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느낌은 "마음이 있는 모든 존재에게 그 마음이 속한 유기체 내부의 생명 상태를 알려준다. 또한, 느낌은 그 마음이 느낌의 메시지에 담긴 긍정적 또는 부정적 신호에 따라 행동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p118-119)
감각과 지각에서 이제 느낌이라는 이미지화의 단계로 접어들었다.
저자가 뇌과학자라는 것을 책에서는 잊어먹지 않게해준다. 달리 이야기하면 다른 학문에 정통한 학자의 견해에서 이야기하면 어쩌면 좀 형이상학적인 접근을 알려줄 지 모르겠지만 책은 다르다.
뉴런과 축삭, 시냅스, 비시냅스, 신경...
느낌이라는 것이 발생되는 것이 촉각과 미각이라는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에 의해서 뿐만아니라 시각과 청각이라는 약간 상상력이 동원되는 비접촉에 의한 것까지 정보를 모아 뇌의 전두엽과 그 일대를 통해 구현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카이스트 뇌과학자 정재승 박사의 추천이라는 말이 새삼 다가오는 순간이다.
게다가 "대학수준의 심리학 또는 신경과학 지식을 가진 독자들은 이 간단하고 짧은 다마지오의 책을 무릎을 치면서 읽게 될 것이다." (p218)라는 역자의 말에 점점 더 공감이 가는 부분이기도 하다.
나는 잘모르겠다는 말이다. ㅠㅠ
느낌이라는 것이 대뇌피질의 영역에서 의식적으로 재편성되고 재구성되어 종국엔 지식이 된다고 말하는 것 같다.
그 지식의 양이라는 것은 기억이라는 패턴의 수량에 달려있으며, 이러한 말은 물리학의 엔트로피라는 개념에 유사하다고 말한다.
이와 같이 단세포적인 감각으로 부터 시작된 이미지, 느낌, 의식의 단계는 지식이라는 곳에 까지 다다르며, 뇌의 용량이 비율적으로 가장 크다는 인간의 현재를 이루어낸 원동력이 된 것이라고 주장하는 듯 하다.
어렵다.
책을 덮으면서 이 책은 한 두번 읽어서 이해가 될 것 같지않다는 불길함과 함께 가슴을 찌르는 감수자의 말로 마무리한다.
"이런 책은 한 페이지를 읽고 한동안 창밖을 바라보고 싶다."
난... 어쩌면 오랜 시간동안 바라보고 있을 지도 모르겠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독후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