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눈에 보이는 메타버스 그림책 ㅣ 한눈에 보이는 그림책
한선관, 서정원, 박미림 지음 / 성안당 / 2023년 10월
평점 :

애니를 보면, 이세계물이 유행이다. 사고로 죽어서 새로운 세상의 용사로 환생하여 겪는 이야기가 주된 내용이다. 게임처럼 체력, 마법 수치도 나오고 회복 아이템 같은 것도 있다. 최근엔 사람이 아닌, 거미, 슬라임, 심지어 자동판매기가 되기도 한다. 이세계물의 인기는 현실에서 벗어나 또 다른 내가 되고 싶다는 심리와도 연관이 있다. 다나카 열풍을 일으킨 부캐 유행 역시 마찬가지다.
IT에서는 다양한 게임을 통해 이런 심리를 이용해왔다. 심시티, 세컨라이프, 로블록스 같은 것들은 단순한 게임을 넘어, 가상 사회 구축 단계까지 다다르고 있다. 그리고 통신과 인터넷, 인공지능의 발달과 함께 가상현실을 넘어 메타버스라는 초 가상현실을 구축하고 있다.
그런데 메타버스라는 용어가 아직 그리 친숙하지 않다. 처음 듣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나 역시 많이 들어오긴 했으나, 명확하게 정리해 본 적이 없다 보니, 두루뭉술하게 대충 어떤 거라는 정도만 알고 있다. 그래서 '한눈에 보이는 메타버스 그림책'을 보게 된 것이다.
이 책은 서문에도 밝혔듯이 메타버스 백과사전과 같은 책으로 증강현실, 미러월드, 라이프로깅, 가상현실, 관련 기기와 장비,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유무선 네트워크, 블록체인, 가상화폐, 디지털 서명, 클라우드 등 메타버스에 관련된 다양한 기술을 광범위하게 다루고 있다. 대부분 최신의 기술들을 다루고 있다 보니, 최신 IT 상식사전을 보는 기분도 든다.
메타버스란 용어부터, 여기에 관련된 각종 기술의 용어들 때문에 처음 보는 사람들은 살짝 겁먹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은 이해하기 참 쉽게 되어 있다. 잘 만들어진 PPT 자료처럼 각종 그림과 사진이 페이지마다 가득하다. 그림만 봐도 대충 이해할 수 있고, 설명 자체도 간단명료하다. 그러다 보니 421쪽이나 되는데도 빠른 속도로 읽어 나갈 수 있다.

'한눈에 보이는 메타버스 그림책'의 설명을 보면, 1992년 닐 스티븐슨의 SF 장편소설 '스노 크래시'에서 초월세계인 메타버스 개념이 나왔다고 한다. 메타버스의 필수 요소는 자유도, 소셜, 수익화라고 한다. 이 세 가지를 제대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이 균형 있게 발전해서 지원되어야 한다.
메타버스는 세월과 함께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확장현실 기술을 낳았다. 가상과 현실의 세계를 다양한 조합으로 확장하고 있는 것이다. VRML, 유니티나 언리얼, 하복 같은 게임엔진도 메타버스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증과 보증을 위해서는 NFT, 디지털 서명 기술이 쓰이기도 한다. 여기에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보다 자연스러운 대화나 각종 인식 기능을 제공하며, 중요한 존재가 되어 가고 있다.

메타버스는 소프트웨어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의 발전도 함께 동반되어야 한다. 머리에 착용하는 디스플레이 HMD는 현실감을 높게 하기 위해서는 고해상도를 지원해야 하고, 딜레이도 최소로 줄여줘야 한다. 무선 기술과 통신 속도도 매우 중요하다. 웨어러블이나 로보틱스 기술은 메타버스 세상을 게임과 같은 공간 뿐만 아니라, 의학과 산업 분야까지 확장시킨다.
이처럼 '한눈에 보이는 메타버스 그림책'을 통해 메타버스가 무엇이며, 과거와 현재의 기술, 각종 플랫폼, 메타버스의 활용과 영향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양한 우주관 중에 이 세상은 가상현실이라는 시뮬레이션 우주관이라는 것이 있다. 그게 사실이라면, 이 세상은 참 정교한 메타버스 공간인 것이다. 더욱 재미있는 것은 우리가 그 안에서 또 다른 메타버스 세상을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묘한 기분과 함께 러시아 인형 마트료시카를 떠오르게 한다. 실제 시뮬레이션 우주가 아니더라도 메타버스 가상세계는 사람들의 요구에 의해 우리 곁에 한걸음 한걸음 다가오게 될 것이다. 최근 인공지능의 행보처럼 갑자기 훅하며 다가올 수도 있다. 그때를 미리 준비하는 마음으로 '한눈에 보이는 메타버스 그림책'을 보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