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일에 하자
이광재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년의 이제는 한물간 밴드가 있습니다. 각자 사연이 깊고 인생의 산전수전을 다 겪고 다시 한자리에 모여서 밴드를 하고 있죠. 이름보다는 각자의 애칭으로 불리우는 이들은 과거에 같이 밴드를 하던 이들도 있고, 이번기회에 다시 모이게 된 이들도 있죠. 그런 이들이 부르는 노래는 어쩌면 자신들의 아니면 모든 현재를 살아가는 어렵고 힘겨웁게 발버둥치면서 세상을 살아가는 이들의 회환과 슬픔을 노래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전공자도 있고, 아니면 원래 밴드를 하고 있던 이들. 이들은 꿈과 열정을 향해 노래를 부르다가 누구나가 그렇듯이 중도에 현실을 깨닫고 사회에 현실에 중도에 하차를 하고 삶을 살다가 장밋빛 인생을 꿈꾸었지만 녹록치 않고 잔인한 현실앞에 무릎꿇고 좌절하고 오갈대 없다가 다시 과거의 그 자신이 있었던 밴드에 돌아오게 되죠. 각자의 사연과 슬픔을 안고 돌아온 이곳, 그곳에서 그들이 부르는 노래, 연주는 어쩌면 푼돈을 모으고자 부르는 노래가 아닌 자신들이 그랬듯이 오늘날을 살아가는 이들에게 위로와 현실을 슬픔을 보듬어주고자 자신들이 겪었던 것을 불르는 것이 아닌가 하는 그런 생각이 든 슬픈 오늘날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이면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 <수요일에 하자>입니다. 혼불문학상 수상작인 <나라 없는 나라>의 작가 이광재 작가가 쓴 이 작품은 정말 누가 보면 이미 퇘물이 된 이들이 모여서 과거의 향수를 부르면서 일어나는 일상과 가까스러 잡은 공연날을 위해서 고군분투 하다가 일어난 일살을 잘 그리고 있죠. 제목이자 밴드의 이름이 된 수요일에 하자는 진짜 월요병을 겪고 있는 직업인들이 수요일 쯤 되면 긴장에서 힘든 위기가 오는 날이 수요일이기에 수요일에는 무엇이든 하고 싶은 것을 하자는 인상깊은 내용을 담고 있죠. 전주에서 일어난 이것들을 보면 이광재작가가 이 작품을 짓기 위해서 실재로 전주에서 거주를 한 것 같이 실감이 드는 장면들이 많이 나옵니다.

꿈을 향해서 열정과 모든 것을 불태웠던 때가 있었지만 현실의 벽 앞에서 좌절과 접을 수 밖에 없었던 이들이 다시 모여서 부르는 이 노래들은 이들이어서가 아닌 이들을 통해서 좌절하고 접었던 우리의 현재의 모습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 같아서 작품을 보면서 많이 생각이 났던 작품은 <와이키키 브라더스>입니다. 전설적인 밴드였지만 나이가 들어가면서 각자의 인생을 살다가 어느 순간 다시 모여서 그때의 그 열정을 중년이 되어서 그때의 그 향수를 불러일으킨 밴드의 모습을 보여준 이 영화와 이 작품은 많은 공통점을 담고 있는 듯 해서 와 닿은 감동과 여운이 장난이 아니었죠.

한때 모든 것을 다 쏟아 가면서 불렀던 밴드가 중년이 되어서 다시 모여서 부르는 인생가를 잘 그리고 중년이 되어서도 불태울 수 있는 것이 있다는 것이 얼마나 의미있는지 잘 보여준 이광재 작가의 <수요일에 하자> 진짜 앞만보고 달리고 많이 치이고 상처받은 오늘날을 살아가는 모든 현대인들에게 위로와 아련한 향수를 뒤돌아 보게 한 이 작품. 나한테도 이런 때가 있고, 진짜 내가 하고 싶고, 했던 것이 무엇이 었는지 다시금 생각하게 한 작품으로 의미있는 작품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