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준석의 안드로이드 생존코딩 : 코틀린 편 - 코틀린으로 배우는 입문부터 9가지 실용 앱 개발까지 ㅣ 소문난 명강의
오준석 지음 / 한빛미디어 / 201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할 것이 있어서 다시 이에 관련한 자료와 책들을 보고 있다. 전에는 이클립스를 사용해서 개발했고,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잠깐 쓰기는 했으나, 당시 너무 불안정해서 다시 이클립스로 작업을 했었다. 이제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가 어느 정도 안정이 되어서 그런지 많은 개발자들이 이쪽으로 넘어온 것 같다.
이런 개발 툴의 변화와 함께 개발 언어도 변화가 생겼다. 안드로이드 앱 개발 공식 언어로 다들 자바를 주로 썼으나, 최근 새롭게 코틀린이라는 다소 생소한 프로그래밍 언어가 부각되었다. 자바와의 강력한 호환성을 바탕으로 간결함, 안전함을 내세우고 있는 언어로 코틀린을 선택하는 개발자를 꾸준히 늘려가고 있는 상황으로 2017년에는 구글 I/O에서 정식으로 안드로이드 개발 언어가 되었고, 현재 많은 예제를 코틀린을 사용해서 설명하고 있을 정도로 구글에서도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그래서 이번 개발에는 이런 변화에 맞춰,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익힐 겸,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코틀린을 사용하기로 했다. 그런 와중에 접하게 된 책이 '오준석의 안드로이드 생존코딩'이었다.

이 책은 일단 컬러판을 선호하는 나에게 딱 맞게 내용이 올 컬러다. 프로그램 관련 책에 무슨 컬러가 중요하냐 할 수 있지만, 흑백보다 컬러가 프로그램 예제, 개발툴의 옵션 선택이나 코드 설명 등이 더욱 직관적으로 눈에 들어와 쉽게 이해할 수 있어서 좋다. 또한 책 내용을 그대로 따라 하기에도 역시 컬러인 편이 더 좋다.

1에서 3장까지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나, 기본 실행 방법, 사용법, 첫 앱 만들기와 같은 내용을 기초적인 다룬다. 앱 개발이 처음이거나 안드로이드 스튜디오가 처음인 사람을 위해 각각의 과정을 캡처한 화면으로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사실 개발 경력자도 각종 툴 설치 시 많은 곤란을 겪기도 한다. 옵션을 잘못 선택해서 재설치하기도 하고, 꼭 필요한 과정을 누락해서 정상 작동이 잘 되지 않는 경우도 다반사다. 툴 설치 경험이 적은 경우, 앱 개발보다 틀 설치가 더 어렵다고 하기도 한다. 다행히 이 책은 충분한 지면을 할애해서 꼼꼼히 알려주고 있으므로 일단 따라 해주면 된다. 특히 스튜디오로 개발 시 골치 덩이인 한글 호환 문제는 놓치지 않고 따라 해주는 것이 좋다.

본격적인 코틀린에 관한 것은 4장부터 나온다. 4장에 코틀린의 기본 구문이나 자바와의 차이, 옵션 사용법 등이 30쪽 정도로 간단하게 나온다. 너무 분량이 적지 않나 생각도 들지만, 뒤에 나오는 실전 예제를 통해 단단히 코틀린을 익힐 수 있으므로 실망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너무 많은 설명이 혼동만 가중 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꼭 필요한 것, 핵심적인 것만 알아 두고, 조금씩 살을 붙여가며, 알아 나가는 것이 더 오래가고 실질적으로 도움이 된다. 대신 4장은 외우지는 않더라도 빠짐없이 꼼꼼히 보는 것을 추천한다. 뒤에 대부분 다시 나오지만, 확실히 체크하고 또다시 보게 되면 이해가 더욱 쉬울 것이다.

이 책에서 내가 가장 마음에 들어 하는 것이 5장부터 나오는 실제 예제 앱 개발이다. 본문을 따라하면서 비만도 계산기, 스톱워치, 웹 브라우저, 수평 측정기, 전자액자 등을 난이도 별로 만들게 된다. 내 경험 상, 프로그램 언어와 프로그래밍 실력을 가장 빠르게 올릴 수 있는 방법은 실제 프로그램을 짜보는 것이라 생각한다. 스스로 개발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초보는 그럴 수 없으므로 남이 짜 놓은 것을 하나하나 따라 하며 익히는 것이 좋다. '안드로이드 생존코딩'은 그렇게 하기 참 좋게 되어 있다. 코드 설명, 원리 설명, 에러 대처법, 스튜디오 사용법 등이 적재적소에 배치되어 있어, 독학으로 프로그램 공부하기에 편하다. 아마도 개발도 하며, 학원에서 강의를 많이 했던 저자의 경력과도 무관하지 않은 거 같다. 학생이 어디서 뭘 궁금해할지, 잘 알고 있는 거 같다.

'오준석의 안드로이드 생존코딩'을 다 보고, 어느 정도 이해가 되면, 좀 더 깊이 들어간 코틀린이나 안드로이드 앱 개발 관련 서적을 보면 딱 좋을 것이다. 내 경우 전에 앱 개발 경험이 있다 보니, 빠른 속도로 이 책을 볼 수 있었다. 새롭게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사용법을 자세히 익힐 수 있었고, 코틀린에 대한 많은 궁금증도 해소됐다. 구글이 자바와의 소송 문제로 코틀린을 더욱 밀고 있는 거 같은 느낌도 들지만, 코틀린 언어 자체의 매력이 참 대단했다. 지겨운 반복적인 일도 줄이고, 코딩 양도 줄일 수 있어 좋은 거 같다. 자바와 호환되니, 주변 프로그램 개발 부담 없이 코틀린을 적용할 수 있는 것도 개발자로서 크게 안심되는 부분이다.
보통 앱 개발하면 무척 어렵게 생각하는데, 그 장벽이 절대 높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물론 나중에 배워야 할 것들이 이것저것 많지만, 의지만 있다면 누구나 할 수 있다. 그러니 앱 개발에 관심 있다면, 한번 '오준석의 안드로이드 생존코딩'을 참고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