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를 발견하는 인류학 수업 - 문화인류학으로 청소년 삶 읽기 ㅣ 사계절 1318 교양문고
함세정 지음 / 사계절 / 2025년 7월
평점 :
#나를발견하는인류학수업 #함세정 #사계절출판사 #교사서평단 #사뿐사뿐 #서평 #책추천#문화인류학으로청소년삶읽기
나를 발견하는 인류학 수업. 함세정 지음. 사계절출판사. 2025.
_문화인류학으로 청소년 삶 읽기
'요즘 애들'이란 말이 참 재밌는 표현인 것 같다. 어느 시기 어느 때에도 모두 통용될 수 있는 말이면서, 그 말이 상징하고 있는 뜻도 어느 누구나 단박에 알 수 있다. 물론, '요즘 애들' 다음의 표현은 말을 안 듣는다거나 버릇이 없다거나 이전의 아이들과는 다르다는 의미의, 대체로는 긍정적이기보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담아 표현하는 경우가 더 많다. 하지만 그건 기성세대들의 편견일 수 있다. 분명 그 기성세대들도 그 시기에는 '요즘 애들'이었을 것이고, 그런 시기를 지나 지금의 어른이 되었을 테니까 말이다. 그러니, 성급하게 '요즘 애들' 다음의 표현을 하면 안 된다는 생각이 든다. 자칫, 섯불리 잘못된 결론을 미리 내려놓고 그 잣대로만 청소년들을 보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꼭 '요즘 애들' 다음이 부정적으로만 끝날 이유는 없으니까. '요즘 애들', 멋지다, 개성있다, 자유롭다, 아름답다 등, 다양한 말로 끝맺음이 가능한 것 또한 사실이니까.
그런 의미에서, 지금의 청소년들을 '요즘 애들'이라고 말해본다. '요즘 애들'이란 말로 통용될 수 있다는 건, 지금의 청소년이라고해서 그 이전과 크게 달라진 것은 아니란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즉, 언제든 누구에게나 청소년의 시기가 있는 것이고 이 시기는 누구나 여러 방면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 나가고, 이 '사회와 문화'가 어떻게 움직여가는지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때인 것이다. 다만, 시대가 달라지고 사회 환경과 조건의 변화가 일어났기 때문에 그 이전과 지금의 삶의 환경은 무척 달라졌다. 그리고 지금의 '요즘 애들'은 그런 변화에 민감하게 움직일 수밖에 없다.
청소년은, 온전히 자신의 삶을 지탱할 정도의 힘을 갖고 있지 못하다. 아직도 성장하는 중이고 경험해야하는 것들이 많다. 그러다보니 그 경험이라는 것이 좋은 경험만 있지는 않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와 갈등, 고민, 그리고 아픔을 겪게 된다. 가정이나 학교라는 사회 안에서 겪게 되는 자신에 대한 혹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생각들을 쌓아나가게 된다. 이때, 어떤 생각을 어떻게 쌓아나가는가가 중요해진다. 저자의 이야기 속에 등장한 친구들은 다행히, 이 과정을 함께 극복해내갈 수 있었던 것 같다. 저자의 말대로, 결국 친구 관계를 통해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지옥같은 생활에 한 줄기 흼아이 생길 수 있는 것 역시도 결국은 친구이고, 그 친구와의 관계가 호전되면 그 다음, 또 그 다음의 관계 역시 해결방법을 찾을 수 있게 된다. 아니, 찾을 수 있는 여유를 만들어 준다.
지금 청소년들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경험이지 않을까. 어떤 경험을 어떻게 내면화할 줄 아는가가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또 사회 안에서 어떤 삶을 살아갈 것인가를 결정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지금의 '요즘 애들'이 어떤 경힘의 힘을 갖춰나가야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그래도 조금 먼저 그 시기를 지나온 어른들의 꾸준한 관심이 있어야하지 않을까. 우선은 아는 것부터 시작하고. 분명, 그 시기를 지나왔지만 다시 청소년들을 바라보면, 잘 모르겠다. 그러니, 노력해야지. 그리고 그런 노력 중 하나가 이 책, <나를 발견하는 인류학 수업>을 읽는 것. 이 책을 읽으며, 아~ 하게 되는 부분이 많았다. 열심히 노력해야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