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닌 게 아니라 그는 중요한 것은 일의 종류가 아니라 어딘가에 자리 잡고 계속 버텨 내는 것임을 스스로에게 몇 번이고 곱씹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 당신을 가장 절망케 하는 건 무엇입니까 - P9

나는 내가 본 것이 별게 아니라고 생각했다. - P10

사고 첫날, 외국 언론에서 조난자의 수온별 생존시간을 따져보는 사이 한국에서는 사망시 보험금을 계산했다. 사람들은 권력이 생명을 숫자로 다루는 방식에 분개했다. - P10

이름을 들었다. 학생, 실종자, 희생자, 승객이라 불릴 때와 달리,
그들의 가족이 늘 불렀던 방식으로, 본명으로, 별명으로 불리는 걸들었다. 가족들로서는 살면서 만 번도 더 불러본 이름이었을 거다.
그 이름에 담긴 한 사람의 역사가 시간이 그 누구도 요약할 수 없는 개별적인 세계가 팽목항 어둠 속에서 밤마다 쩌렁쩌렁 울렸다. - P11

이 나라 국민들의 ‘안녕‘ 마지노선이 이제는 복지도, 교육도, 의료도 아닌 생존이 돼버린 것처럼, 놔달라 했다. - P11

정부는 계속해서 명령을 내리고 민심을 달래는 ‘입‘이길 자처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국민들이 간절히 원한 건 권력의 ‘귀‘였다. - P13

우리가 원하는 건 사과라고, 우리 마음을 좀 읽어달라는 것뿐이라며 영정을 안고 울었다. - P13

앞으로 우리는 누군가 타인의 고통을 향해 ‘귀를 열지 않을‘ 때, 그리고 ‘마음을 열지 않을‘ 때 그 상황을 ‘미개‘하다고 불러도 좋을 것이다. - P14

어떤 낱말이 가리키는 대상과 그 뜻이 일치하지 못하고 흔들리는 걸, 기의와 기표의 약속이 무참히 깨지는 걸 보았다. - P14

우리는 우리가 본 것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우리가 본 것이 이제 우리의 시각을 대신할 거다. - P15

‘믿으라‘는 말이 ‘믿을 만한 말‘로, ‘옳은 말‘이 ‘맞는 말‘로 바로 설 때까지 도대체 얼마나 많은 시간이 필요한 걸까. - P15

"저를 가장 절망하게 만든 건, 더 노력해야 된다는 말이었어요." - P16

아무리 노력한들 세상에는 직접 겪어보지 않고는 도저히 짐작할 수 없는 고통과 그 고통이 담긴 타인의 몸이 있다는 걸 알았다. - P16

이해‘란 타인 안으로 들어가 그의 내면과 만나고, 영혼을 훤히 들여다보는 일이 아니라, 타인의 몸 바깥에 선 자신의 무지를 겸손하게 인정하고, 그 차이를 통렬하게 실감해나가는 과정일지 몰랐다. 그렇게 조금씩 ‘바깥의 폭‘을 좁혀가며 ‘밖‘을 ‘옆‘으로 만드는 일이 아닐까 싶었다. 그리고 그 이해가, 경청이, 공감이 아슬아슬한 이 기울기를 풀어야 하는 우리 세대가 할 일이며, 제도를 만들고 뜯어고쳐야하는 이들 역시 감시와 처벌 이전에, 통제와 회피 이전에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인지도 몰랐다. - P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구나 제 권력을 이용해서 자기보다 지위가 낮은 사람을 모욕했다. 일단 익숙해지면 그런 것은 규칙적으로 울리는 시계 종소리와 다름없이 들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지만 너한테 적용되는 것이 내게는 아직 적용될 필요가 없어. 그런 일은 그걸 감수하는 사람에게만 적용되는 법이거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좋은 삶이란 도덕적인 삶, 즉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드는데 헌신하거나, 되도록 많은 사람을 돕거나, 지구를 구하거나, 모범적인 인격을 갖추거나, 가장 높은 형태의 정신적 깨달음을 성취하는 삶을 뜻한다. 때로는 살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을 뜻한다. - P45

사람들은 자신에게 의미를 부여해 주는 것을 중심으로 삶을 구성한다. - P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