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 1 고양이 시리즈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전미연 옮김 / 열린책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오랜만에 읽어보는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신간...

그동안 작가의 책은 나무와 파피용에서 멈춰 서 있었던 듯...

따끈 따끈한 책을 새로이 받았으니 촥촥촥...ㅎ

책은 두 권으로 이루어져있다. 그 첫번 째 권...

1막은 지상 낙원, 2막은 제 3의 눈으로 되어있다.

줄거리는 대충 이렇다.

어느 날 쥐 떼가 모든 것을 장악한다.

고양이 바스테트 (암고양이)와 고양이 피타고라스 (수고양이) 그리고 바스테트의 집사 나탈리 (이들이 일단 주인공 트리오로 보인다)는 쥐 떼의 공격으로부터 살아남기 위해 센 강의 시테섬에 수백명의 인간 생존자와 고양이 수백마리와 함께 방어 진지를 구축한다.

쥐 떼는 시테섬으로의 직접 공격보다 포위하여 굶주리게 하는 전략을 들고나왔고, 이에 바스테트, 피타고라스, 나탈리는 열기구를 만들어 시테섬을 나가 도와줄 누군가를 찾으러 나간다.

그들은 오르세 대학에서 생존자들을 만나게 되었고...

오랜 만에 읽게된 작가의 소설은 고양이가 중심이다.

고양이 피타고라스는 인간의 실험실에서 과학 실험을 위해 정수리에 USB 연결 단자를 설치 수술한 고양이이다. 제3의 눈이라고 부르는 이 연결 단자를 통해 피타고라스는 인터넷에 접속해 인간의 지식을 습득하고, 고양이와 인간 나탈리 간의 의사 소통을 가능하게 도와준다. (제3의 눈과 스마트폰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피타고라스가 습득한 인간의 지식은 쥐 떼로부터 방어를 하는 데도 그리고 열기구를 만들어 도움을 구할 곳을 찾는 데 있어 도움이 되고 있다.

고양이 바스테트는 전형적인 고양이의 모습을 보여준다. 고양이과 특유의 몸놀림으로 쥐와 새 등을 사냥하여 섭취하기도 하고, 집사인 나탈리에게 친밀감을 표시하기도 한다.

그리고 많은 고양이들이 나온다. 고양이과 동물이지만 고양이는 아닌데 고양이와 함께 어울려있는 사자 한니발과 바스테트의 아들 안젤로, 대통령 궁에서 대통령의 반려묘였던 볼프강 등...

고양이들은 개들과 달리 독립성이 더 세다고 하나? 생존력이 좋다고 하나? 여튼 야생성을 금방 찾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그래서 주인공이 개가 아니라 고양이일까 싶기도 하다.

고양이 바스테트는 전형적인 고양이의 모습과 생활 방식을 보여주고 있는데 책을 읽어나가다 보면 점점 뭐랄까 인간화되어간다고 해야하려나 그런 기분이 든다.

어쩌면 고양이 피타고라스의 영향인지도 모르겠다. 옆에서 인간에 대한 이야기를 계속하면서 영향을 주고 있으니 말이다.

이렇게 고양이가 인간처럼 생각하고 인간처럼 행동하는 과정을 그려나가려는 것일까? 그리고 그것을 "문명"이라고 저자는 이야기하려는 것일까?

요부분이 2권에서 어떻게 나타날지 궁금하게 하는 부분이라 해야겠다.

그리고 소설의 구성은 고양이들의 이야기와 "상대적이고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이 반복적으로 교차하면서 소설 속의 내용을 보완 설명해주고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베르나르 베르베르 소설의 전형적인 구성 형태라고 해야할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구성이 거슬린다기 보다 무언가 채워주는 느낌? 뭐 그런 느낌이 들어서 이질감이 들지 않는다는 것이 이 작가 소설의 특징이라고 해야하겠다.

그나저나 1권의 끝부분에 고양이 바스테트는 실험실에서 자신도 피타고라스와 같이 제3의 눈을 갖고자 수술대에 오른다.

바스테트는 피타고라스가 부러웠을까? 인간의 지식을 습득해서 무엇을 하고 싶은 것일까?

고양이가 인간을 이해한다는 것이 인간이 고양이를 이해한다는 것과 어떤 차이가 있는 지 사실 궁금하긴 하다.

하지만...

이것도 문명의 일부일까? 문명화?

바스테트가 수술을 받으려할 때 인간 과학자가 말한다.

"원한다니까 해주긴 해주는데, 네가 나중에 자기를 원망하지 않는다는 약속을 받아 둬야겠다" 라고...

프로메테우스가 '불'이라는 것을 인간에게 전달해준 것이 인간 문명화의 시작일까?

그렇다면 우리는 불을 받은 것을 후회하고 있을까?

난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인간 과학자가 바스테트에게 받아두고 싶었던 그 약속의 의미는 무엇일까?

2권이 기대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독후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