씁니다, 우주일지
신동욱 지음 / 다산책방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SF문학분야에 있어서 거의 불모지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국내에서 창작되는 그런 작품이 거의 나오지 않는 우리나라에서 의미심장한 상징적인 작품이 나왔습니다. 바로 전문 문학인이 아닌 배우인 신동욱씨의 작품인 <씁니다. 우주일지>가 바로 그것입니다.

작가는 매우 오타쿠적인 우주매니아라고 합니다. 세기말적인 스페이스 관련 작품과 문헌과 책들을 다 탐욕스러울 정도로 찾아서 읽어나가면서 그가 병으로 인해 요양중일 때 이 작품을 거의 일년여의 시간동안 홀로 집필을 하고 탈고해 낸 작품이라고 하죠. 이를 보면 전문적인 학식과 정공을 한 사람도 대단하지만 오로지 흥미와 취미로 시작해서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한분야를 파해친 소위 매니아가 여느 일반적인 전공자보다 더 대단해질 수 있음을 입증한 분이 아닌가 하는 그런 생각을 하게 한 케이스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안타까운 현실이지만 국내의 국방부의 군 장성이다 군무원들보다 밀리터리 매니아가 더 군사분야에 관련된 지식과 현실을 잘 파악하고 알고 있다고 하죠. 그런면에서 국내의 SF계에 새로운 희망과 빛을 보여준 것이 이 신동욱씨가 아닌가 하는 그런 생각을 하게한 정말 대단한 작품입니다.

일단 큰 줄기는 거대한 회사의 CEO인 맥 매커천은 우주에 대한 남다른 낭만과 야심이 있는 이로 화성을 정복하는 것이 인생의 최대의 목표이자 종착지인 인물입니다. 그런 와중에 우주이민정책에 대해서 거센 반대를 해온 김안나박사를 만나 독대하며 그녀의 논설을 들은 매커천은 그녀의 당돌하고 의사를 강렬히 피력하는 모습에서 한눈에 뽕 가게 됩니다. 그리고 그 자리에서 그녀에게 바로 스카우트제의를 하면서 그녀가 제시한 우주 엘리베이터 방식을 채택하고 같이 우주에 대해서 한뜻으로 진행해 나가게 됩니다. 그리고 운명의 날 결혼한지 얼마되지 않은 매커천과 안나박사는 우주탐사를 위해서 3년여의 시간을 헤어지게 되죠. 그리고 이야기는 매커천의 우주에서의 일어난 일지형식의 진행과 김안나가 매커천을 만나고 지구에서 송신을 받고 대처하는 나날을 그리는 일기형식을 서로 교차하면서 이야기를 풀어나갑니다.

거의 메인은 매커천의 시각에서 풀어나가는데 화성에서 운석을 찾고 페인트칠을 하고 거의 임무가 완료되어가는 그 때까지는 별문제가 없어보입니다. 문제는 그 다음이죠. 여기에서 사건이 일어나는데 바로 그 발생과 과정이 여느 기존의 우주관련된 작품에서 보기 힘든 진짜 우주에 나간 우주인이 그렇게 겪을 수 있는 병적인 트라우마와 심리불안이 얼마나 큰 문제를 일으킬지 이 작품에서 보여줍니다. 가족과 떨어진 동료가 아내의 유산을 시작으로 심리적 불안이 의처증까지 확증되어서 정신병에 걸려 결국 매커천과 매커천의 우주선을 망가뜨려서 매커천을 우주선과 함께 동료들과 떨어지게 만들어버리죠. 그리고 매커천은 그 시간부터 홀로 지구로 생존하고 귀환하는 임무로 급격히 바뀌게 됩니다. 어디인지 모르는 곳에서 홀로 계산하고 수리하고 언제가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화성을 경유해서 지구로의 귀환. 사고로 인해서 거의 없는 물량과 보급과 불안한 상태의 우주선을 어떻게든 땜질을 해가면서 돌아가는 그의 모습은 옛 <아폴로 13><스페이스 오딧세이><마션><인터스텔라>등을 다 혼합해놓은 상황에 작가가 더 가미한 상황을 가미해서 실제로 홀로 우주선에 있으면 이런 일이 벌어져도 이상하지 않을거라는 상황을 연출하죠. 그런데 이 작품의 매커천의 상태는 그들보다 더 암움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일단 행성에 발을 딛고 있는 것도 아닌 우주선안에서 어디인지 모른 깜감한 우주에서 식량도 없고 연락도 닿지 않고, 홀로 있는 것은 <캐스트 어웨이>보다 더 암움하죠. 그건 부족한 식량을 계산한 끝에 똥을 먹는 것으로까지 그를 몰아갑니다. 이론적으론 가능한 것이지만 정말 참담한 상황이죠. 그런 그에게 여러번의 위기가 오지만 가장 그를 괘롭힌 것은 고독과 외로움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합니다. 어두운 곳에 아무도 없는 곳에 몇 달간을 언제까지 인지 모른 그곳에서 홀로 있는 것이 그를 극한의 상태로 몰아붙이게 한 것이 아닌지.. 결국은 결말은 김안나와 매커천의 두가지 결말로 끝이 나는데 이것은 인터스텔라의 월폴로 인한 평행이론을 제시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매커천은 결국 블랙홀을 건넜고. 그들의 원래세계인 김안나의 세계에선 매커천은 복귀가 되지 않고, 매커천은 다른 세계에서 귀환하여 김안나와 마나게 되죠. 그리고 인터스텔라에서 주인공이 남은 동료의 곁으로 다시 우주선을 타듯이 김안나는 20여년후 매커천을 찾기 위해서 우주선에 타는 모습에서 끝이 납니다. 정말 이 작품에서 가장 매력적이고 인상적인 것은 이런 암울한 상황에서도 매커천은 유머를 잃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희망과 유머를 잃지 않으면 어떠한 상황에서도 길은 열리고 다른 세계이지만 끝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 그가 바로 진정한 정복자가 되는 요건을 가진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합니다. 그 둘은 희박하지만 어쩌면 간절히 바라기에 평행이론 속에서 다신 만날 수 있을거라고 생각을 하면서 국내에 이런 의미있는 기념비적인 SF작품이 나온 것을 기뻐하지 않을수 없으며 진짜 꼭 많은 이들이 이 기념비적인 의미있는 작품을 다 보았으면 하는 바램이며, 정말 너무 훌륭한 작품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