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론에 대해서 저자는 무신론적인 자연주의와 기독교의 초자연주의로 일단 큰 구분을 한다. 그 다음으로 대표적으로 가톨릭을 중심으로한 사제주의와 복음주의를 구분한다. 이때의 복음주의는 내가 알고 있는 복음주의와는 다른 것이다. 이 책에서의 복음주의는 원어가 무엇인지는 모르겠지만 보편적인 개신교 전체 그룹을 지칭하고 있다. 단 여기서 성공회는 사제주의로 분류되었다. 복음주의 내에서는 루터주의나 웨슬레주의 그리고 순수 보편주의적 입장을 보편구원론으로 분류하고 나머지 칼빈주의 계통을 제한 구원론으로 분류하였다. 저자의 논리 전개상 어쩔 수 없었을지는 모르겠지만 보편구원론이라는 그룹에 이런 저런 입장들을 모두 집어넣는 것은 매우 오해의 여지가 있다. 보편 속죄론과 보편 구원론은 엄연히 다르다. 그러나 칼빈주의자로서는 보편 속죄론은 보편 구원론과 다를 바 없으며 이미 도를 지나친 것으로 보이는 듯 하다... 마지막으로 제한 구원론도 타락전 선택설과 타락후 선택설 그리고 아미랄드 주의로 구분한다. 이 책의 마지막에는 워필드가 정의한 칼빈주의에 대한 해설이 부록처럼 포함되어있다.저자가 학자로서 각 입장들을 분류하는 데에는 큰 의의가 있다. 체계적인 분류는 서로간의 차이점을 잘 보여주며 전체적인 관점을 제공해준다. 하나님의 선택과 인간의 선택에서 매우 위험스럽게 왔다갔다하는 다양한 교파와 그룹들을 보면서 저자는 온전한 구원론을 말하고 싶었을 것이다. 그러나 구원론은 지식적인 것으로만 전개할 내용은 아니다. 이는 신앙의 기초이며 매우 실제적이면서 매우 조심스러운 부분이다. 학문적으로 그냥 분류하는 것이 능사는 아닌데 워필드의 논리 전개에는 다소 위험스러운 부분이 많다. 아니 솔직하게 말하면 정직하지 않은 느낌이다. 다른 입장들을 비판할 때에는 오버하지 않아야 한다. 한쪽 입장을 극단으로 몰고 가서 왜곡되었다고 말하게 되면 처음부터 논의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저자는 알미니우스나 웨슬리에 대해서 오해한다. 그리고 알미니우스와 웨슬리에 대해서 구분할 생각도 없다. 사실 웨슬리는 정확하게 본문에 언급되지도 않는다. 그러나 이들의 입장을 마치 보편구원론을 말하는 사람들과 동일시하면서 논리를 전개하며 몰고가는 것은 매우 옹졸한 평가이다. 제한 속죄론은 비판의 여지가 없는 하나님의 주권을 세우는 입장이라고 모두가 받아들이지는 않는다.저자의 본문 하나하나가 문제의 여지가 있는 문장이 수두룩한 것은 내가 제한구원론이나 불가항력적인 은혜의 칼빈주의 교리를 의심스럽게 보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색안경을 끼고 상대의 입장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위험스러운 일이다. 특히 학자로서의 정직성에 있어서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나는 책을 읽으면서 그의 학자적인 면에 비판을 가하고 싶었다. 그는 신앙에서의 인간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는 사람처럼 글을 쓰고 있다. 마치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는 것이 칼빈주의라고 말하고 싶은 듯 하다. 그러나 저자도 인정하듯이 하나님의 주권은 모든 개신교에서 인정하는 전제이다. 이것은 논란의 여지가 없는 문제이다. 문제는 인간이 움직이는 것은 매우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칼빈주의자로서 저자는 다른 입장을 매우 이단적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점이다. 그것이 성경에서 나오는 입장인가? 나로서는 그들의 논리전개상 나오는 하나의 입장으로밖에는 보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