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통령을 위한 물리학 - 10년 후 세계를 움직일 5가지 과학 코드
리처드 뮬러 지음, 장종훈 옮김 / 살림 / 2011년 10월
평점 :
우리가 알고 있는 과학상식은 어느 정도 신빙성이 있는 걸까? 불명확한 정보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요즘 같은 시대에는 정보 진위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무척 중요해졌다. 인터넷에는 객관적 근거가 불명확한 온갖 정보들이 넘쳐나고 있다. 이런 모든 정보들의 사실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불가능해 보인다. 그러다 보니까 나와 비슷한 견해를 갖고 있는 정보만 선별해서 듣게 된다. 과연 이런 행동이 옳은지는 따져봐야 하겠지만 받아들인 정보가 모두 사실을 기반으로 작성되었다고 장담할 수 없다.
이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사회적 이슈에 관한 사안에서도 예외가 될 수 없다. 이 책에서 다루는 에너지,환경 문제 등에 대해 다시 한번 고민하는 계기가 된다. 좀더 똑똑하게 현상과 진위여부를 파악하는 사고가 작용하게 되었다고 해야 하나? 또한 통상의 물리학 서적은 난해한 내용으로 개념 이해가 쉽지 않은 데 반해 이 책은 다루는 정도가 내가 만약 대통령이 되었을 때, 정책 결정을 위해 필요한 정도의 앎이다. 너무 복잡하게 깊숙이 파고들지는 않지만 겉핥기 식의 대략적인 내용 소개가 아닌 그 사이 어디쯤이라고 하면 될까?
개인적으로 관심이 있는 에너지 분야의 편견이나 잘못 알고 있었던 내용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된 것이 이 책을 읽은 성과다. 특히 핵에 대해서는 위험하거나 죽음과 연관된 굉장히 부정적인 입장이었다. 하지만 이 책에서 소개한 핵을 이용한 발전이 생각보다 위험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견해를 심어주었다.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명확하고 객관적 근거가 아닌 남들이 위험하다고 하니까 사용하면 안 된다고 생각했다. 아직까지 풀어나가야 할 과제는 존재하지만 무작정 덮어놓고 외면하는 것도 문제가 있다.
이와 더불어 현재 기술수준에서 태양광 발전의 비효율성을 짚고 싶다. 태양광 발전은 청정에너지의 대명사로 미래사회에서 태양광을 이용해 에너지문제를 풀어갈 수 있다고 알고 있었다. 향후 기술이 발전하여 에너지효율이 뛰어난 부품의 개발이나 신기술이 등장한다면 가능하겠지만 현재로서는 태양광을 이용해 발전하는 것이 무척 비효율적이라고 한다. 비용 면에서… 태양광이 지표에 내리쬐는 에너지는 제곱미터당 1kW(1마력)정도라고 한다. 이 중 우리가 사용하는 태양광은 15% 전후라고 하니 발전 효율이 굉장히 떨어진다. 물리학적으로 접근하여 한계를 설명하다 보니까 막연히 생각했던 때와는 사뭇 다른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이 책이 나에게 전해준 것은 지금까지 내가 알고 있었던 편견을 깼다는데 의미가 있다. 막연히 알고 있었을 때는 특정 현상에 대해 두렵고, 배척해야 하는 것이었지만 좀 더 실체에 접근하고 난 후에는 어느 정도 받아들일 수 있겠구나 싶다. 물론 저자의 견해에 전부 동의할 수는 없지만 최소한 2가지 정도를 생각하는 여유는 생겼다. 사물을 바라보는 것이 단면이 아닌 양면을 바라보려고 한다면 이래저래 나타나는 사회적 갈등도 해소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