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시
바바라 오코너 지음, 이은선 옮김 / 놀 / 201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영화로도 개봉된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의 작가 바바라 오코너의 신작 위시입니다. 이번 작품도 역시나 표지에서도 볼 수 있듯이 개가 나오는 작품인데 아무래도 이 작가는 동물을 주제로 한 아동작가임에는 틀림이 없는 듯 합니다. 특히 개를 주제로 한 작품을 말이죠.

본래 롤리라는 곳에서 아빠, 엄마, 누나 그리고 찰리 이렇게 4명이 살던 찰리는 매일 쌈박질을 해서 현재 교도소 복역중에 있고, 엄마는 가사는 뒷전에 두고 흔히 히키코모리같이 지내며 문제가 많은 그런 가정에서 살고 있으며 두 딸에게 조차도 관심이 없던 재키와 찰리는 사회복지과에서 현재 있는 가정에서 격리조치를 받게 되어 재키는 친구네 집에 그리고 찰리는 이모인 버서가 있는 콜비에 가서 살게 됩니다. 그러면서 찰리에게는 모르게 조금씩 행복이라는 기적이 일어나게 되는데 그걸 찰리는 눈치를 채지 못하죠. 매일 어떤 것에도 의미를 두고 소원을 비는 버릇이 있는 찰리는 이모의 시골마을에서 어떻게든 벗어나 막연한 희망을 품고 본래 있던 도심의 롤리로 어떻게든 가족들과 함께 살고 싶어서 매번 기도를 하는데 아이의 눈에서 바라보는 상황과 현실을 그렇지 못하죠. 아빠의 그 쌈닭기질을 물려받은 찰리는 현재 이 환경이 받아들이기 힘들어서 욱하면 주변 아이들에게 주먹질을 휘두르는데 그런 그녀에게 절뚝거리며 다니는 하워드가 자신은 책가방친구라며 훈계아닌 훈계와 주의를 주는데 욱할때마다 파인애플이라며 자기암시를 가하면서 가라앉히라고 하죠. 그렇게 자꾸 밀쳐내지만 밀어낼수록 더 다가오는 하워드에게 어느새 익숙해질 쯤 그녀에게 길강아기인 위시본이 눈에 띄게 되고, 그 개를 키우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되면서 온통 머릿속에 그 강아지 생각뿐인 그녀는 한동안 집에 가고 싶다는 생각보단 주변의 도움을 받아서 우여곡절 끝에 결국 그 위시본을 잡아서 같이 살아가게 됩니다. 찰리가 위시본에게 끌린 것은 어쩌면 그녀는 자신도 방황하는 현재 이곳에 있을 사람이 아닌 롤리에 가족들과 함께 같이 살아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인지 모릅니다. 그렇게 거스와 버서의 이모와 이모부 집에서 살면서 알게 된 자신의 엄마의 과거의 일과 실은 버서가 얼마나 자신을 애틋하게 생각하고 같이 살고 싶었는지, 그리고 따로 살고 있는 재키에게서 듣게 된 집안의 문제 등 어쩌면 찰리같이 생각하는 것은 맡는 지도 모르지만 그렇게 행복한 가정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상화에선 사랑을 배풀 수 있는 곳에서 사랑을 받고 살고 인격을 형성해 나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이책은 그것을 말해주고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진정한 행복은 어느날 갑자기 나오는 것이 아닌 나도 모르게 눈치채지 못하게 행복이 형성되어 가는 것이라고 이 작품은 말해주고 있죠. 막상 롤리에 가고 싶어하고 그렇게 될 뻔하지만 막상 그렇게 되자 찰리가 혼란에 빠지게 되는 것을 보면 그렇게 떠나고 싶었던 이 콜비가 그리고 이모와 하워드와 콜비의 이곳이 자신에게 얼마나 큰 소중한 곳이 되었는지를 알게 되면서 그리고 아직은 엄마와 아빠가 가정을 원만하게 형성할 준비가 되지 않았음을 찰리는 알게 되면서 이곳이 자신에게 얼마나 행복하 곳이며 큰 비중을 두게 된 곳인지 알게 되면선 이곳에 남기를 결심하게 됩니다. 그리고 자신이 그토록 빈 소원이 실은 이루어진 것이 아닌 이미 이루어졌으며 그것이 자신이 채 깨닫지도 못한 사이에 이루어져 갔음을 알게 되면서 작품은 끝이 나는데 역시나 작품은 바바라 오코너 특유의 일상적이면서 일상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은은하게 다가오는 행복을 다룬 작품으로 얇은 만큼 금방 읽어나가게 되는 작품이지만 시사하는 바는 큰 작품으로 오늘날 현재의 가정문제와 진정한 행복과 사랑이란 어떤 것인지를 보여주고 있는 작품으로 현실을 도피하기보단 현재 나도 모르지만 진정한 행복과 사랑은 은은하게 다가오고 형성되어 가고 있음을 일깨워주고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이 든 작품입니다. 왠지 이 작품도 머지않아 영화로 만들어질 가망성이 큰 작품으로 나도 모르게 다가온 나의 소원과 행복과 사랑은 멀리서 찾기보단 이미 주변에서 형성되어가고 있음을 알려준 마음 따뜻하게 해주는 작품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