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멋진 신세계 ㅣ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2
올더스 헉슬리 지음, 이덕형 옮김 / 문예출판사 / 199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꽤 고전에 속한다. 진작에 읽었어야 했지만 줄거리를 대충 알고 있는 영화를 보고 싶지 않은 똑같은 이유로 이제야 읽게 되었다. 좀 늦었지만 오히려 지금 읽은 것이 책의 내용을 보다 현실성있게 받아들일 수 있었다.
헉슬리가 묘사하는 멋진 신세계는 과학과 물질문명이 고도로 발달한 문명사회다.
인간의 태아들은 인공 부화장의 수정실에서 인공적으로 수정되어 가장 뛰어난 알파계급부터 가장 천한 엡실론 계급까지 분류된 다음 그 계급에 맞게 서로 다른 조건으로 배양된다.
태어난 아이들은 어린 시절부터 파블로프식 조건반사교육과 수면시 교육을 통해 자신의 삶에 만족하며 행복하게 살아가도록 교육된다. 더운 곳에서 일할 사람은 더위에 추운 곳에서 일할 사람은 추위에 익숙해지도록 훈련되는 것이다. 인간의 모든 본성은 치밀하게 계산 된 교육과 훈련 속에서 조절되고 만들어진다.
이렇게 자라난 인간들은 자신의 계급에 순응하며 불만 없이 행복해 하며 살아간다. 임신과 출산의 고통도 없으며 성은 모든 사람과 공유하는 즐거움의 대상이 된다. 사회의 기초가 되는 부부관계나 가족관계는 부정된다. 잠깐씩 드는 우울함이나 걱정은 행복의 약 소마를 통해 해결된다. 예술과 종교도 부정된다. 오로지 격리되어 살아가는 야만인 사회에서만 구시대적인 가족관계 소유관계 임신과 출산 종교등이 남아있을 뿐이다.
헉슬리가 묘사하는 멋진 신세계는 물론 유토피아가 아닌 디스토피아의 세계다. 작가는 멋진 신세계란 반어법을 사용하여 획일화되고 기계화된 끔찍한 전체주의 사회와 극단적인 유전공학에 대해 풍자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획일화된 인간성을 통해 사회의 안전과 공유 균등을 실현하고자 하는 사회가 결코 유토피아가 될 수 없을 것이다.
작가는 이 책에서 디스토피아를 넘어선 사회의 모습을 그려내진 않고 있다. 야만인 사회에서 문명의 사회로 오게 된 존이라는 인물은 문명사회의 모순을 통렬히 비판하지만 그가 살던 야만인사회로 돌아가진 않는다. 그가 선택하는 건 죽음이다. 대안적 유토피아에 대해선 독자의 몫으로 남겨놓았는지도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 아쉽게 여겨지는 부분이다.
과학의 발달과 물질문명의 발달이 인간을 어떤 세상으로 안내할 지 꼭 유토피아적인 상상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한번쯤 해보지 않았을까?
복제인간과 사이보그가 공존하고 고된 노동이 사라진 자리에 즐거움과 유희의 도구들이 인간의 행복을 증진시키고 태어날 때부터 유전적으로 걸러진 건강하고 뛰어난 사람들이 살아가는 세상..
몇년 전 한 선배로부터 미래엔 공장에서 뇌가 없는 무뇌 인간이 생산될지도 모른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가 생각난다. 그 땐 그 얘기가 얼마간 충격으로 다가 왔었다. 그러나 지금은 그 선배의 얘기가 상당히 개연성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그 몇 년사이 과학은 복제인간이나 줄기세포를 통해 인간의 장기를 만들어 내는 실험에서 상당한 수준까지 발달했으니 말이다. 동물의 몸에서가 아니라 인간의 몸에서 바로 장기를 얻을 수 있는 길이 열리지 말라는 법이 어디 있겠는가?
인간 복제기술이 발달하면 여자는 남자의 도움없이도 아이를 갖을 수 있을 것이고 동성애자들도 자신의 아이를 갖게 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의 윤리의식으로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을 것 같지만 인간의 윤리란 결국 인간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 누가 아는가? 지금은 말도 안된다고 생각하는 현실이 너무나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세상이 올지. 여하간 내가 꿈꾸는 세상이 아닐지라도 미래의 모습이 희망적이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