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에 간 화학자 2 - 명화에 담긴 과학과 예술의 화학작용 미술관에 간 지식인
전창림 지음 / 어바웃어북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술관에 간 화학자 두 번째 이야기' 책 제목만 봐도 사실 어리둥절하게 만든다. 사람을 감동시키는 명화와 복잡한 공식이 연상되는 화학 사이에 무슨 관계가 있을까? 아무리 생각해봐도 바로 떠오른 것이 없다. 물리나 수학 아니 천문학까지는 그래도 원근법이나 건축, 별자리 등 관련된 다양한 게 머릿속에 떠오르지만, 화학은 시간을 두고 생각해도 바로 떠오른 게 없다 


그런 만큼 '미술관에 간 화학자 두 번째 이야기'는 그림도 좋아하고, 과학도 좋아하는 내 관심을 끌기에 충분한 책이었다. 큰 기대를 가지고 머리말부터 읽어 나갔는데, 그러고 보니 물감이 바로 화학 제품이었다. 왜 이걸 생각 못했는지 모르겠다. 


이 책 속에는 내가 전부터 알고 있었던 각종 미술 작품들이 나오는데, 단지 미술적인 입장에서의 작품 해석뿐만 아니라, 과학적인 시선으로 본 작품들에 관련된 이야기를 볼 수 있어서, 예술과 과학 모두 좋아하는 나에게는 그 즐거움이 두 배였다 할 수 있다. 그렇다고, 복잡한 화학 얘기가 나오는 책은 절대 아니다. 내용 대부분은 미술에 대한 해석과 당시 사회상, 비하인드스토리와 같은 것이고, 그 안에 맛깔을 더 내주는 조미료로 화학이나 과학에 관련된 이야기를 섞어 말하고 있다.

 

첫 주제의 화학 양념은 역시 물감이다. 연백, 탄산수산화납에 대한 당시 얘기가 나오고, 이후에도 템페라나 유화물감, 각종 안료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그 외에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이나 색채과학, 원근법 등도 등장한다.


유명한 화가 고흐 작품에 대한 얘기가 대표적인 물감 얘기라고도 할 수 있다. 고흐의 그림들이 노란빛을 잃고 갈색으로 변하고 있다는 것은 그림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들어 봤을 것이다. 특히 해바라기와 같이 노란색을 많이 쓴 그림들이 그렇게 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이야기를 이 책에서 접할 수 있다.


뭉크의 절규 또한 누구나 잘 아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작품이다. 재미난 사실은 배경에 정신없이 표현된 붉은 하늘이 단순히 화가의 창작이 아니라, 그 지역에서 드물지만 실제 발생하는 자개구름이라는 기상현상이라고 한다. 또 다른 과학자는 당시 인도네시아의 화산 폭발이 그곳의 하늘에 영향을 미쳐 그렇게 되었을 거라고도 한다. 이런 것까지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참 대단하다.


새롭게 알게 된 것은 여태 알고 있었던 절규가 인간의 절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의 절규에 놀라는 모습이 그려진 것이라고 한다. 사람의 심리적 표현이 아니라, 기이한 자연 현상의 비명에 놀라고 있는 모습을 담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원래 처음 붙인 제목이 '자연의 절규'였다고 한다. 여태 미친 사람이나 정신이상자를 표현할 때 자주 등장했던 그림인데, 앞으로는 자연 파괴의 현장에 써야 하는 게 맞을 거 같다.


재미있는 그림 얘기들은 이 밖에도 너무 많다. 클림트가 화려한 그림을 그리기 위해 사용한 금에 관련된 이야기도 있고, 밀레의 '만종'에 얽힌 음모론? 웃는 초상화로 유명한 할스의 주황색 사랑 이야기 등 책 속에 빠져들게 하는 내용들이 많이 있다.


'미술관에 간 화학자 두 번째 이야기'에는 많은 예술가들이 등장하는데, 책을 읽으면서 느끼게 되는 것은 예술은 역시 그 당시 문화와 풍습, 종교, 역사적 사실과 아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과학과도 뗄 수 없는 것이 예술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수학이든 물리든 화학이든 생물이든 어느 한 분야를 떼어 낸다면, 우리가 지금 감동하고 있는 많은 작품들은 없었을 것이다. 그러기에 이 책은 그동안 모르고 넘겨왔던 예술 속 과학의 존재를 어렵지 않게 잘 짚어서 말해줬다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