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진화의 무기, 친화력 - 협력을 통해 무리에서 사회로 도약한 이야기
윌리엄 폰 히펠 지음, 김정아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1년 11월
평점 :
절판




대선을 앞두고 정치세력 간의 이합집산의 모습을 본다. 정치 지향은 물론 지연, 학연, 혈연과 출신 집단에 따른.이런 선택과 집중의 모습은 정치 집단 뿐만 아니라 개인과 인종에게도 나타난다. 인간은 매순간 선택을 하며 살아간다. 인류 역사는 개인과 국가집단이 그때의 상황에 따른 최선 또는 차선의 선택을 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다가오는 봄에 우리는 또 하나의 선택을 할 것이고 그 결과에 책임을 져야 한다.


근대 과학혁명을 거치면서 인류는 자연과 현상을 관찰한 결과 유전과 진화라는 개념을 정립할 수 있었다. 거대 동물에 비해 왜소한 체형을 가진 인간이 지구의 최상위 포식자가 될 수 있었던 힘은 무엇일까? 이런 의문에서 윌리엄 폰 히펠의 신간 '인류 진화의 무기, 친화력'이 출발하는 것 같다. 동물의 왕국 다큐를 자세히 살펴보면 동물들도 무리의 우두머리를 중심으로 움직인다.


그러나 인간은 동물보다 더 긴밀하고 촘촘한 관계를 형성하고 다른 집단과의 경쟁과 전쟁에서 우위를 점한다. 이것의 바탕이 되는 것이 저자가 말하는 '친화력'이다. 이 친화력은 남성과 여성이 서로에게 호감을 느껴서 혼인을 하는 것은 물론 사회, 종교, 국가공동체까지 그 규모가 확장된다. 인류는 저마다 거주하는 지역에서 혹독한 자연 환경과 외적 등의 변수를 극복해 나가며 성장을 해왔다. 


저자는 기존의 진화에 대한 설명에 더해 초기 인류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사회를 형성해 가는 과정을 흥미롭게 풀어나간다. 인간 뿐만 아니라 모든 생명체는 식욕과 생식욕을 갖고 치열하게 경쟁하며 살아간다. 현세 인류가 동물들과 달랐던 점은 특유의 친화력으로 똘똘 뭉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코끼리와 개코 원숭이를 비교한다. 동물 가운데 코끼리는 친화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반면 개코 원숭이 무리는 이기적인 유전자로 똘똘 뭉쳐 있어 보인다. 


만약 코끼리가 두 손과 도구를 이용할 수 있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인간 또한 두 손의 자유를 누리면서 도구를 만들고, 예술 활동을 할 수 있었다. 책을 읽어가면서 그렇고 보니 인간만이 예술 활동을 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종교 또한 마찬가지이다. 친화력이란 능력이 바탕이 되지 않고서는 도무지 시작과 발전을 이뤄낼 수 없는 영역들이다. 동물과 비교되는 인간만의 능력이다. 


금년 3월의 대선 또한 어떤 후보가 친화력을 보일 수 있는가 하는 것에서 승부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급조된 가식적인 친화력이 아닌 수십 년의 인생에서 우러나오는 진한 친화력이어야 한다. 책의 부제처럼 우리나라가 협력을 통해서 '이기적인' 무리의 수준에서 벗어나 '함께 하는' 사회로 도약하길 소망한다. 


*** ***

수렵 채집 생활을 하던 조상들이 못된 짓을 저질렀을 때는 정말이지 결과를 피할 길이 없었다. 소문 때문에 언제나 평판에 발목이 잡혔다. 이와 달리 도시에서는 상냥하고 의심 없는 사람들을 등친 뒤 본모습이 들통나기 전에 이동하기가 쉽다. 오늘날에는 주거지와 직업을 자주 옮기므로 반사회성 인격 장애자가 평생 소문을 피해 살 수 있다. 그런데 이제 이 문제가 소셜 미디어와 정면으로 맞부딪히고 있다. 소셜 미디어가 우리를 조상들처럼 서로 긴밀히 연결된 삶으로 되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120p)


이런 결과로 보건대 이미 1990년대 초기에 최고 경영자 대다수가 개코원숭이였다. 자원을 대부분 독차지하려는 경쟁에서 그렇듯, 최고 경영자도 집단이 아닌 제 잇속을 지향했다. 이런 결과는 집단을 희생양 삼아 이익을 챙기려는 개코원숭이 지도자들의 욕망에 끝이 없다는 실상을 드러낸다. (246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