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동의보감 - 한의학개론 Dr. 백태선 새로 쓰다.
백태선 지음 / 글과생각 / 201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번에 읽은 "스마트 동의보감" 저자 백태선은 독특한 학력의 소유자다. 보통 의사면허는 양방 또는 한방 한쪽만 따는데, 저자는 가지고 있다. 그는 종합병원 양방의사 시절, 많은 환자들이 물어보는 한방에 관한 여러 질문에 정확한 답을 주고자 한의대에 입학하게 됐다고 한다.

이게 별거 아니게 생각할 있으나, 한방을 거의 인정하지 않고 있는 양방 의사들의 분위기에서 이런 행동은 많은 사람의 반대가 있었을 쉽지 않은 결정이었을 것이다.

 

그래도 덕분에  한방과 양방을 아우르는 균형을 갖춘 스마트 동의보감과 같은 책이 나올 있지 않았나 생각한다. 그래서 곳곳에 서양 의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오해하는 부분을 바로 잡고 있다. 또한 우리가 살면서 한방에 관련된 이야기를 많이 하고 있지만, 잘못 알고 있는 것들도 많은데, 책은 그런 잘못된 상식을 바로 잡고 있다.

역시 한방에서 말하는 장부 기관과 양방에서 말하는 기관에 차이가 많아서 혼동이 많았는데, 책을 통해 확실히 이해할 있다. 사실 이름만 같은 것이지 실제로는 같은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삼초와 같이 해부한다고 찾을 없는 장부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 이해를 못했는데, 개념을 바꾸니 저절로 머리를 끄덕이게 만든다.

 

 

이와 같이 책의 가장 장점은 이해하기 쉽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의학 책은 어려운 편이다. 게다가 쓰지 않는 한자까지 나오면 페이지 보다 책을 바로 덮게 되는데, 스마트 동의보감은 수필과 같이 부담 없이 읽을 있다. 그리고 곳곳에 나오는 일러스트와 사진, 도표는 내용 이해를 돕고 개념 정리를 쉽게 있게 해준다.

 

다만 제목에 동의보감이 있어서 약재를 다루거나 치료를 다룬 책으로 오해할 있으나, 어디까지나 책은 한의학 개론서이다. 한의학의 역사와 오장육부 이해, 음양오행, 사상의학, 진단방법, 치료방법 한방에 관련된 기본적인 것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권을 읽음으로 해서 우리의 전통 한의학을 전반적으로 이해할 있다.

그만큼 한의학을 공부하거나 관심이 많은 사람에게는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할 있는 좋은 책이 아닐까 생각한다.

 

한의학은 서양 의학에 비해 평가절하되어 있는 면이 많다. 그런 분위기에서 이런 쉬운 책을 통해 한방을 제대로 알게 된다면, 많은 오해에서 벗어나 바로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