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로 읽는 남성성 He - 동연총서 209
로버트 A. 존슨 지음, 고혜경 옮김 / 동연출판사 / 200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화로 만난 여성성 she와 시리즈이다.  

여성성에 대한 이야기는 내가 여성이라 그런지 술술 읽히고 고개가 끄덕여지는 부분이 많았다. 나의 내면의 한 귀퉁이와 만났다는 기쁨도 있었다.  

그런데 남성성에 대한 이야기는 신화 자체도 친숙한 이야기가 아니며, 남성으로 살아본 적도 없어서 이해하기 어렵고 '정말 그런가'하고 고개를 갸우뚱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오히려 이 책을 읽고나니 그동안 몰랐던 남성의 내면, 성격, 행동패턴에 대해 조금이나마 이해하게 되었다. 직접적으로 여성심리를 다루지는 않지만 여성도 성배신화에 담긴 비밀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여성의 내면에도 남성성이 있고 여성도 직접 남성성을 경험할 수 있으므로 신화에서 진행되는 모든 상황은 우리 자신의 일부로 받아들여야 한다. 또 여성도 아버지와 남편, 아들등 남성과 함께 살아기 때문이다.

파르시팔은 예수가 그렇듯 이름없는 지방에서 태어난다. 파르시팔은 아버지와 두 형이 기사가 되어 죽임을 당한 후에 태어나 어머니의 손에 의해 키워졌다. 피르시팔은 가난하고 외로운 환경에서 자라났다. 파르시팔은 집에서 짠 천으로 옷을 지어 입고 학교 교육도 제대로 받지 못했다.어떤 형태의 교육도 전혀 받지 못했다.  

사춘기를 막 들어선 어느 날 그는 근사하게 차려입고 말을 타고 있는 기사 다섯 명과 마주친다. 기사들의 멋진 모습에 감격한 파르시팔은 집을 떠나 다섯 기사와 함께 떠난다. 그리고 아더왕의 기사가 되어 모험과 시련으로 가득한 성배의 성을 향한 여정을 떠난다. 

성배의 성은 비전이며 내면의 실체이다. 모든 남성은 15살 무렵에 이 비전을 얼핏 보는 놀라운 경험을 한다( 이 부분이 정말 궁금하다. 주변의 남자들의 그 경험에 대해 일일이 물어보고 다니고 싶어졌다) 그리고 남성들은 평생에 걸쳐 이 성배의 성을 찾아헤맨다.           

<융은 '일생이란 자아에서 참 나로 심리의 구심점을 옮겨가는 것'이라고 표현하다. 융은 이 과정을 인간이 일생토록 해야할 과업이자 또 인간이 하는 모든 노력의 중심에 존재하는 의미로 보았다.인생의 목적은 행복이 아니라 신 혹은 성배를 섬기는 것이다. 우리가 이 진실을 이해하고 삶의 의미가 개인의 행복이라는 어리석은 생각을 버린다면 잡기 어려운 성배가 바로 우리 손안에 있음을 알게 된다.>라고 저자는 책의 말미에 말하고 있다.  

좀 어렵게 들리기도 하는데 남성들의 심리와 남성들이 일생도록 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어렴풋이 알 것 같기도 하다. 내 주변의 남자들, 특히 아들 녀석을 이해하기 위해 더 자주 이 책을 꺼내봐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