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2012 -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의 미래 시장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다들 연말이면 올해를 돌아보며, 내년은 어떤 변화와 삶을 살지 생각해본다.

미래는 불확실한 것이다.  불확실한 것은 불안하게 만든다. 그래서 토정비결이나 점을 보며, 마음의 위안을 받으려고 한다. 미래를 알기 위해, 정감록이나 노스트라다무스 예언서를 본다고 해서 2012년을 수는 없다.

 

그렇다고 아무것도 마냥 불안해 필요는 없다.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를 기준으로 미래의 흐름을 추측할 수는 있다. 세세한 사건과 시기를 점치며 찍지는 못해도 지금의 변화 조짐을 보고 예상할 있는 것이다. 바로 '트렌드 코리아 2012' 이런 역할을 해준다.

 

트렌드 코리아 2012 많은 페이지를 할당해서 2011년의 사회현상을 얘기하고 있다. 옛날 하늘을 보고 미래를 점쳤듯이, 책은 현재의 국내외 움직임과 다양한 통계를 통해 2012년을 내다보고 있다.

 

올해는 DRAGON BALL 해로 보고 있다. 만화 드래곤볼과 같이 용의 꿈틀거리고 다양한 변화가 이뤄지는 모습을 연상시킨다. 총선과 대선이 예정된 내년 흑룡의 해에 어울리는 화두이다. 사실 DRAGON BALL 2012년에 많이 보여질 현상의 영문을 앞자리 알파벳을 따서 조합한 것이다.

 

진정성을 전하라, 이제는 로가닉 시대, 주목 경제가 뜬다, 인격을 만들어 주세요. 10가지의 트렌드를 이야기하고 있다. 책은 유명 저자 김난도 교수 명이 것이 아니다. 연구원 외에 다양한 직종의 트렌더의 견해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핵심을 정리한 것으로 그러기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균형적인 견해를 있다.

 

책을 읽고 보니 마지막에 위치한 위기를 관리하라는 장이 가장 닿는다. 정치적 상황이 가장 걱정된다. 선거와 함께 FTA 비준 문제며, 대출 금리 인하로 무리한 주택가격 지지, 250조가 넘은 서민 대출금도 연상이 되어 2012년도 순조롭지 않을 것만 같다. 또한 마이너 세상 밖으로도 동감이 된다. 주류보다 강력한 비주류의 반란은 곳곳에서 보여질 같다. 그게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분명 다양한 한국 사회를 만들 같다.

 

한편으로 책을 보다 보니 책으로 내년 트렌드를 같이 고민하는 외에 일반 상식 책으로도 아주 좋다는 생각이 든다. 최신의 용어가 아주 정리 되어 있다. 어렵고 생소한 신조어에 대한 설명이 곳곳에 담겨있다.

 

딱딱한 주제이지만, 재미있는 책이다. 전혀 몰랐던 것도 많이 있었다.

해를 정리하고 새해를 맞이하는 요즘에 보기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