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회
윌리엄 트레버 지음, 김하현 옮김 / 한겨레출판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에는 단편소설인 줄 모르고 목차 간의 이어지는 연결선을 찾기위해 집중했던 윌리엄 트레버의 '밀회', 왠지 책 제목에서 느껴지는 이미지는 인간 본연의 어두운 느낌이 가득할 것 같았다.

일단 표지에서 느껴지는 여인의 비밀스러운 뒷모습이 호기심을 자극하며 코랄톤의 핑크색으로 새겨진 '밀회' 제목은 왠지모를 사랑스러운 향기를 풍기는 책의 앞모습이었다.

'윌리엄 트레버', 이 작가분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노벨 문학상 후보로써도 몇 번 거론되었던 분이라고 한다. 소설가의 소설가이며 우리 시대의 체호프라고 불리는 이 분이 써내려가는 가상의 세계는 어떤 매력이 있을까? 라는 질문을 품고 한작품 한작품 읽어 내려간다.


첫 작품 '고인 곁에 앉다' 부터 왠지 집중해서 내려갔던 것 같다. 23년동안 함께 생활했던 남편과 사별한 '에밀리' 그리고 미혼의 '제라티 자매'가 나누는 대화와 심리묘사가 인상깊었다.

특히 미혼의 자매와 사별한 과부를 대조하게 되는 줄거리는 더욱 결혼이 가져다주는 '함께'의 의미를 더욱 '고통'이라는 주제와 같이 생각해보게 된다


"그냥 좀 피곤해서 그래요." 에밀리가 말했다. "이런 때에 지나간 일 얘기를 늘어놓으려던 건 아니었어요.

캐슬린이 충격 때문이라고 말했다. 죽음의 충격은 모든 것을 바꿔놓는다고, 아무리 예상된 죽음이었어도 죽음은 언제나 충격이라고 했다.

"제가 남편을 사랑하지 않았다고 생각하지는 않으셨으면 좋겠어요"

자매는 당황했다. 캐슬린은 무릎을 꿇고 벽난로에 토탄을 넣었고, 노라는 자기 찻잔에 우유를 따랐다. 결혼하지 않은 이 여자들이 어떻게 이해하겠는가? 에밀리는 생각했다. 슬픔도 애석함도 없다 할지라도 세상을 뜬 저 남자에게 얼마간의 사랑이 남아 있다는 사실을 저들이 어떻게 이해할 수 있겠는가?

25P



죽음 앞에 갈라선 부부. 그리고 남은 한 쪽이 하는 과거에 대한 회상은 부정적인 메시지들도 가득하지만 그 또한 사랑이라고 말하는 듯한 메시지를 통해 사랑은 결국 고통을 수반한다는 말이 떠오른다. 그리고 미혼인 자매가 등장함을 통해 더욱 소설 속에서 극적으로 표현되는 것 같기도 하다.

그 외에 인상깊었던 또 다른 단편 '저녁외출', 소개 받기로 한 듯한 남녀, 에벌린과 제프리가 서로에 대한 순수한 애정보다 현실적이고 계산적으로 서로를 관찰하는 듯한 묘사가 냉정하게 보이기도 하였으며 도시적인 현대인의 모습이 투영된 것 같아 기억에 남았던 단편이었다.

'윌리엄 트레버', 나는 이분의 소설을 처음읽지만 매료되었다는 백수린 소설가의 추천서가 기억나는건 왜 그런지 설명할 순 없지만 이해가 될 것 같다.

이 작가분의 단편소설에서 드러나는 모습은 굉장히 관찰력이 섬세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가상 속 인물들인데 그 인물들을 옆에서 지켜보는 것 마냥 세세하게 캐릭터를 표현하기에 깊이가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