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통령의 독서 - 한 권의 책이 리더의 말과 글이 되기까지
신동호 지음 / 한겨레출판 / 2025년 1월
평점 :
#대통령의독서 #신동호 #한겨레출판 #하니포터 #하니포터9기 #서평단 #서평 #책추천
우선, 독서 많이 하는 사람들은 무조건 신뢰가 간다. 허투루 생각하고 말하고 쓰지 않을 거라는 믿음이라고나 할까. 독서는 무조건 그 사람에게 무엇으로라도 쌓인다. 읽지 않는 것보다 읽는 것이 그 사람을 더 키우고 생각을 확장시킨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래서 내가 꾸준히 독서를 하는 것이기도 하고. 이건, 내가 독서를 계속 하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니까. 어떤 책이든 허투루 사람에게 다가가지 않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린, 독서를 해야 한다.
대통령의 독서는 비단 대통령 한 사람의 독서가 아니라 이 나라의 독서입니다. 또한 당신의 독서가 대통령의 독서입니다. 타인과 공존하는 사회를 그리는 마음으로 정의와 민주주의, 경제와 과학, 외교와 통상, 역사와 인물에 대한 책을 읽어 본다면, 당신은 그저 직함만 다를 뿐 대통령과 같은 자리에 서 있는 것입니다.(14쪽_'책을 펴내며' 중)
당연히, 대통령이라면 더욱 책과 가까이 해야 한다. 대통령의 생각과 말, 그가 하는 모든 행동은 국가 전체를 대변한다고도 할 수 있으니까. 그만큼의 책임감을 갖고 신중해야한다는 생각. 이건, 어쩌면 누구나 해야하는 당연한 생각일 수도 있다. 물론,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고 또 그래서 우리의 걱정이 커지기도 하지만.
암튼, 저자는 꾸준한 독서의 이력을 가지고 있었고 또한 문학적으로도 인정받은 문인이기도 하다. 그래서일까, 대통령의 연설문 곳곳에는 그런 지속적인 관심과 애정, 그리고 정성이 깃들여 있다는 느낌이 강했다. 예전 <대통령의 글쓰기>(강원국)을 읽었을 때에도 느꼈지만, 대통령의 연설이 쉽게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쉽게 만들어질 수도 없다는 것을 이번 책에서도 느꼈다. 3개월 전부터 고민하고, 무수히 고치고 수정하면서, 어떤 관점과 감정, 태도가 전달되어야 하는지를 꾸준히 논의하며 만들어나가는 그 과정마저도 대통령의 자질이며 동시에 의무라는 생각까지 들었다. 그리고 김대중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은 그 과정을 모두 성실히 해 낸 분들인 것이다.
청와대 5년을 버티게 해 준 동력은 둘이다. 하나는 국민에 대한 대통령의 정직한 마음이고, 다른 하나는 달리기였다.(220쪽)
이 부분을 읽으며, 저자의 달리기에 응원을 보내고 싶은 마음이 들기도 했지만 그보다 더 오래 남았던 것이 바로, '대통령의 정직한 마음'이었다. 이미도 눈치채고 있었고 평산책방을 생각하면, 단순히 대통령 시절의 업무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의 삶 자체에서 책과 독서가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가를 여실히 확인할 수 있기도 하다. 그러니, 이 대통령의 독서를 응원하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
이 책을 따로 따로 읽어도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저자의 이야기만 이어서 다 읽은 후, 다시 대통령의 연설문만을 차례로 읽어나가도 좋겠다는 생각. 그러면 대통령의 연설을 고스란히 다시 느껴볼 수 있는 시간이 될 것 같다. 저자가 언급하고 있는 책들을 다시 훑어보고 싶어지기도 하고, 저자가 가졌던 마음이 어떻게 대통령의 마음과 맞아 떨어지고, 연설문을 이어졌는가도 흥미롭다. 또한 연설문을 보통의 글들과는 다른 성격의 글이라서, 연설문 만의 힘과 강약의 조절이 분명 존재한다. 어떤 부분을 힘주어 강조하고 싶었는지, 그리고 그 안에 어떤 의미까지 담고 싶었는지, 행간에서 찾아볼 수 있는 대통령의 심정과 마음이 분명 존재한다. 그 행간까지도 다시 살펴보고 싶어지는 것이다. 오로지 누군가의 설명 없이 연설문만으로 다시 그 때의 감정을 전달받고 싶어진 개인적인 욕심이기도 하다.
이 책을 다 읽고 덮었지만, 처음부터 책을 다시 펼쳐야 할 이유가 생겼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