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ke - 간호천사 아닌 간호전사 이야기
알앤써니 지음 / 읽고싶은책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가보지 않은 곳, 또는 내가 해 보지 않은 일은 예전 같으면 호기심에 더해 신비롭기까지 했다. 하지만 미디어의 발전은 간접 경험의 기회를 확대시켜 주었고, 사람들은 서핑에 이은 검색질로 왠만한 것은 다 안다고 생각하는 세상이 되었다. 그러나 생각해 보면 정말 제대로 아는 것일까 싶은 경우가 많다. 피상적으로, 잘못 알면 오히려 모르는 것만 못할 수도 있다. 정보가 넘치는 세상에 쓸모가 있는 것을 분별하는 안목과 지혜를 길러야 한다. 스마트폰으로 훑는 것이 아닌 종이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를 이런 데서 찾을 수 있다.

이번에 읽은 다소 얇은 책 ‘페이크’는 현직 간호사가 현장에서 직접 겪고 느낀 일들은 주제별로 정리한 에세이다. 병원이란 곳은 가고 싶지 않은 곳 중의 하나이다. 생각해 보면 ‘사’자가 붙은 직업인들이 일하는 곳은 가급적 가까이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요즘 같은 세상에선 검사와 판사가 그렇다. 의사와 간호사, 거기에 간호 조무사가 일하는 병원도 왠만해선 안 가는 것을 목표로 자신을 단련하고 가꿔야 한다. 그럼에도 불가피하게 병원에 가게 되면 만나게 되는 전문 직업인들… 그중에 간호사에 대한 대중의 인식은 저자가 서두에 미리 말한 것과 다르지 않다. 백의의 천사…

천사이길 바라지만 현실은 전쟁터와 같음을 책을 읽는 내내 독자는 공감할 수 밖에 없다. 왜그럴 수 밖에 없는지 또한 알 수 있다. 식사도 제대로 챙겨 먹지 못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업무량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인력 배치 때문이다. 힘들기 때문에 그만 두는 사람이 많고 또 그렇기 때문에 언제든 취업이 가능하다는 아이러니가 이 직업의 웃픈 장점이라 한다. 그럼에도 아파서 병원을 찾은 환자가 건강을 회복하고 일상으로 복귀하는 모습을 보며 전문가로서 보람을 찾고 심신의 피로를 잠시 잊는다고 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보람은 잠깐이고 누적된 피로와 스트레스는 끊임없이 이들을 괴롭힌다는 것.

저자는 책을 저술한 이유의 하나로 간호사를 꿈꾸는 이들에게 생과 사의 총성 없는 전쟁이 벌어지는 현장의 모습을 알려 주고 싶다는 것을 든다. 간호사를 쉬운(!) 상대로 여기는 인식은 아직도 여전하다고 한다. 의사는 선생님이라 부르던 사람이 간호사는 아가씨라 부르는 현실. 여성 (노동자)이기게 저임금에 빡빡한 노동량을 부과하는 우리 사회의 인식들. 그래 힘들어도, 박봉이어도 그대들은 흰옷을 입은 천사들이니 참고 견뎌 달라? 언제까지 일방의 희생을 ‘아름다운 헌신’이라 미화를 할 것인지 우리 사회는 이제 고민해야 한다. 저자가 후배들에게는 더 나은 근무 환경을 만들어 주고 싶어하는 고민이 절절히 느껴진다.

*** ***

환자와의 좋은 라포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간호사의 중심이 흔들릴 정도가 되면 안 된다. 보다 많은 환자와 보호자들을 따뜻하게 제대로 돌보기 위해 자신의 마음 깊숙한 곳은 오히려 차갑고 단단하게 유지해야 한다. 아이러니다. 환자 혹은 보호자와 자신의 사이에는 넘을 수 없는, 아니 넘지 않으려는 강이 흐르고 있음을 늘 기억해야 한다.(28쪽)

아무리 험한 것을 보았더라도, 아무리 슬픈 감정을 느꼈더라도 간호사는 참아내야 한다. 어떤 상황을 겪어도 밥 잘 먹고 울고 싶어도 못 우는 사람들, 간호전사들이다. (85쪽)

우리는 모두 누군가의 소중한 자식들이고 부모 형제들이다. 이상한 이유를 갖다 대며 괴롭힐 존재가 아니다. 또한 시스템적인 면에서는 간호사 업무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노동 강도에 비해 낮은 페이, 간호 업무 외의 온갖 잡일 수행 등을 해결해 주어야 한다. 그래야 태움 문화가 점점 사라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