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인생만사 답사기 - 유홍준 잡문집
유홍준 지음 / 창비 / 2024년 11월
평점 :
한국의 대표 글쟁이, 국보급 역마살 유홍준이 인생만사 답사로 돌아왔다”
<나의 문화 유산 답사기>로 인문학의 한 획을 그은 유홍준 작가가 30년만에 잡문집을 집필했다 유홍준 작가는 글쟁이, 미술학자, 문화재청장,교수로 알려져 있지만 500만부 판매의 신화를 쓴 대표작가로 알려져 있다 나의 인생만사 답사기를 통해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의 집필기, 가족과 친구들, 그와 끈끈한 연을 맺어온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 그리고 부록으로 ‘좋은 글쓰기를 위한 15가지 조언’까지 담아냈다
유홍준식 글쓰기 비법과 그의 문장수업을 통해 수십년동안 베스트 셀러의 작가의 자리를 늘 지켰던 원동력에 대해 살펴 볼 수 있다
“”속되게 말해서 나는 글쟁이다. 옛날 식으로 말하면 문사이다. 문집을 읽을 때도 나는 대게 잡저를 눈여겨 보았다. 거기엔 인생이 녹아 있기 때문이다. 내가 ‘답사기’라고 해놓고 이 소리 저 소리 다 이야기하는 것에는 이런 잡문의 정신이 들어 있는 것이다.”
인간 유홍준으로 살아온 인생을 살짝 엿보며 현대사를 관통하는 지성의 고뇌와 서정을 느끼며 그의 인생만사를 함께 거닐며 답사 다녀온 기분을 느끼고 싶다면
책의 뒷부분에 1975년 유홍준이 옥중에서 가족들에게 보낸 편지의 전문이 들어있다 한밤중에 마치 전쟁이 일어날 것처럼 비상계엄을 선포을 한 미치광이 때문에 온 국민이 불안과 분노에 휩싸였다 그때나 지금이나 세상은 혼탁하고 어지럽다 혼란스러운 시기를 지나오는 모든 이들에게 유홍준식의 용기와 위로, 희망을 전해온다
잡초공적비
사람들은 어려서 자랄 때는 모두들 꽃같이 되기를 바라지만 나이가 들 만큼 들면 잡초 같은 인생을 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온실 속의 화초 같은 삶을 부러워하는 것은 아니다. 이생진 시인은 「폴 되리라」에서 이렇게 읊었다.
풀되리라
어머니 구천에 빌어
나 용되어도
나 다시 구천에 빌어
풀되리라
흙 가까이 살다 죽음을 만나도
아무렇지 앟은 풀 되리라
잡초란 생물학적인 용어가 아니라 곡식, 농작물, 원예작물 등인간에 의해 재배된 것이 아닌데 저절로 번식하는 잡다한 풀을 말한다. 잡초라면 흔히 개망초, 까마중, 쇠비름, 강아지풀, 피, 토끼풀, 엉겅퀴, 질경이 따위를 떠올리지만 맛있는 나물의 재료인 달래, 냉이, 씀바귀, 고사리, 고들빼기, 쑥, 머위도 밭에서 농사를 방해하면 잡초다
야생초라 불리는 제비꽃, 초롱꽃, 달개비, 민들레, 쑥부쟁이, 부들꽃창포 등이 잡초로 분류되는 것은 억울한 일이다. 그런데 가내린 꽃을 피우는 풀에 애기똥풀, 며느리밑씻개, 개불알풀이라 이를 짓고 업신여긴다.
