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도 몰랐던 독일 사람과 독일 이야기
이지은 지음 / 이담북스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비정상 회담을 다시 시청하며 친근한 이미지를 주었던 방송인이 떠오른다. 비정상 독일 다니엘. 특유의 재미없는 농담을 던지기도 하고 , 소년스러운 목소리에 반듯해보이는 이미지가 인상깊었던 사람이다. 그리고 한 사람에 대한 호기심은 그 사람의 뿌리에 대한 관심으로까지 번지게 된다.

이런 마음으로 그 나라(독일)에 대한 호기심을 품고 서평신청하게 된 책 이름은

'알고도 몰랐던 독일 사람과 독일 이야기'


일단 책의 초반에는 독일사람의 이미지에 대해 간략하게 풀어주는데, 내가 느끼는 평균적인 독일사람의 이미지와 비슷한 면이 많았다. 뭔가 근면성실하고 이성적일 것 같고 딱딱한 느낌, 그리고 그 이미지들에 대해서 몇 가지 포인트를 놓고 풀어주는 이 책을 읽으며 그 안에 문화와 역사를 가미한 설명이 나와 있기에 '아, 그래서 그럴 수 있겠구나!'라고 이해하게 되는 부분이 있어서 마음에 들었다.

절약

필자는 어릴 때 '독일인들은 세 사람이 모여야 성냥불을 켠다'라는 말을 듣고 자랐다. 독일인들의 절약 정신을 강조하는 말이다. 독일인들의 절약 정신은 어디서 오는가? 독일인들은 여러 번의 전쟁을 겪었다. 이로 인해 생긴 엄청난 고통과 함께 화폐 가치의 하락을 경험했다. 미국인들이 '과시형 소비'라고 말하는 불필요한 소비를 최대한 억제하는 독일인들의 소비심리는 이런 경험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알고도 몰랐던 독일사람과 독일 이야기 37P

뿐만 아니라 보통 그 사람들이 쓰는 언어에는 그 문화의 특징이 함축되어 있는데, 독일어 안에 함축된 의미들이 인상깊었다. 예를 들어 그리움을 의미하는 독일어, 젠주흐트(Sehnsucht)가 '보다'와 '중독'의 의미를 가진 두가지 단어가 합쳐져서 나왔다는 것이 독일의 감성이 녹아나 왠지 로맨틱하게 느껴졌다

또한 독일인들에게 '아버지 국가'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도 참 의미심장해보여 재미있다.

국가

독일인에게도 '아버지 국가(Vaterland)라는 표현이 있다. 물론 영어에도 '조국'이라는 어휘가 있지만 독어의 뜻과는 뉘앙스가 사뭇 다르다. 영국인이나 미국인들은 국가를 아버지와 비교하려는 생각은 아예 하지 않을 것이다

알고도 몰랐던 독일 사람과 독일 이야기 77P

국가라는 단체를 독일사람 개인이 가깝고 깊게 느끼는지에 대한 생각이 뭍어나 있는 표현 같다는 생각이 든다. 너무 극단적으로 빠지면 다른인종을 무시하는 국수주의, 나치주의로 빠질 수 있겠지만 적당한 선에서 나의 나라를 믿는다는 것은 귀중한 특징일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이 책에서 다루었던 또한가지 흥미로운 주제, 나치 독일이 가능했던 이유.. 많은 철학가와 시인이 태어나기도 했지만 그만큼 다른나라에 나치로 피해를 주었던 국가,, 이 내용은 예민하기도 하면서 많은 역사가들이 다양한 시각으로 다루고 있는 것 만큼 이 책에서 나오는 내용 역시 한 시점으로 봐야함을 느끼며 읽어내려간다.

이지은 작가님은 이 한가지에 대해 이야기하기위해 독일의 과거를 거슬러 수많은 이야기를 하시는데 인상깊었던 것은 독일이 '한국가'로 뭉치기 위한 과정이 참 다이나믹 했단 것이었다.. 단순하게 서독, 동독 두 지역이 합쳐저 통일되었다고만 알고있던 나였기에 '신성로마제국' 내에서 수백 개의 왕국, 또는 대.중.소 영주 제후국 등으로 분열되어 있었던 적이 있다는 역사적 사실은 더욱 역동적으로 느껴졌다.

하지만 그것이 나치를 합리화시키지는 못하지만 '그 나라가 가진 아픔'에 대해 묵상하게 만들고 그렇기에 '그 나라 본연의 가치'에 대해 더욱 깊이있게 탐색하게 되는 서평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