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의 힘 - 미래의 최전선에서 보내온 대담한 통찰 10
고장원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매트릭스를 보고 뒤통수를 처맞은 듯한 신선한 충격을  받고 많은 생각을 하며 극장을 나왔던 기억이 떠오른다. 어떻게 저런 생각을 했을까 하는 놀라움과 함께, 진짜 내가 사는 곳이 현실이 맞을까 하는 의문도 며칠 동안 가졌었다. 어릴 적에는 해저 2만리, 타임머신과 같은 공상과학 소설과 은하철도 999 천년여왕을 보고 미래의 세상이 어떻게 변할지 상상을 하곤 했다.  지금 다시 생각해보니, 나의 상상력은 SF 작품들에서 보여준 모습을 뛰어넘지 못했던 같다. 그만큼 강렬해서 그런 것도 있었고,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처럼 관련된 지식이 너무 미천해서 그랬을 것이다 


최근 한 번의 충격을 받았다. 저자 고장원의 'SF ' 바로 주인공이다. 처음엔 그저 SF라는 좋아하는 알파벳이 보인다는 이유에 그대로 홀려 기대 없이 보게 책이었다. 그런데 읽는 내내 너무 재미있었다. 최근 급격히 나빠진 눈을 비벼 가면서, 재미에 빠져 450쪽을 쉼 없이 읽어 내려가야만 했다. 책이 SF 소설이라서?  아니다. 과학칼럼니스트이자 SF 작가, 평론가란 저자의 이력에 걸맞게 과거부터 최근까지의 SF 류 소설, 영화, 애니, 웹툰 등을 총망라하여 주제별로 현재의 과학적 수준과 사실을 들어 SF 작품들이 보여준 생각과 가치를 정리하여 이야기한 책이다. 과학 칼럼, 평론에 가까운 책이다.

하지만 인공지능, 유전공학, 우주개발, 세계화, 종말, 외계인, 불사의 등의 주제별로 나눠 무한 상상력을 지닌 SF 작가들이 보여준 미 인류의 사회적, 개인적인 삶의 변화는 너무 기발하면서도 재미있는 것들이었다. 어떻게 수십, 수백 년 전에 사람들이 이런 상상을 했는지 그저 놀랍기만 하다. 나의 상상력을 그들에 비한다면, 그저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 나오는 뼈를 들고 도구에 발견에 흥분한 유인원 수준이었다.

지금은 이미 익숙한 이야기라 별로 놀랍지 않지만, 1818 프랑켄슈타인을 보면 전기의 발견과 의학적 발달이 일종의 모티브가 되어 새로운 생명체를 만들었는데, 여기까지는 그저 그런 괴물이나 로봇일지 모른다. 뒤에 내용은 결국 사람이 만든 피조물이지만, 그들에게도 인권이 있는가 하는 문제에 빠진다. 책에서도 그에 대한 많은 예를 얘기하고 있다. 과거 미국 드라마 6백만 불의 사나이처럼 일부는 기계화된 인간은 사람이라고 하지만, 뇌만 남기고 나머지가 기계라면? 아니 나아가 뇌의 기억마저 기계화한다면 존재를 사람이라고 봐야 하는가? 로봇으로 봐야 하는가 하는 문제가 생긴다. 아예 인간들이 만든 기억을 심은 로봇은 사람일까? 복제인간엔 누가 진짜 사람인가? 속엔 현실적으로 재산 상속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다른 사람의 유전자로 아이를 만들면 (낳으면 이 아니다) 아이는 상속권이 어떻게 되는가? 이렇듯 지금 당장에는 문제가 아닐지 모르지만 앞으로 분명 예견되는 사회적 문제가 것이다. 누군가는 그럴지도 모른다. 지금 당장 현실이나 걱정하지 실제 하지 않는 미래를 걱정하냐고, 비록 그게 하늘이 무너지는 것을 걱정하는 기우라고 할지 모르지만, 과거 인류는 흑인을 인간으로 거냐 하는 문제를 겪기도 했고, 여성에게 투표권을 줘야 하는지에 대해 격론을 나눴었다. 웃긴 건 여성 사제에 대한 문제는 종교계에선 아직도 제대로 인정되지 않고 있는 것들이다. 이런 점을 본다면, 기계인간, 사이보그 등의 존재에 대한 생각을 미래로 미뤄서는 안될지도 모른다.   


인간의 기계화나 생체 기술을 통한 생명 연장은 진시황의 불로불사의 꿈을 이루게 될지 모른다. SF 작가는 여기서도 천재적인 상상력을 보여준다. 특권층이 하급 계층의 사람을 물색하여 자신의 기억을 옮기는 거다. 이건 물론 많이 들어본 얘기다. 하지만, 이유가 생명 연장이 아닌 단지 옷을 갈아입듯이 몸을 갈아입는 패션 차원의 이유라면? 소름 돋는 이야기다. 다른 작가는 태양계가 우주의 특정 역장에 진입하여 인류 모두가 아주 천천히 늙게 된다는 이야기를 펼친다. 과연 좋을까? 치매 환자가 죽지 않고 년을 산다면? 물론 의학자들이 오랜 시간 연구해서 해결할지도 모른다. 그런데 인류가 계속 죽지 않으면, 사람의 정신이 과연 온전할까? 그리고 영원한 삶을 살게 시대에 과연 종교는 무슨 의미가 될까? 생명 연장의 꿈은 이미 진행형 사실이다. 과거 우리의 평균수명은 고작 40 정도였다. 지금은 80세까지 올라갔다. 상태라면 120, 140까지도 충분하다고 한다. 문제는 갑자기 늘어난 수명으로 벌써부터 많은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여기서는 살짝 두 가지 얘기만 했지만, 나머지 주제들도 엄청난 상상력들을 보여준다. SF 스타워즈나 스타트랙처럼 활극이 넘치는 것만은 아니었다. 죽어가는 남편을 간병하는 아내가 방문 때마다 점점 늙어진 모습으로 나타난다는 이야기. 아내가 살아서 점점 늙어갔지만, 시간여행을 통해 사랑하는 남편을 만나러 것이다. 작가의 능력에 따라 얼마든지 아름다운 이야기를 만들 있었다. 


나는 SF 절대 허황된 상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미래의 중요한 보물 창고인 보고이며, 앞으로 생길 있는 경우를 사고실험할 있는 좋은 무대라고 생각한다. 실제 SF 소설에 나온 것들이 현실화된 것이 많기에 과학자나 발명가에게는 좋은 도전 소재가 수도 있을 것이다. SF 소설에나 나올 법한 로봇세가 거론되고 있는 지금, 정치하는 사람들이나 사회학자에게도 SF 이야기는 이상 단순 흥밋거리만은 아닌 것이다.

'SF ', 책의 제목처럼 SF 엄청난 상상력과 통찰력의 힘을 가진 존재이다.

이번 기회를 통해 많은 SF 소설을 보고 싶어졌다. 작가의 디테일한 상상력을 만나고 싶고, 세계의 문제점을 미리 생각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