늦여름 따가운 햇볕에서 농부들은 논밭에 무성히 자라나는 잡초를 제거하느라 구슬땀을 흘린다. 여름철 농사는 잡초와의 전쟁이다. 인류는 농업을 시작한 이래 곡식과 농작물의 영양소를 씨앗이나 열매에 축적하도록 개량해왔다. 이에 비해 잡초는 생태 그대로 영양소를 성장과 번식에 사용한다. 그래서 곡식과 농작물은 잡초를 이길 수 없다. 그 억센 생명력은 이리저리 시달리며 사는 민초의 삶을 연상케 한다. 김수영 시인은 「품」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풀이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울고
바람보다 먼저 일어난다
그러나 잡초는 무죄다. 잡초의 해악이란 곡식과 농작물의 생산력 증대라는 기준에서 말하는 것일 뿐 잡초는 생태계에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잡초는 땅의 표토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잡초들이 사라지면 토양이 황폐화된다. 미국 텍사스의 한 과수원에서는잡초의 씨를 말려버렸더니 극심한 토양침식과 모래바람으로 몇년치 농사를 망쳤다고 한다. 그래서 지금은 과수와 잡초를 공생시키고 있다고 한다
어릴 적에는 꽃만 걷게 될 줄 알았는데 살아보니 온실속의 화초는 커녕 잡초같은 인생을 살고있는 나에게 유홍준 작가의 잡초예찬은 적잖은 위로가 된다 잡초가 생테계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과 과수원에서도 잡초의 씨를 말려버리면 극심한 토양침식과 모래바람으로 몇년치 농사를 망쳤기에 과수와 잡초를 공생시키고 있다는 사실에 한번 더 놀라며 세상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잡초와 같은 끈질긴 생명력으로 이 세상을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고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고민되는 날들의 연속이다
문화재청장의 관할영역
문화재청장 시전 한번은 청장 10여명이 모여 식사를 하며 모처럼 담소를 나누었는데 저마다 하는 얘기가 남들이 모르는 자신들의 업무의 고달픔이었다. 그러다 화재가 우리나라 면적으로 돌아 옜날에는 9만4천 제곱킬로미터라고 학교에서 배웠는데 지금은 간척사업을 많이 하여 약10만 제곱킬로미터로 늘었다고 하는데 그10만 제곱킬러미터라는 수치가 머릿속에 잘 안들어온다고 했다 그러자 통계청장이 나섰다.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10만은 200곱하기 500해서 나온 수치인데, 인천에서 강릉까지 동서가 약200킬로미터,부산에서 판문점까지 남북이 약 500킬로미터니까 10만 제곱킬로미터가 되죠:
그러자 한청장이 “그걸 평수로 환산하면 어떻게 되나요”하고 물었다
“약 300억평입니다. 참고로 서울이 약2억평이괴, 제주도가 약 6억평입니다”
듣고보니 국토의 넓이가 확 그려지는 것 같았다. 그러고는 산림청장이 말을 이어받았다
“우리나라 면적300억 평 중 3분의2가 산이기 때문에 산림청은 200억평을 관리합니다”
산림청이 관할영역이 제일 넓어서 몸이 고달프다는 하소연이었다 산불 나면 산림청은 초비상이다 그래서 산불이 많이 나는 봄철이면 산림청장은 늘 비상대기를 하고 있다. 그러자 경찰정장이 조용히 말했다.
“경찰청은 에누리 없이 300억평의 사람을 대상으로 합니다 “
그러자 우리 해양경찰정장이 나서서 이를 거뜬히 받아쳤다
“우리바다는 영토의 4배이니 해양경찰청은 1,200억 평을 관리합니다 “
모두들 한바탕 웃으면서 관리 영역이 제일 좁아 보이는 나에게 “문화재청장은 관리 면적이 얼마나 됩니까?하고 가볍게 질문을 던졌다
“문화재청이 직접 관리하는 것은 5대궁궐과 40개 조성왕릉이지만 전국에 산재해 있는 국보, 보물뿐만 아니라 300억평 땅속에 있는 매장문화재도 관리하고 1,200억평 바다에 빠져 있는 침몰선 200여척의 수중문화재도 관리합니다 게다가 천연기념물로 몽골에 가있는 검독수리, 태국에 가 있는 노랑부리저어새가 잘 있는지 살펴야합니다”
이에 청장들은 박장대소하면서 ‘어마어마하다’ ‘가볍게 생각해서 미안하다’ 우리문화재청장의 업무 영억이 가장 넓은 것으로 인정합시다’라며 박수를 치려는 순간 기상청장이 나왔다
“우리 기성청은 업무 면적이 평수로 계산이 되지 않아요”
산림청은 200평을 관리하고 경찰청은 300억명의 사람을 관리한다 해양청은 1200억평을 관리한다면 국민들의 마음을 평수로 하면 얼마나 될까
그는 가장 어이없고 확실한 방법을 이용해 평수로 환산할 수 없는 민심을 잃었다
탄핵과 계엄령에 대해 아이에게 찬찬히 알려주며 우리가 누려야 할 국민의 기본권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독재자가 권력을 남용할 때 국민들은 어떻게 움직이는지 우리는 알고 있다 촛불들과 광화문으로 향하는 일은 없을 줄 알았는데… 촛불 하나의 힘을 믿는다
#유흥준산문집#나의인생만사답사기
#시대와생생히호흡하는#지성의고뇌와서정
🌠문화재청장의 관할영역 🌠
문화재청장 시절 한번은 청장 10여명이 모여 식사를 하며 모처럼 담소를 나누었는데 저마다 하는 얘기가 남들이 모르는 자신들의 업무의 고달픔이었다. 그러다 화재가 우리나라 면적으로 돌아 옜날에는 9만4천 제곱킬로미터라고 학교에서 배웠는데 지금은 간척사업을 많이 하여 약10만 제곱킬로미터로 늘었다고 하는데 그10만 제곱킬러미터라는 수치가 머릿속에 잘 안들어온다고 했다 그러자 통계청장이 나섰다.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10만은 200곱하기 500해서 나온 수치인데, 인천에서 강릉까지 동서가 약200킬로미터,부산에서 판문점까지 남북이 약 500킬로미터니까 10만 제곱킬로미터가 되죠"
그러자 한 청장이 “그걸 평수로 환산하면 어떻게 되나요”하고 물었다
“약 300억평입니다. 참고로 서울이 약2억평이괴, 제주도가 약 6억평입니다”
듣고보니 국토의 넓이가 확 그려지는 것 같았다. 그러고는 산림청장이 말을 이어받았다
“우리나라 면적300억 평 중 3분의2가 산이기 때문에 산림청은 200억평을 관리합니다”
산림청이 관할영역이 제일 넓어서 몸이 고달프다는 하소연이었다 산불 나면 산림청은 초비상이다 그래서 산불이 많이 나는 봄철이면 산림청장은 늘 비상대기를 하고 있다. 그러자 경찰정장이 조용히 말했다.
