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디자이너로 살아남기 - 독립을 꿈꾸는 패션 디자이너를 위한 창업과 운영의 전략
메리 겔할 지음, 김홍기 옮김 / 투플러스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패션 디자이너 하면 떠오르는 것이 런웨이에서 자신의 화려한 의상을 뽐내고 청중들의 박수와 펑펑 터지는 사진기 플래시 세례를 받는 모습이다. 물론 여성스러운 말투의 남자 디자이너의 재미있는 모습도 떠오르기도 한다. 현란한 비즈 장식에 파격적이고 기묘한 의상을 입은 날씬한 모델들의 캣워크도 빠질 없는 광경일 것이다. 어찌 됐든 대부분 떠오르는 모습들은 의상만큼 화려한 것들로 동경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패션 디자이너로 살아남기' 보면 이런 환상이 깨진다. 읽는 내내 '패션 디자이너가 이렇게 많은 일을 ?', '! 진짜 힘들겠다!' 같은 생각은 하게 만든다. 여태 알았던 화려한 모습이 아니었다. 패션 디자이너가 원단 구매부터 매장관리 생산관리 홍보까지 뛰어야 하는 힘든 직업인 몰랐다. 제목이 패션 디자이너로 성공하기나 최고의 직업 패션 디자이너가 아니고 살아남기가 되었는지 있다. 그만큼 패션 디자이너가 된다는 것이 만만한 삶이 아니라는 것이다. 살아남기 어려운 직업이라는 것이다. 일반 기업가와 전혀 다른 것이 없다. 오히려 일반적인 회사 관리 외에 창작 작업도 직접 해야 하기에 어려운 일이 아닌가 생각한다. 

 

책을 읽어보면, 패션 디자이너의 완벽한 가이드이자 텍스트북이라 생각될 정도로 패션 디자이너에 모든 것을 아주 자세히 다루고 있다. 창업, 자금조달, 제품개발, 원단 공급, 생산, 마케팅, 판매, 언론과 홍보, 런웨이 발표, 지적 재산권, 사업확장과 같이 패션 사업에 필요한 많은 것이 자세히 들어 있다. 더욱이 내용이 저자 혼자만의 생각을 담은 것이 아니라 성공한 디자이너들의 주옥같은 조언과 사례까지 담고 있어서 더욱 신뢰를 준다. 어디서 이런 권에 웬만한 관련서적 4 정도의 분량이 들어 있는 같다. 비록 내가 패션의 문외한이지만, 워낙 다양한 경영, 마케팅 책을 많이 봐왔기에 책의 진가를 말할 있다고 자신한다. 분명 400 하나하나가 속이 알로 꽃게와 같다.

 

다만 '패션 디자이너 살아남기' 저자가 외국인이고 미국 이야기라는 것이 다소 국내 현실과 다를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주변에 패션계에 종사하는 분이 있어 물어보니 지원제도나 금융 제도 외에는 맥락에서 거의 차이 없다는 것이다. 국내의 패션 디자이너의 국외 진출이 많아지는 요즘 현실에서 창업을 꿈꾸는 디자인이라면 막연히 준비하는 것보다 이런 텍스트북 같은 책을 보며 하나하나 체크한다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또한, 장래에 패션 디자이너를 꿈꾸는 분들에게는 허황한 핑크빛 모습보다 정확한 현실을 있기에 미래를 계획하는 도움이 것이다. 그리고 패션 쪽이 아니라도 읽어보면 경영, 마케팅 여러 곳에 유용한 지혜를 얻을 있을 것이다.

 

서두에 있는 성공을 위한 충고 중에 다이안 퍼스텐버그가 "가장 중요한 자신을 믿는 거죠. 꿈을 가지되 단계 단계 밟아가세요." 라고 했는데, 책이 단계 단계에 돌아가지 않는 바른길을 알려주고 있다고 본다.

 

책을 보고 나니 패션디자이너에 대한 생각이 확실히 달라졌다. 이젠 런웨이의 화려한 광경보다 실밥과 옷감 먼지와 씨름하며 열심히 돌아다니는 모습이 연상된다. 그리고 모습이 아름답고 감동으로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