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운명을 바꾼 역사의 순간들 : 전쟁편
류펑 지음, 김문주 옮김 / 시그마북스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인류의 역사는 전쟁의 역사라는 생각이 듭니다. 농업을 알아 정착 생활을 하기 전까지는 수렵과 채집에 의존했겠지요. 그 때의 전쟁은 살기 위한 생존의 문제였기에 대단히 격렬했을 겁니다. 당시의 전쟁 상황을 상상하면 살이 튀고, 피가 흐르는 가슴아픈 환영이 눈 앞에 보이는 듯 합니다.

  시간이 흘러 인간이 정착하고, 문명화가 진행되었다고 전쟁이 없어지지는 않았습니다. 도구가 돌과 청동을 거쳐쇠(鐵)를 자유자재로 만지는 시대에 이르렀지만, 신소재의 도구가 가장 먼저 사용된 시험 장소는 항상 전쟁터였습니다. 문명의 역사는 또다시 전쟁의 역사이기도 합니다.

  이렇듯 전쟁은 인류의 역사와 늘 함께 하였습니다. 저자는 커다란 전쟁 중 인류의 운명을 바꾼 중요한 전쟁 몇 가지에 대해 기술합니다. 전쟁의 원인은 다양했습니다. 권력, 재산, 민족분쟁, 종교, 세력 쟁탈, 영토, 이데올로기, 국경, 경제공황의 돌파, 자원 등. 원인은 제각기 달라보입니다만, 그 속에 흐르는 공통점은 하나 입니다. 욕심이지요.

  전쟁은 상대 뿐만 아니라 자신을 괴롭히는 행위입니다. 상대나 혹은 자신이 패자가 될 경우에 그 결과는 참혹하지요. 그렇게 해서 얻고자 했던 이득은 철저히 자기 중심적 욕심 충족입니다. 저자가 살펴본 전쟁들 중에도 생존을 위한 전쟁을 찾아 볼 수는 없습니다. 경제적이든, 명예롭든 남보다 좀더 잘 살기 위한 전쟁들이었습니다.

  여러 전쟁 중에는 ‘한국 전쟁’도 있습니다. 우리의 문제이기에 보다 꼼꼼하게 관심을 가지고 보았습니다. 저자는 한국 전쟁을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의 충돌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봅니다. 하지만, 그것뿐 입니다. 그가 말하는 김일성의 ‘업적’(?)은 보기가 껄끄러웠습니다.

   
  “서기 1945년 8월 15일, 김일성이 이끌던 무장 항일 혁명투쟁군이 승리를 거두어 ‘조국 광복’이라는 위업을 달성했다.”  
   

   저자는 무려 18개국이 참전한 한국 전쟁이 왜 일어났으며, 누가 전쟁을 일으켰는가에 대해서는 침묵합니다. 다만, 조국 중국의 입장을 변호하기에 바쁘다는 인상을 줍니다. 저자가 얘기하는 중국의 참전 핑계는 퍽 이색적입니다.

   
  “10월 8일,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회의에서 ‘한국전쟁에 참전한다’는 최종 결정을 내렸다. 중국 정부가 이런 결정을 내리게 된 직접적인 원인은 바로 미국 전투기가 중국 단동 지역의 문화재를 폭격함으로써 중국 본토의 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했기 때문이다.”  
   

  한국이 자본주의 국가가 되어 국경을 맞대게 되면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원인은 부수적이라는 기술입니다. 게다가 100년 전쟁이나 장미전쟁에서는 전쟁 장면이 나름 세부적이고, 장미 전쟁편에서는 특히 비슷한 이름이 나와 족보표를 펴 놓지 않으면 나오는 사람을 따라가기도 버겁습니다만, 한국 전쟁은 매우 간략하게 서술합니다.
 

  한국 전쟁 편의 말미에서 저자는 한국 전쟁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이렇게 기술합니다.

   
  “50년이 지났건만, 한국전쟁의 상흔은 여전히 곳곳에서 발견된다. 그저 이를 통해 이데올로기 전쟁의 위험성을 깨닫고 좀 더 전쟁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곳곳에서 발견되는 상흔’이 어떤 걸까요? 저자는 알고 있기는 한 걸까요? 구체적인 사례없이 언급되는 저러한 말은 모르는 것을 알고 있는 ‘척’하고 있지나 않은 지 의구심을 갖게 합니다.

  저자는 이 책에서 반드시 언급할 만한 전쟁 두 가지를 뺐습니다. 베트남 전쟁과 살수 대첩입니다. 수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를 내며, 커다란 후유증을 만든 베트남 전쟁은 한국 전쟁 이후 또 한번의 이데올로기의 충돌로 다뤘어야 합니다. 그리고, 살수 대첩은 중국을 통일한 수(隨)나라가 4차례의 고구려 원정 실패로 인해 멸망하고 당나라가 세워지는 계기가 되며, 세계의 중심 국가의 자존심을 세우기 위한 욕망이 얼마나 위험한 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전쟁이었습니다. 공교롭게도 두 전쟁 모두 아시아에서 벌어진 전쟁입니다. ‘뜻밖에 저자는 아시아의 전쟁보다 서양의 전쟁에 더 관심이 있다는 느낌이 든다’면 리뷰어의 억측일까요?

  책의 완성도도 약간 아쉽습니다. 저자는 몇몇 전쟁에 대해서는 나름 친절하기 위해 전쟁을 세부적으로 기술합니다만, 지도 한 장 없이 나열된 전쟁 표현을 읽노라면 그냥 넘기고 싶은 충동이 입니다. 그렇다고, 이 책이 지도를 옆에 펼쳐놓고 읽어 나갈 정도의 흡인력은 가지고 있지를 못합니다. 뿐만 아니라, 책에 기제된 사진도 아쉽습니다. 전쟁 후 반짝반짝 복원시킨 전쟁 무기들을 흑백으로 찍은 사진보다는 전쟁의 참상을 느끼게 하는 중요 순간을 칼라로 찍은 사진들로 대체했으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편집 상의 실수(146쪽 박스 참고 자료는 자료는 같은 문장을 두 번씩 반복하고 있음)와 ‘서기 OOOO년’, ‘기의’ 등과 같은 용어는 무척 낯섭니다. 그리고, 몇 몇 전쟁은 아예 저자의 고민있는 의견없이 사실의 서술로 끝내 버리는 부분도 아쉽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