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은 토리노를 달리고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민경욱 옮김 / 비채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히가시노 게이고의 유쾌한 토리노 동계올림픽 관람기 꿈은 토리노를 달리고입니다.

일전에 비채출판사에서 무라카미 하루키의 시드니 올림픽 관람기인 에세이집 시드니가 출간된 적이 있었는데, 국내에서도 사랑받는 두 작가인 하루키와 게이고의 하계와 동계 올림픽 관람기를 담은 에세이집이 이렇게 나오니 소설만 접하다가 이런 에세이집을 보니 작가의 눈에 비친 스포츠가 다른 시각으로 보이게 되는 듯 합니다. 이 두 작가들 또한 운동과 스포츠 마니아라고 하죠. 하루키는 달리기가 거의 중독이라고 할 정도로 운동쪽에 많은 관심이 있는 거로 알려져 있는데, 세계적인 행사인 동계올림픽에서 게이고 특별 특파원이 전하는 토리노 올림픽. 그의 눈에 비친 올림픽의 이런 저런 모습들이 어떻게 비쳐졌는지 무척 기대가 되는 작품입니다. 2006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계최된 제 20회 동계 올림픽. 동계 올림픽은 상대적으로 하계올림픽에 비해서 인기가 없어보이는 것은 사실로 그나마 우리나라에선 많이 관심을 갖게 된 것은 피겨스케이팅이나 쇼트트랙등 메달 획득이 확실한 분야에만 관심이 가는 것이 사실이죠. 그렇기도 한 것이 동계스포츠에선 아직까지 아시아권은 불모지인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죠. 그렇기에 관심과 제정지원이 열악한 곳을 많이 지원해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아서 영화 국가대표와 같은 메체를 통해서 스키점프와 같은 분야들에게 관심이 많이 가게 된 것이 사실이지만 한시적인 것이 사실이고 무엇보다 동계스포츠 분야는 좀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런 동계스포츠에 관심과 인기가 많이 없는 현실에 게이고도 불만을 표출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이 에세이집은 주인공이자 화자인 ''는 게이고가 아닌 게이고의 애묘인 유메키치로 게이고는 유메키치가 아저씨라고 부르면서 같이 이야기를 풀어나가게 됩니다. 매사에 따박따박 대드며 같이 열정의 올림픽의 현장에 가게 되면서 '''아저씨'는 함께 바이애슬론 연습을 보러 가거나, 스키점프 선수를 꿈꾸는 소년을 만나기도 하며, 2006년 동계 올림픽이 시작되면서 토리노까지 가게됩니다.

역시나 최근에야 아시아가 많이 두각을 드러내긴 하지만 불과 얼마전까진 동계스포츠는 아시아선수들에게 넘어서기 힘든 분야였죠. 게이고의 눈에 비친 일본선수들은 많지 않았고, 메달이 기대되고 있던 종목에서 속속 실패하거나 처음부터 메달 따위 허황된 소망이자 매꿀 수 없는 실력을 드러내 일본 전체가 침울 한 분위기에 우울함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당시에 유망주이가 기대주이던 일본의 아라카와 시즈카 선수가 극적인 대역전에서 금메달에 빛나는 장면으로 일본에서도 유명한데, 그 중요한 경기는 두 사람 모두 보지 못했다고 합니다. 왜 그랬는지 당시에 인근의 산에서 스노우보드를 즐기고 있었기에 정작 기대하고 엄청난 사건이던 당시의 경기를 보지 못한거죠.

113명의 엄청난 인원의 선수단을 보내면서 획득한 메달은 금메달 하나뿐이라는 초라한 성적으로 끝난 대회로 많은 매체와 언론에서 알려진 경기이지만 그러나 이것은 잘못된 것으로 그 경기에서 패배는 하였지만 열정적으로 임한 선수들의 땀과 노력은 메달이상의 값진 것임은 어느나라나 다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사실이죠. 메달도 중요하지만 그 경기와 대회를 위해서 피나는 노력으로 준비를 한 선수들의 땀은 그 이상으로 엄청난 것이니까요. 그런면에서 이렇게 비인기종목에 까지 골고루 다 선수들을 내보내며 가능성을 열고있는 일본이 조금 부럽기도 합니다. 우리는 아직까지도 비인기종목에 제정적 지원과 관심이 많이 열악하여서 인기있고 확실한 곳만 지원과 선수들을 내보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니까요.

올림픽이라고 하면 세계평화와 평등주의의 상징으로 되어 있지만 올림픽을 시작한 것은 백인이고, 백인은 인종 차별주의에 뿌리 깊은 감이 깊죠. 백인우월주의가 스포츠에서도 당연히 백인이 압도적 우위를 점하고 그렇게 되어야 한다고 많이 믿는 백인들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면 인종을 넘어서 모두가 동등하게 활약하는 것이 현실이고 그것이 가능한 것인 이 스포츠의 세계이죠. 그렇지만 아직까지도 그 벽이 허물어지지 않는 분야가 겨울 스포츠인 동계 올림픽이라는 것을 게이고는 말하고 있습니다. 예상한대로 거의 백인들이 많이 우위를 점하고 있는 올림픽이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아시아인들이 예상외의 활약과 두각을 드러냄으로서 놀라움을 금치 못하게 하죠. 특히나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빙상분야에서 거의 독보적인 두각을 드러내고 있으니... 한편에선 스키의 기준을 자주 변경하거나 피겨는 심판을 매수 해 승부 조작한다거나 많은 문제점이 속속 언론과 매체를 통해서 드러나 눈살을 치푸리게 하고 있죠. 그럼에도 아시아인들은 꾸준히 실력으로 메달을 획득해나가는 모습을 보면 경의로울 정도입니다.

그래도 게이고가 말하는 겨울 스포츠가 많이 어렵고 힘든 이유는 결국 돈이죠. 겨울 스포츠는 제정과 돈이 너무 많이 드는 것이 사실이고 그것 때문에도 어렵고 힘든 것은 사실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게이고는 동계 올림픽은 특정 관심분야를 제외하곤 인기가 없는 현실을 한탄하고 있지만 세계에서도 극히 일부의 사람 밖에 할 수 없는 스포츠만을 모은 경기이기 때문에, 하계 올림픽에 비해 주목도를 원하시는 분들은 원래 이상한 것이 아닐까?싶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일단 대중적인 스포츠가 아닌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죠.

봅슬레이와 스키점프 같은 곳에서 금메달을 따는 것과 육상 100m달리기에서 금메달을 따는 것과는 매우 동급선상에서 놓고 비교하기엔 너무 어려운 감이 있는 것이 사실로 그래서 더욱 동계가 하계에 비해서 열정과 관심을 얻기에 힘든 것이 사실입니다.

그럼에도 대회를 위해서 많은 노력과 땀과 열정을 쏟아부은 선수들에게 아낌없는 박수를 보내고 있는 게이고의 이 올림픽 관람기는 경기와 경기장에 관한 것 뿐만이 아닌 경기 외적인 부분에서도 유머와 익살을 숨기지 않았기 때문에 재미있게 읽어나갈 수 있는 작품으로 가상의 동행인 유메키치와 함께 티격태격하면서 동계올림픽을 바라본 게이고의 이 꿈은 토리노를 달리고는 게이고를 좋아하고 게이고 특유의 유머와 익살이 넘치는 가볍게 읽어나갈 수 있는 편안한 글을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강력히 추천하는 흔치않은 에세이집입니다. 하루키의 여름 올릭픽에 이은 게이고의 겨울 올림픽 관람기 진짜 편안하게 읽어나갈 수 있었던 의미있는 작품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