“경찰청은 에누리 없이 300억평의 사람을 대상으로 합니다 “
그러자 우리 해양경찰정장이 나서서 이를 거뜬히 받아쳤다
“우리바다는 영토의 4배이니 해양경찰청은 1,200억 평을 관리합니다 “
모두들 한바탕 웃으면서 관리 영역이 제일 좁아 보이는 나에게 “문화재청장은 관리 면적이 얼마나 됩니까?하고 가볍게 질문을 던졌다
“문화재청이 직접 관리하는 것은 5대궁궐과 40개 조성왕릉이지만 전국에 산재해 있는 국보, 보물뿐만 아니라 300억평 땅속에 있는 매장문화재도 관리하고 1,200억평 바다에 빠져 있는 침몰선 200여척의 수중문화재도 관리합니다 게다가 천연기념물로 몽골에 가있는 검독수리, 태국에 가 있는 노랑부리저어새가 잘 있는지 살펴야합니다”
이에 청장들은 박장대소하면서 ‘어마어마하다’ ‘가볍게 생각해서 미안하다’ 우리문화재청장의 업무 영억이 가장 넓은 것으로 인정합시다’라며 박수를 치려는 순간 기상청장이 나왔다
“우리 기상청은 업무 면적이 평수로 계산이 되지 않아요”
🎈산림청은 200평을 관리하고 경찰청은 300억명의 사람을 관리한다 해양청은 1200억평을 관리한다면 국민들의 마음을 평수로 하면 얼마나 될까 그는 가장 어이없고 확실한 방법을 이용해 평수로 환산할 수 없는 민심을 잃었다
탄핵과 계엄령에 대해 아이에게 찬찬히 알려주며 우리가 누려야 할 국민의 기본권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독재자가 권력을 남용할 때 국민들은 어떻게 움직이는지 결말이 어찌 되는지 유치원생도 알고 지나가는 똥개도 알고 있다 다시는 촛불을 들고 광화문으로 향하는 일은 없을 줄 알았는데… 촛불 하나 하나가 모였을 때 어떠한 힘을 발휘하는지 우리는 믿고 있다
#나라다운나라를만드는일
#우리모두의의숙제
잡초란 생물학적인 용어가 아니라 곡식, 농작물, 원예작물 등인간에 의해 재배된 것이 아닌데 저절로 번식하는 잡다한 풀을 말한다. 잡초라면 흔히 개망초, 까마중, 쇠비름, 강아지풀, 피, 토끼풀, 엉겅퀴, 질경이 따위를 떠올리지만 맛있는 나물의 재료인 달래, 냉이, 씀바귀, 고사리, 고들빼기, 쑥, 머위도 밭에서 농사를 방해하면 잡초다
야생초라 불리는 제비꽃, 초롱꽃, 달개비, 민들레, 쑥부쟁이, 부들꽃창포 등이 잡초로 분류되는 것은 억울한 일이다. 그런데 가내린 꽃을 피우는 풀에 애기똥풀, 며느리밑씻개, 개불알풀이라 이를 짓고 업신여긴다. 늦여름 따가운 햇볕에서 농부들은 논밭에 무성히 자라나는 잡초를 제거하느라 구슬땀을 흘린다. 여름철 농사는 잡초와의 전쟁이다. 인류는 농업을 시작한 이래 곡식과 농작물의 영양소를 씨앗이나 열매에 축적하도록 개량해왔다. 이에 비해 잡초는 생태 그대로 영양소를 성장과 번식에 사용한다. 그래서 곡식과 농작물은 잡초를 이길 수 없다.
|