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봉집 - 조선을 설계하다 한국고전선집
정도전 지음, 심경호 옮김 / 한국고전번역원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역사에서 가장 비운의 인물은 누굴까? 숙부에게 왕위를 빼앗긴 단종일까? 아니면 왕위에서 쫓겨난 연산군이나 광해군일까? 이도 아니면 요즘 영화로 잘 알려진 아버지 영조에게 죽임을 당한 사도세자일까? 이들 모두가 비운의 인물은 맞지만 왕가의 인물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왕위 쟁탈에서 밀려나면서 비운의 일생을 맞은 것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 말하는 삼봉 정도전은 그 내력이 특이하다. 조선개국의 일등공신이면서도 이방원에 의해 목숨을 잃은 후 조선왕조 500여년 동안 조선 역사에서 가장 부정적인 인물로 평가절하됐다. 간신히 조선막바지에 흥선대원군에 의해 신원되었다. 이처럼 극단적인 삶을 살아간 인물도 조선시대에서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과연 정도전이 어떤 인물이었는지 찬찬히 살펴보는 것도 이 책을 읽는 즐거움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그 내막을 알지 못한다면 정도전은 역사에 기록된 듯이 간악한 인물일 뿐이지만 좀 더 면밀히 살펴보면 정치적으로 희생된 인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 와중에 이전에 방영했던 드라마에서 재조명을 받으면서 과연 정도전이라는 인물에 대해 궁금증이 일었다. 과연 정도전은 어떤 인물일까? 진심으로 궁금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정치적 이상을 꿈꾸지만 현실은 그를 받아들이지 못해 오랜 세월 변방에서 떠돌며 힘든 생활을 한다. 그러다가 이성계를 만나면서 그의 정치적 이상을 펼칠 꿈을 꾸게 된다. 그 시대의 고려는 개혁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한쪽에서는 왕씨왕조를 유지하면서 개혁을 하자는 쪽이었고, 다른 쪽에서는 고려의 국운이 쇠했으므로 새로운 나라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정도전은 후자의 인물이다. 그는 새로운 왕조를 꿈꾸며 이성계에게 사활을 걸었다. 우여곡절 끝에 조선이 개국하면서 정도전은 막강한 실력자로 부상하면서 그는 조선의 건국과정에 깊이 관여하고 조선왕조 설계 밑그림을 그려나간다. 자신의 이상을 조선이라는 나라에 투영했던 것이다. 이것이 문제일까? 왕은 상징적인 존재일 뿐 신하가 이끌어 나가는 나라를 생각한 정도전과 왕권강화를 생각한 이방원 사이에 틈이 벌어지기 시작한지도 모르겠다. 1차 왕자의 난에서 지지세력이 갈려 이방원에게 목숨을 잃었지만 정도전은 조선을 사대부의 나라로 심어놨다. 이런 정도전의 밑그림 때문인지 조선시대 왕들은 절대 권력을 휘두르지 못했다. 겉으로 드러난 모습은 비극적이지만 그 속에 스며든 정도전의 뜻은 조선시대 500년을 좌지우지했는지도 모르겠다. 알면 알수록 좀 더 알고 싶어지는 그런 인물이 정도전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