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엇이 대전환을 만들었는가 - 인구, 식량, 에너지, 경제, 환경으로 본 세계의 작동 원리
바츨라프 스밀 지음, 안유석 옮김 / 처음북스 / 2025년 8월
평점 :

바츨라프 스밀의 대전환은 인구, 식량, 에너지, 경제, 환경 등 총 5개의 주제로 대전환이 발생된 사유와 앞으로의 전망을 서술하고 있다.
위의 5개 주제는 서로 긍정적인 피드백을 미치거나 때론 부정적이기까지 하면서 현재에 이르렀지만 앞으로도 계속해서 상호작용을 할 것이다. 저자는 이 5가지 분야에서 장기간의 통계 수치들을 활용하여 획기적인 전환이 발생한 사유와 영향을 통해 정성적으로 앞으로의 전망을 소개하고 있다.
그럼 각각의 주제에 대해서 짧게 소개하면
1. 인구
현재까지 출산율은 감소, 노년 부양비율은 증가, 도시로의 집중(메가시티로의 이전-전력수요 증가요인), 국제이민이 뒤따를 것임
우리나라는 최근 국제결혼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런 이유들이 아닐까 싶다.
2. 식량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광합성에서 화석연료와 전기투입에 의존하는것으로 변경, 기근의 종식과 음식폐기물 증가, 현존 육류 생산을 합리적으로 변화 필요, 비만의 증가로 1970년대 이전수준으로 회귀 필요(식량 손실 최소화)
3. 에너지
식물연료->석탄->원유,천연가스->전기 비중 증가, 에너지 소비량이 계속해서 증가하는중, 에너지 집약도의 감소가 전세계적인 차원에서 소비량의 감소로 이어진것은 아님
현재까지도 화석연료 사용이 줄어들지 않고 증가하고 있음, 전기 저장방법의 개발이 어려움, 수송부분의 재생에너지로 전환은 어려움, 온실가스 제거의 어려움
4. 경제
서비스업의 비중이 확대, 국제무역의 중요성이 증가, 높은 인구의 유동성, 대중의 즉각적인 의사소통
환경제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경제발전을 모색해야 함
5. 환경
다양한 환경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확산 됨
선진국은 후진국과의 차이로 인한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하며, 투자 및 기술 이전, 그리고 수많은 이민을 수용해야 한다.
인구가 감소되고 있는 우리나라도 현재 다양한 이민정책을 수용하는것으로 알고 있다.
지금까지의 대전환은 앞으로의 또다른 전환이 발생될 전초전이라 할 수 있다. 어떠한 변화가 이루어 질지는 정해지지 않았기에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하느냐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