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 인터넷 - 클라우드와 빅데이터를 뛰어넘는 거대한 연결 사물인터넷
정영호 외 지음, 커넥팅랩 엮음 / 미래의창 / 2014년 6월
평점 :
품절


한때 언제 어디에나 존재한다는 라틴어 유비쿼터스 Ubiquitous 라는 말이 많이 유행했었다. 지금은 이 개념에서 좀 더 발전한 Iot 가 산업계의 화끈한 화두가 되었습니다. Iot 는 Internet of Things로 사물인터넷이라 불리는데, 옛 이야기에 나오는 우렁각시와 같이 사람에 필요한 다양한 일을 해주는 기기와 시스템을 말하죠.

 

달아오르는 분위기에 맞춰 사물 인터넷이 무엇이며, 어떻게 정의 할 수 있는지, 지금 나와 있는 제품들은 어떤 것들이 있으며, 우리나라의 움직임은 어떤지 등을 다룬 책이 바로 '사물 인터넷'입니다.

 

이 책은 프롤로그를 통해 앞으로 변화는 우리의 생활상을 예견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됩니다. 그만큼 사람들의 생활방식을 바꾸게 될 거라는 거죠. 책에 나와 있는 사물인터넷 제품을 보니, 화분의 물 상태를 알려주거나, 웨어러블 제품으로 아이의 호흡, 수면을 알수 있게 해주고, 기저귀가 어떤지도 알려주죠. 헬스 분야는 이미 스마트폰의 영향으로 각종 센서가 달린 손목에 차고 다니는 제품이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무인 자동차는 더 이상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게 되었습니다.  이 책을 통해 몰랐던 분야와 상품을 알 게 해줍니다.

 

사물들이 지능화 되기 위해서는 그만큼 발전된 통신망을 가져야 합니다. 우리나라 경우 이미 사물인터넷을 대비해 요금도 대폭 낮추고 관계 법도 바꾸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단순히 가정이나 사무실을 작은 영역뿐만 아니라 스마트 시티를 준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되면 진짜 각종 통신 사용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될 겁니다. 아마 그래서 통신사들이 팔 벗고 나서는 거 같습니다. 몇 주전에 사물인터넷 관련 세미나가 있어 참가했는데, 정부와 통신사, 기업들의 관심이 대단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사물 인터넷'을 이미 보고 참가해서 각종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었죠.

 

개인적으로 저는 스마트폰 혁명 다음으로 로보트 혁명이 올 거라 생각했는데, 그 사이에 사물인터넷 혁명이 있을 수 밖에 없더군요. 왜 구글이 모토로라를 팔고 네스트랩스를 3조가 넘는 돈을 들여 샀는지 이해됩니다.

 

무엇보다 이 책이 좋았다고 생각된 부분은 내용이 한국의 상황을 많이 다루고 있다는 것입니다. 회사에서 자료 조사할 때나 발표에도 좋을 거 같습니다. 맨 뒤에는 참고 문헌도 잘 정리되어 있고, 사물 인터넷의 발전에 필요한 플랫폼이나 정확한 정의 등도 잘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다룬 분야가 다소 기술적인 것이지만, 읽는데 전혀 부담 없습니다.

 

전 이 책을 보면서, 만화 천재 소년 지미 뉴트론이 생각났습니다. 거기에는 사람을 돕는 다양한 도구가 나왔죠. 사람을 돕다가 너무 과해서 각종 사고를 일으켰는데, 사물 인터넷도 이런 점에 주의해야 할 거 같더군요. 개인적인 각종 데이터에 대한 보안도 더 신경 써야 하죠. 역시 어떤 일이든 양과 음이 있는 거 같습니다. 어쨌든 이제 사물인터넷 시대는 거부할 수 없는 시대의 흐름입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새로운 큰 시장이 만들어지는 거고, 개인은 더 나은 삶의 질을 누릴 수 있게 되겠죠.

 

그리고 책을 보다 보니, 제가 지금 개발하고 있는 제품도 결국 사물 인터넷의 한 종류가 되더군요. 그것까지 생각을 못했는데, 책 덕분에 더 많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새로운 방향도 잡게 되는 도움도 받았습니다.
Iot, 사물 인터넷 이란 단어가 생소하다면, 꼭 한 번 읽어 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