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발
반디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2월
평점 :
품절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된 냉전시대의 산물이 바로 한반도이고 그곳에서 스스로 고립되고 폐쇄적인 독재국가를 자처하고 있는 북한. 매일 접하는 북한에 대한 소식은 암담함과 답답함을 유발하는 소식들뿐이지요. 같은 한반도의 한민족이라고 하기엔 이젠 분단된 상황이 너무 오래되다 보니 남한과 북한은 거의 다른 나라, 다른 세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죠. 그런 북한에서 최고로 문제시 되는 것은 핵위협과 미사일 발사이지만 그것과 함께 최악으로 거론되는 것은 인권이라고 하죠. 한국, 일본 그리고 중국의 사이에 있는 동북아시아의 국가로, 아프리카나 오지가 아니고선 상상할 수 없는 최악의 인권유린과 반인권적인 행태가 이루어지는 폐쇄된 국가. 그런 나라에서 극적으로 탈출하거나 들려오는 소식들은 경악을 금치 못하게 하는 것이 북한의 실상이자 민낯인데, 그런 북한에 대한 뉴스와 리포트가 아닌 그 북한에서 목숨을 걸고 빠져나온 소설이 바로 이 반디라는 가명과 필명의 작가의 소설 <고발>입니다. 그 자체로도 의미가 있고, 원래 이 작품은 이전에 다른 출판사에서 먼저 출간이 되었었는데 이번에 다산북스에서 새로 재단장하여 재출간하게 되었죠. 이 작가의 원고가 국내에 반입이 되는 과정도 극적으로 발각되지 않기 위해서 김일성, 김정일 사상 선집사이에 몰래 끼워서 반입되었었다고 하죠. 그만큼 이 작가가 자신이 있는 북한에 대한 민낯을 얼마나 절실하게 외부에 들려주고 고발하고 싶었는지 느껴지는 대목입니다.

7편의 단편으로 구성된 이 작품은 대물림되는 '출신성분'에 절망하고 탈북을 결심하는 '탈북기'와 마르크스와 김일성 초상화를 보고 경기를 일으키는 아이 때문에 커튼을 달았다가 평양에서 추방당하는 '유령의 도시', 해방 후 첫 공산당원이던 '마차 영웅'이 공산주의의 허상을 깨닫고 아끼던 느티나무를 도끼로 찍어버리고 죽는 '준마의 일생'과 죽어가는 어머니를 두고서도 '여행 제한'으로 임종을 지키지 못하는 아들의 사연을 다룬 '지척만리', 길을 가다 우연히 김일성을 만난 할머니가 소위 '수령의 자애로움'을 선전하는 자료로 이용되는 과정을 그린 '복마전', 보위부원 눈에 비친 북한 체제의 연극성을 다룬 '무대', 노동당 청사 타도를 촉구하는 '빨간 버섯'등으로 제목과 간략한 내용만 봐도 이 얼마나 얼토당토 않고 어이없는 상황들이 북한에선 당연시하게 일어나고 있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죠. 체포 시 잔인한 방법으로 처향될 가능성이 높은 반디 작가가 위험을 각오하고 글을 쓴 동기는 다른 것도 아닌 분노라고 합니다. 그도 그럴것이 읽어보면 그의 분노가 얼마나 엄청났는지... 이걸 유출시킨 것은 당연하고 이런 작품을 펜으로 글을 썼다는 것 자체가 이미 그는 북한체제에선 반동분자로서 일가족 몰살이죠. 그럼에도 그가 피와 눈물과 분노로 이 작품을 써서 이 작품을 외부에 유출시켜서 고발하고 싶었던 것은 자유에의 목마른 갈망이 아니었을까 생각이 듭니다.

가령 이 작품을 통해서 다시금 알게 된 것은 선한 사마리아인이라고 하듯이 모든 독일인이 나쁜 것이 아닌 나치가 나쁘다고 하듯, 북한은 그 체제와 체제를 지탱하는 노동당과 김씨 일가가 나쁜 것이며 우리와 같은 일반 북한 시민들은 연민의 눈빛으로 바라봐야 하며 그들 사이에서도 자유에 대한 갈망과 움직임이 적극적이지 않지만 움직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남한에서 그들에 대한 무지와 잘 알지 못한 것에 대해서 부끄럽게 한 한반도에 대한 고발이 아니었나 하는 그런 생각이 든 먹먹함과 울컥함을 연발케한 작품입니다.

북한현실을 이보다 더 제대로 담은 소설이 있을까 하는 생각을 들게한 잉크가 아닌 피와 눈물과 고통으로 쓰여진 <고발>. 노벨문학상 후보에 올리기 위한 후원회가 결성되었다고 하는데 실현가능성이 있을지 의문이긴 하지만 베일에 가려지고 폐쇄된 북한에 대한 이보다 더 적나라한 작품이 있나 싶을 정도로 북한을 적나라하게 고발한 이 작품. 통일이 우선시 되어야 하는 이유를 다시한번 강조하고 일깨워준 의미있는 작품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