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면서 한번은 경제학 공부 - 쉽게 배워 바로 써먹는 경제적 사고 습관 내 인생에 지혜를 더하는 시간, 인생명강 시리즈 3
김두얼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경제학 공부"

처음엔 정말 설마했다.

그런데 이건 진짜다...

고등학교 사회 시간에 배웠던 수요과 공급 곡선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확장...ㅋ

누군가가 그랬다... (뭐 존 메이나드 케인즈라고는 구태여...ㅎ)

"(경제와 경영) 현장에 있는 사람들은 자신이 어떤 지성의 영향에서 상당히 벗어나 있다고 믿지만, 항상 죽은 경제학자의 노예일 뿐이다." 라고...

그래서 경제학 개론은 항상 존재하고... 저 수요와 공급 그래프를 위시한 효율적 시장 가설과 한계 효용 등과 관련된 불라불라는 우리 주위에서 목소리를 내고 있는 지도 모른다.

내 주변에 어느 분은 주식투자를 함에 있어서 그저 차트만을 보시고 한단다.

책을 보면 참으로 많은 이론과 주장이 난무하는 데도 결코 혹하거나 휘둘리지 않는다고 하시면서...

하지만 몇몇 주장들은 가만히 보면 그 가장 밑바닥의 사상은 어디선가 들어본 것 같은 기분이 들 때가 있지 않은가?

포트폴리오 투자가 어떻고 뭐 이런 것들부터 말이다.

우리가 살면서 한번은 경제학 공부 아니 경제학 개론을 읽어보아야 할 필요가 여기에 있지 않나 싶다. 뭐 아니면 말고... ㅡ.ㅡ

어떤 면에서 보면 수요-공급 곡선을 이해하는 것은 생각보다 단순한 면이 있다.

수요 곡선을 올리고 내리고, 공급 곡선을 올리고 내리고 하는 과정에서 만나는 지점이 가격이며, 그 만나는 지점을 이리저리 옮겨다니다 보면 그려지는 우상향 우하향 곡선의 자취가 생산과 재고에 대한 다른 표현이니 말이다.

딱 요기까지... ㅎ

사실 다른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하면 어렵다.

아니 그래프에 이런 저런 기호와 점선이 게다가 알파벳에 무언가가 덧붙여지는 것이 늘어나기 시작하면? 괜히라도 복잡한 것같아 멀리하고픈 것 딱 이것 아닌가 말이다.

사실 자유경제주의자들이 생각하는 시장 만능의 사회가 된다면 더할 나위없이 이상적일 지도 모른다.

싸면 사고, 사려는 사람이 많아지면 더 만들고, 더 만들기 위해 시설 투자를 하고, 늘어난 설비 운전을 위해 더 많은 사람을 고용하고, 고용된 사람들은 임금을 받고, 돈이 있으니 물건을 사고...

이러면 얼마나 좋겠나 싶지만... 현실은 이런 고리의 어느 한 부분에서 조금만 삐끗해도 싫어라 하는 상황이 발생되니... ㅠㅠ

그래서 머리좋기로 따지면 내노라 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조직에서도 모두가 만족하는 정책이나 대책, 방향이 정해지지 못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어쩔 땐 내가 경제학자도 아니고 그렇다고 어딘가 투자를 많이 하고 있는 것도 아닌데 경제학 공부는 무슨... 하는 생각이 들 때가 많다.

심지어 부동산 투자를 어떻게 하고 경매가 어쩌니 공매가 어쩌니 주식 투자가 어쩌니 하는 이야기와 책에 대해서 많이 듣지만 다 딴 나라 이야기라고 생각되는 이유가 내가 그런 것을 하지 않고 있는 데다가 할 여력이 없어서 이다.

그러다가도 그래도 이 정도는... 하면서 또 다시 책을 보곤 하니... 나도 참...

그래도 어디선가 읽었는 지 들었는 지 그런 것 같다.

경제학 공부를 통해 무언가를 하고 이익을 보려는 것이 아니라 손해보고 마냥 떠밀려가듯 살아가지 않기 위해서 하는 것이 경제학 공부라고...

적어도 투표를 할 때 관련된 공약이 도대체 무슨 소리인지는 알아들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ㅎㅎㅎ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독후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