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나르도 다 빈치 베이식 아트 2.0
프랑크 죌너 지음, 최재혁 옮김 / 마로니에북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까이에서 모나리자의 그림을 본 건 처음이다. 그것도 미술관이 아닌 가로 22, 세로 27의 미술책 판형을 통해서. 처음 봤을 땐 “이게 레오나르도 다빈치 하면 떠올리는 모나리잔가?”라는 의구심이 들었는데 계속 보고 있으니 판본에 새겨진 세월의 흔적과 묘하게 웃고 있는 눈가의 미소가 점점 그림 속으로 빠져들게 만든다. 누구의 말처럼 “눈썹도 없고 그렇게 미인 같지도 않은 여인을 왜 그리 많은 사람들이 열광을 할까?” 란 생각을 해보게 되지만 결국엔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린 그림이라서 뭔가 특별할 거 같은 기대감 속에 다빈치가 모델로 삼은 여성의 원숙미가 더해져서 지금의 모나리자를 만들지 않았나 싶다.

피렌체에서 화가로서의 견습 생활을 시작한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드로잉 솜씨는 가희 천재적이었다. 될성부른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본다고 그 시대의 작가와 비평가들은 그에게 “결코 평범하지 않으면서 독보적이기에 언제나 주목할 수밖에 없는 작품(본문 7쪽)”이라는 찬사를 남길 정도로 다빈치의 그림 솜씨는 처음부터 수준급이었다. 이런 천재적인 드로잉 기술을 가졌음에도 완벽함을 추구하는 그의 열정과 한 번에 너무 많은 작품을 손대다 보니 그림을 완성시키지 못하고 포기해버린다는 치명적 단점이 항상 주위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들었다. 그 불안을 뒤로하고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건축학, 해부학, 과학 등 여러 분야의 그림 그리기에 열중했고, 사람들이 하나둘씩 그의 그림을 알아보기 시작했다.

이런 과도기를 발판 삼아 그의 나이 서른에 밀라노에서 <암굴의 성모>란 작품을 통해 화가로서의 지위를 확실하게 각인시킨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궁정화가로서의 지위를 확립하기에 이른다. 궁정화가가 됐다는 것은 이른바 ‘궁정’이라는 안정적인 무대가 있으니 그가 그림을 그리는 데 있어서 더 안정적이면서 편안하게 그림을 그릴 수 있다고 해석하면 편할 듯하다. 이때 그린 그림이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모나리자>와 함께 화가로서 명성을 널리 알린 <최후의 만찬>이었다. 예수를 둘러싸고 나는 배반자가 아니라고 항변하는 듯한 열두 제자의 모습을 네 무리로 나누어 각 인물에 맞는 표정과 몸짓을 정확히 표현해낸 생동감 있는 요소들과 장소적 특성을 고려한 원근감 및 인물들에 대한 리듬감의 부여 등을 통해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예술의 혁신적인 모든 것을 <최후의 만찬>에 쏟아부었고, 그 결과 <최후의 만찬>이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들에게 기쁨을 주고 있는 것이다.

최후의 만찬(The Last Supper) - 지금은 많이 손상되었지만 이 벽화는 치밀하게 계획된 인물들 각각의 표정과 자세의 표현 이외에도 무엇보다 인물을 몇 개의 무리로 나누어 대조적인 효과를 주었다는 점에서 뛰어난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본문 52쪽 中)

96쪽 분량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읽으면서 그의 드로잉 솜씨에 놀랐고, 그가 그린 그림들을 보면서 르네상스 시대의 거장이라는 타이틀이 괜히 붙은 게 아니라는 걸 실감했다. ‘스푸마토’라는 기법으로 그렸다는 <세례자 성 요한>을 보면서는 컴컴한 방 안에서 홀로 빛을 발하는 촛불처럼 느껴질 정도로 아름다운 요한의 모습과 투명한 도료를 여러 번 겹쳐 바르면서 하나의 그림을 완성하기에 열심인 다빈치의 모습이 오버랩되면서 묘한 신비감을 주기도 했다. 이처럼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통해 그가 그림을 통해 여러 분야에 관심이 많았던 화가였다는 사실과 그런 호기심을 그림을 통해 불어넣었던 그의 천재적인 영감들을 이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서 읽는 내내 즐거웠고 행복했다. 이런 행복감을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그림을 좋아하는 다른 분들도 느꼈으면 좋겠고, 이 책에 실린 그림들을 통해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진가를 다시 한번 확인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