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을 수 없는 증인 - 40년간 법정에서 만난 사람들의 연약함과 참됨에 관한 이야기
윤재윤 지음 / 나무생각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법관으로 30년 6개월, 변호사로 10년 가까이 살아온 법조인이 이 책의 저자이다. 법정에서 만난 사람들의 연약함과 참된에 관한 이야기라는 표제 아래의 글을 보고 법정 사건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올 줄 알았다. 하지만 법정 사건의 이야기는 겻들여 질 뿐, 그를 통해, 아니 저자의 삶을 통해 알게 된 인문학적 성찰이 담겨있다. 저자의 삶의 대부분이 법조인으로서의 삶이 었으니 말이다.

얼마나 많은 사건들이 있었을까 싶다. 40년간의 법정 생활에서 인간의 추악함과 선량함의 끝들을 보게 되었을 것 같다.


첫장을 펼친지 얼마 되지 않아 수 많은 밑줄을 긋게 되었다. 책의 모서리를 접은 페이지는 계속해서 늘어만 간다.


인간에 대해 생각하고, 연민의 감정을 품을 줄 아는 법조인이 있다는 사실이 꽤나 위안을 준다. 법정과는 아직 가까워질 기회가 없어 드라마로만 체험 중이다. 뭐 앞으로도 별로 가까워지고 싶진 않지만, 만약 법정과 가까워 질 일이 생겼을 때 이런 판검사와 변호사가 있다는 사실 말이다. 자신이 실수를 할 수 있음을 인정하고 다른 관점으로 보기 위해 노력할 줄 아는 사람.

"재판을 할 때도, 사적으로 사람들을 만날 때도 늘 내 마음을 살핀다. 진실하고 따듯하고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대하기 이해서다. 마음 같지 않게 실패할 때가 많지만 다른 사람을 존중하고 관대하게 대하는 마음이 곧바로 나 자신을 대하는 마음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깊이 느끼곤 한다._21p"

저자는 죽음에 대해서도 꽤나 많은 생각을 했다. 죽음을 불행이고 슬픔으로만 받아 들이지 않는다.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죽음 앞에서 오히려 삶의 목적을 분명히 하고 함께 가야 함을 말한다.

끊임없이 불안 속에 기계적으로 살아가는 현대인의 삶에 대해서도 말 한다. 여기서도 죽음은 끼어든다. 삶과 죽음은 서로 다른 것이 아니니까. 나에게 주어진 시간이 무한하지 않다는 사실을 깨닫는다면, 스스로에게 정말 중요한 것에 집중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우리는" '더 많이, 더 빨리, 더 화려하게'가 목표가 되었다. 어디로, 왜 가는지도 묻지 않은 채 무작정 달린다._83p" 하지만 우리가 추구하는 길 끝에 있는 "완벽한 하루"는 더 많은 것을 얻고 더 빨리 해내고 더 화려한 것에 있지 않다. 의외로 소박하고 단순하다.

"완벽한 하루는 무엇을 얻어야 가능한 것이 아니라, 무언가 버려야 가능하다. 몸에 걸친 것 없이 가벼워져야 마음껏 춤을 출 수 있는 것 처럼.._84p"

책 속의 많은 이야기들이 공감이 되고, 그래서 위로가 된다. 또 그래서 용기가 된다. 내 삶의 믿음과 방향이 틀리지 않았구나. 하고. 언제든 살짝 접힌 페이지를 펼쳐 볼 수 있는 좋은 책을 만나게 되어 기분이 좋다.


완벽한 하루는 무엇을 얻어야 가능한 것이 아니라, 무언가 버려야 가능하다. 몸에 걸친 것 없이 가벼워져야 마음껏 춤을 출 수 있는 것 처럼.. - P84

삶이 죽음에 패배한 것으로 치부하는 것이다. 환히 웃는 건강한 남녀만 나오는 광고처럼 현대 문화는 죽음을 억누르며 숨기고 있다. 그러나 노화와 질병은 생명의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한 부분이다. 낙엽은 생명의 소멸처럼 보이지만, 오히려 생명의 자연스러운 순환이며 나무에게 꼭 필요한 것 아닌가. - P153

무력한 사람에게 연민을 가질 때 약하고 위태로운 자기 자신을 사랑할 수 있게 된다.
에리히 프롬의 말이다. 타인에 대한 연민이 곧 자기 삶을 살아가는 힘이 된다는 사실이야말로 삶의 신비다. - P129

가장 ‘자기 다운 사람‘은 능력이나 지위에 관계없이 인간적인 매력을 풍긴다. 이것이야말로 다른 사람의 인정을 얻는 결정적 요인인 셈이다. - P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