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가 일각돌고래라면 -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는 편견에 대하여
저스틴 그레그 지음, 김아림 옮김 / 타인의사유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자 니체의 머릿속은 항상 분주했을 것 같다.

그를 고통스럽게 했던 병은 뇌연화증이었고 끝내 이 병으로 인해 죽었다.

토리노에서의 말과의 만남이 그가 가진 병을 극적으로 진행시켰을 수도 있겠지만 그것을 떠나 니체가 좀 더 단순하게 살았다면 좀 더 오래 살 수 있었을까?

'니체는 필요 이상으로 지나치게 똑똑했던 걸까?'

무언가에 대해 너무 열심히 생각하는 일이 반드시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는 점을 통해 저자는 니체가 일각돌고래 수준의 인지적 능력을 가졌을 때를 가정해본다.

저자는 지능을 둘러싼 문제와 그것이 좋은 지 나쁜 지에 대해 살펴보자고 한다.

인류가 이루어낸 업적들이 실재 진화적으로는 별로인 해결책이라며...

인간의 지능이 무슨 소용이 있는지에 대해 대답해보자고 한다.

그동안 우리가 생각하고 있었던 지식, 진리 등에 대해 저자는 진화적 적합도의 관점에서 가치 판단을 해보자 한다.

자, 그럼...

인간은 "왜?"라고 하는 질문을 통해 발전을 이루어왔다.

동물은 어쩌다 발견한 유용한 것들을 (이를 테면 바르니까 상처를 낫게해준 식물, 먹어보니 설사를 멈추게 해준 과일, 사용하고보니 높은 곳의 먹을 것을 잡게해준 막대기 등등등) 반복해서 이용하기는 해도 왜?라고 궁금해하지는 않는다.

인간은 왜?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단순한 발견이었지만 더 나은 것을 찾고 방법을 모색하며 개선하고 적용 범위를 넓힌다.

하지만... 그게 다 좋은 것일까?

속인다는 것은 인간이나 동물이나 모두 생존을 위해 익히고 활용해야 할 유용한 기술이다.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해, 번식을 위해와 같은 다양한 이유로 동물은 다른 생물을 속인다..

인간은 언어적 능력을 더해 거짓말도 한다.

하지만... 그게 다 좋은 것일까?

동물은 죽음에 대해 어떻게 인지하고 있을까?

동물은 종족의 번식과 유지, 질서 유지를 위한 규칙에 더해 우리가 도덕성이라고 말하는 것에 대해 인지할까?

동물에게는 의식도 없고 과거를 돌아보는 능력이 없을까?

저자는 이런 질문에 대해 인간의 지능이 항상 순기능만 하고 있지 않음을 말하고 있다.

나아가 정도를 지나치고 벗어난 인간의 지능으로부터의 어떤 성취가 더 나쁜 길로 우리를 나아가게 하고 있다고 말한다.

빈대를 박멸하기 위해 DDT를 마구 뿌려댄 결과는 내성을 장착한 빈대의 출현과 유전 변이 등의 부작용을 초래했고...

화석연료 소비의 결과물인 기후 온난화의 영향에 직면해있으면서도 여전히 사용 중이며...

죽음에 대한 진지한 고민은 종교적 광신을 유발하며 사회적 도덕적 사건을 만들고 있고...

도덕성에 대한 편견은 동성애를 비롯한 성소수자 문제 등을 통해 갈등을 만들어내고 있다.

과연 성공의 기준은 무엇일까...

인지적 능력이 이루어낸 성취와 관련한 좋은 것이라는 평가는 무엇을 기준으로 하는가...

저자가 말하는 '인지적으로 좋은 것은 개별 동물과 세계 전체에, 현재와 예측 가능한 미래에 모두 가장 큰 쾌락을 주는 것들'이라고 하는 좋은 것, 성공, 성취에 대한 기준은 정말 적절한가...

결론적으로 저자는 주장한다.

인류는 더 많은 쾌락을 생산하고 경험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종을 능가하고 있다는 증거는 없다고...

인간다운 인지 능력을 다른 동물들이 갖고 있지 못한다고 해서 불쌍히 여길 필요도 없으며...

인간 세상은 더 나은 곳이 되었을까?에 대한 대답은 꼭 그렇지는 않다라고 하면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고 하는 자만감은 거두어야 할 것같다고...

"지금 이 시점에서 (인간의 인지적 능력이) 어디로 향하느냐에 따라 인간의 지능은 지금껏 존재했던 것 중에서 가장 어리석은 무언가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p316)

내 생각엔 이랬다.

책을 읽는 내내 떠나지 않았던 생각이 있다.

하나는... 중용...

또 하나는... '아는 것이 병이요 모르는 것이 약이다'와 '아는 것이 힘이요 모르는 것이 병이다'라는 속담의 차이...

다른 하나는... 아킬레우스와 거북이의 경주...

거북이의 시각에서 자기가 간 거리만큼의 단위로 판단하면 늘 앞서있는 것처럼 보이는...

동물들이 인간보다 어떤 면에서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은 맞는 이야기 아닌가?

동물들의 딱 그 수준에서 한걸음, 딱 한걸음만 더 나아갔다면 오늘날 인간과의 관계는 영화 혹성탈출의 그 관계가 되어 있지는 않았을까?

저자가 의도한 바는 아니겠지만 저자의 속내는 중용을 지키라고 하는 것이라고 내 맘대로 생각해본다. ^^

여하튼...

지나치게 복잡한 것, 지나치게 앞서나간 것을 생각하고 고민하지 않아서 좋을 수도 있겠지만...

그래서...?

저자는 일각돌고래가 되고 싶은 것일까?

문득... 배부른 돼지보다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되겠다는 말이 떠올랐다.

난... 동의한다 이 말에...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독후감입니다.]


#타인의사유, #니체가일각돌고래라면, #저스틴그래그, #서평단, #김아림, #인지적능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