이더>,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 영화를 통해 소원했던 가족관계가 다시 끈끈해짐을 확인한 <사랑의 샘>까지...
총 5편의 주옥같은 영화들이 조총련계 제일동포인 가네시로 가즈키의 필체로 씐책이 『영화처럼』이다.

이 책에는 5편의 단편 소설들이 수록되어 있고,  각 장마다 영화의 제목을 각 단편의 제목으로 달았다는 게 특이하다. 그러면서 이 5편의 단편들이 하나로 귀결되는 영화가 있는데 그게 바로 오드리 헵번 주연의 <로마의 휴일>이다.

"태양은 가득히"에서는 거지발싸게 같은 생활을 하던 용일이 나의 거절로 인해 혼자서<로마의 휴일>이란 영화를 보게 되고, 함께 영화를 본 수많은 아이들의 눈이 어둠 속에서 스크린을 똑바로 바라보며 반짝반작 빛나는 것을 보면서 용일은 이 지긋지긋한 생활에서 탈출해야한다는 마음을 먹게되고, "정무문"에서는 나와 나루미의 새로운 삶의 시작과 새로운 사랑을 알리는 영화가 <로마의 휴일>이었으며, "프랭키와 자니"에서는 아카기와 이시오카가 ‘일상의 탈출’이라는 공통분모를 찾게 해 준 영화였고, "사랑의 샘"에서는 아까 말했던 것처럼 가족의 사랑을 재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된 영화가 <로마의 휴일>이었다. 

절망적인 삶을 살았던 외톨이 용일, 남편의 죽음으로 인해 삶의 의미를 잃었던 나루미, 어릴 적 아빠 엄마의 이혼으로 무거운 짐을 안고 살아야했던 이시오카, 심한 성장통을 알았던 유와 절묘한 복수를 꿈꾼 한 여자, 그리고 할아버지의 빈 자리가 너무도 그리웠던 도리고에의 할머니.... 이 모두가 같은 장소에서 같은 곳을 응시하며 본 영화 <로마의 휴일>...이 한 편의 영화가 구민회관에 모인 이 모두에게 사랑과 희망, 그리고 용기를 심어 준 영화가 된 것이다.

사람들은 영화를 보면서 그 안에서 우정을 쌓아가고, 사랑하고, 세상을 바꿀 용기를 얻는다. 그런 의미에서 가네시로 가즈키의『영화처럼』은 좋은 영화가 우리의 삶을 180도 바꾸게 하는 힘이 될 수도 있으며, 좌절과 시련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다시 일어설 수 있다는 용기와 희망을 주기도 하고, 가족의 유대감을 돈독히 해주는 매개체가 될 수도 있다는 걸 느끼게 해 준 책이었다.

수 많은 영화가 쏟아져나오는 요즈음 우리에게 용기와 희망을 줄 수 있는 명작들이 많이 만들어지길 바라면서....
용기와 희망을 버린 채 이 시대를 힘겹게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에게 이 책을 선물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