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재천의 희망 수업 - 그럼에도 오늘을 살아가고 내일을 꿈꿔야 하는 이유
최재천 지음 / 샘터사 / 2025년 2월
평점 :
이 책은 샘터사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최재천의 희망 수업은 생태학자인 최재천 교수가
통섭, 공부, 독서, 글쓰기, 소통, 진로, 생태적 삶 등 11가지 삶에 주제에 대해
자신의 경험과 새로운 시각과 깊이 있는 통찰을 바탕으로
자연과 인간 사회의 관계, 교육과 배움, 과학적 사고, 삶의 태도 등에 대해
지속 가능한 미래에 생각하며 내일을 꿈꿔야 한다고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책이에요.
통섭과 숙론으로 현대 사회 문제를 해결
최재천 교수는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 해결을 위해 통섭과 숙론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통섭은 미국 생물학자 E.O.윌슨이 제시한 개념으로 과학, 인문학, 사회과학 등 다양한 학문이 서로 연결되고 협력해야야 한다는 사고방식으로 서로 다른 학문 분야를 넘나들며 지식을 융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환경 문제를 해결하려면 생물학 뿐만 아니라 경제학, 정치학, 윤리학 등의 협력이 필요한 것처럼,
현대 사회의 문제는 다양한 관점으로 바라보고 접근해야 하기 때문에 통섭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교육과 연구 방식이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학생들이 통섭적 사고를 갖기 위해서는 여러 분야를 융합하는 사고방식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통섭적인 사고를 통해 창의적인 인재가 되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숙론은 단순한 논의가 아니라, 충분히 숙고를 거친 깊이 있는 토론을 의미합니다.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과 논의를 거쳐 신중하게 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짧은 토론과 빠른 정보 전달이 많아져 깊이 있는 논의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최재천 교수는 소통은 원래 안되는게 기본값이라 토론 대신 숙론을 하자고 제안하고 있습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몽플뢰르 컨퍼런스는 최초의 자유선거와 넬슨 만델라 대통령 당선이라른 결과를 가져왔고, 숙론을 통해서 민주적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교훈을 남기고 있습니다.
특히, 민주주의 사회에서 숙론이 중요한 이유는 국민들이 깊이 있는 토론을 통해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고 있기 때문입니다.
통섭적 사고를 바탕으로 숙론을 실천하면 그동안 배우지 못해서 하지 못했던 숙론 민주제를 할 수 있을 것이며,
배움의 속도가 빠른 우리 국민이라면 충분히 가능하며 우리 사회가 더 지혜로워지고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방황은 젊음의 특권
처음부터 과학자가 되기로 확신한 것이 아니었으며 여러 분야를 접하고, 고민한 끝에 생물학자의 길을 선택했다는 최재천 교수는 생물학을 전공했지만,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에도 관심을 가졌고, 이를 통해 더 깊이 있는 연구를 할 수 있었으며 지금의 위치에까지 설수 있었다고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젊은 시절에는 어떤 길이 옮은지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방황은 필연적이며,
자신이 정말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해보며,
시행착오를 겪는 것이 자신만의 길을 찾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며,
방황을 거친 사람은 자신의 길을 더 확신할 수 있고, 더욱 단단해집니다.
결국, 방황을 통해 통섭적 사고가 가능해진다는 것입니다.
한 가지 전공이나 분야에 갇히지 말고, 다양한 분야를 탐색하고, 자신의 관심사를 확장하고,
방황은 방탄과 다르다는 것을 알고 방황 속에서도 배우려는 태도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https://image.yes24.com/blogimage/blog/w/i/windybox/sOIn7lVXBmVcr7Pm.jpeg)
최재천의 희망 수업은
자연 생태계에서 배우는 협력과 공존의 원리를 우리 사회에 적용해
경쟁만이 아니라 협력과 연과도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다는 점,
환경 문제와 기후 변화 등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간 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자연과의 관계를 다시 설정하고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
과학이 단순한 학문이 아니라 우리 삶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도구이며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점,
우리 사회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교육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하며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기를 수 있는 교육 방식이 필요하고 미래 세대가 이러한 변화를 주도해야 한다는 점,
작은 변화라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며, 실질적인 행동이 뒤따라야
개인과 사회가 함께 변화해 나갈 때 진정한 희망이 존재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함께 살아가야 할 앞으로에 대해
오늘을 잘 살아가는 우리가
생각해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질문을 던지는 것 같습니다.
함께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최재천의희망수업 #최재천 #샘터사 #통섭 #숙론 #방황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