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협객 백동수 - 18세기 조선 남아들의 인생 역정, 수정증보판
김영호 지음 / 푸른역사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에 대해서 알게 된 것은 교육의 힘도 지대한 관심도 아닌 바로 방송미디어의 힘이었다. 항상 아이들과 가정에만 관심을 쏟다보니 젊었을 때 관심을 가지던 역사에 대해서도 책 한 권을 읽어볼 여유를 갖지 못했던 나에게 있어서 역사적인 사실보다는 허구적인 사실과 흥미로운 내용에 더 가까운 사극드라마이지만 그래도 새로운 역사에 관심을 가질 기회를 주는 미디어이기도 하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TV드라마 속의 백동수에게보다는 정조의 아버지인 불운한 세자 사도세자에게 대한 관심이 더 많았었다. 그런 사도세자와 함께 역사적인 일을 도모했다는 사실만으로 백동수란 인물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다. 그러던 차에 알게 된 책이 <조선의 협객 백동수>였다.  물론 백동수에 다른 책도 있었지만 왠지 작가인 김영호님의 노력에 이끌린 점도 있었다.

백동수
그는 어떤 인물인가
TV애서 처럼 부모를 잃고 친구에게 배신당하는 그런 인물은 아니다. 단지 서얼로 태어난 어쩌면 조선시대 신분사회의 희생양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신분을 한탄하면서 순응하면서 지낸 인물은 아니다. 서얼이기에 무사의 길을 택하였지만 그는 문무를 갖춘 보기 드문 인재였으니 말이다. 그에 대한 더 많은 자료가 남아있었다면 그의 이름은 널리 더 알려져 있었을 것이다. 어떻게 보면 권력의 소용돌이 속의 혼란한 시기를 살아간 그에게는 다양한 친구들이 많았다한다. 그런 사실을 보면 그의 성품이 그리 무에만 치우친 사람은 아니었나보다. 그래서인지 이 책 속엔 우리도 알고 있는 인물들이 많이 등장한다.

정조를 호위하기도 하고 <무예도보통지>를 완성하고 목장을 운영하면서 농민들의 삶에도 관심을 가졌던 어찌보면 재조명 되어야 할 조선의 진정한 영웅인지도 모른다.

더 많은 자료가 있었다면 그에 대해 더 많은 사실도 알 수 있었겠지만 이 책의 자료만으로도 얼마나 저자가 그에게 많은 애정을 가지고 그의 행적을 찾아다녔는지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앞으로도 이런 숨은 노력들이 세상에 더 많이 들어나서 더 많은 이 나라의 진정한 영웅들을 만날 수 있는 기회가 된다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