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고전이 한글로 번역된 것에 고마움을 느낀다. 지동설에 대한 멋진 논증과 대화이다. 다만 밀물과 썰물에 대한 논의는 갈릴레이 자신도 엄청 고민을 많이 한 듯 하고 가장 복잡한 사고실험을 하였으나 만유인력에 대한 이해없이 이것을 풀기엔 너무 힘든 문제였다.˝새로운 두 과학˝과 이무현씨의 또다른 과학고전 번역인 뉴튼의 ˝프린키피아˝도 도전해 볼까나?
농업혁명으로 인해서 사람이 정착하고, 모든 사람이 농사를 짓지 않아도 되는 잉여가 발생한 순간부터 지배자와 피지배자간의 계급투쟁은 계속되고 있고 아주 잠깐의 시기만 빼면 항상 착취하는 자가 지배하는 역사는 계속되고 있다.모든 잉여를 공평하게 나누어 가지는 이상세계는 가능할 것인가?
나도 잘 몰랐던 옛 이야기, 민속 이야기들이다.나야 어릴 때 경험해 본 게 많아서 새삼 재밌었지만, 아파트와 콘크리트에서 학교, 학원, 실내 놀이터만 다니는 우리 애들에겐 공감하기도 힘들고 너무 동떨어진 얘기들은 아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