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모두의 미래를 짓다 - 건축 너머의 세계를 향한 치열한 질문과 성찰 서가명강 시리즈 17
김광현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 적 건축이라는 것에 관심이 많았다.

아무것도 모르면서 어디서 봤는 지 어떻게 알았는 지 기억도 가물가물하지만 종이 위에 집의 평면도를 열심히 그렸었다. 이게 내가 살고 싶은 집이라며...

지금 생각해보면 참으로 순진하기도 했고... 혹여라도 그때의 그 그림들이 (설계도라고는 말하지 못할터이니...ㅎㅎ) 남아있다면 그것을 보면서 그냥 헛웃음이 나올 것만 같다.

그래도 그때는 내 집을 짓는다는 꿈이 있었던 것 같다.

시간이 지나고 나니 집을 짓는다는 것은 집을 갖는다와는 또 다른 개념이자 너무나 원대한 상상이라는 생각이다.

너무 현실적이 된 것인지도 모르겠지만...

그래도 요즘은 내가 은퇴라는 것을 한 이후에 어떻게 살까 어디서 살까하는 고민을 다시 하면서 집을 짓는다는 것에 대한 막연한 상상을 다시하는 것을 보면 그 자체 그대로 기분을 붕붕 띄워주는 그 무엇인가 같다.

그래서 전공도 아니지만 건축과 관련한 책을 몇 권째 기웃거리고 있는 지도 모르겠다.

건축학이란?

건축학은 인간 생활을 영위하는 데 빠질 수 없는 삶의 공간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건축의 계획, 설계, 구조, 실내 환경 등의 문제를 다룬다. 지구환경 시대의 구조, 재료, 설비 등의 공학과 기술에 바탕을 두고 인문적, 사회적, 경제적, 심리적인 지식과 예술적 감성을 횡단하며 이를 통합하는 실천적 종합학문이다.

p4,5

이 책은 실재 집을 짓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라기 보다는 건축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이라고 해야하려나...

저자는 건축학이 갖는 학문 상에서의 위치를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저자는 책을 통해 건축에 대한 다양한 시각에서의 담론을 우리에게 말하고 있다.

그 중 눈에 띄는 몇가지를 이야기해보면...

"건축은 본래 이기적이다."라고 말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

인간은 건축을 통해 주변과 구별하고 제압하며 우월함을 뽐내려고 했다고 한다. 선사시대부터 지구 상에 나타난 많은 유적들을 통해 그것을 살펴볼 수 있는 데 거석 문화같은 것이 그 예가 될 것이며, 피라미드도 역시 마찬가지 아닐까 싶다.

역사를 배울 때도 권력이 집중되는 과정에서 당시의 시대상을 엿볼 수 있는 것이 이런 커다란 구조물 즉, 건축물이라고 했으니 말이다.

그런데 이기적이다라는 표현은 금방 수긍하기 어렵다.

그렇게 구분하는 역할을 부여받은 건축물도 있지만 사람들을 불러모으고 어울리게 만드는 그런 건축물도 많이 있다는 생각에서이다. 예를 들어 로마의 콜롯세움이라던지 각종 성당과 극장 등이 이에 해당되지 않을까?

좀 더 생각해보면 건축물이 형성하는 어떤 테두리, 경계선이라고 할 수 있을 구조물과 내부와 외부가 나뉘기는 하지만 그것은 형태적인 부분일 뿐 내재적인 부분까지 그렇다고 볼 수는 없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건축이 존재하는 원천은 '모든 이의 기쁨'에 있다.

p331

건축이라는 것. 그것은 인간이 거주하고 생활하며 사회를 이루며 살아가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 중 하나이다.

역사시대 이전 동굴과 같은 곳에서 현대의 마천루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생활 터전은 많은 변화를 이루었다.

하지만 건축이라는 것에 있어서의 결정적인 하나는 '인간'이라는 것이며, 그 인간의 만족과 기쁨이 없다면 건축의 행위는 죽을듯한 노동이라고 밖에는 달리 표현할 수 없을 것이다.

아렌트가 말했다는 저 표현은 그 인간이라고 하는 것이 단수 명사가 아니라 복수 명사이며, 나 혼자인 개인의 국한 되는 것 뿐만 아니라 여럿이 함께 경험하고 느껴야 하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건축이라고 하는 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안전 보장의 공간이면서도 서로의 사생활을 보호하는 격리의 장이기도 하고, 모두가 함께 누려야할 만족을 키워가는 공동의 공간이기도 할 것이다.

건축이, 집을 짓는다는 것이, 공간을 만들어 간다는 것이 우리에게 더 많은 만족으로 남아있기를 바래본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독후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